대인관계의심리학_한국사회의 분노조절장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인관계의심리학_한국사회의 분노조절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분노조절장애
2. 한국사회의 분노조절장애 관련 현상
3. 심리학적 대안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역 주민센터와 보건소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가상현실치료, 미술치료 등의 여러 가지 대안을 연구하고 있지만 잠재적 환자 본인과 주변의 인식이 먼저 변화해야 그러한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만들 수 있다. 분노를 인정하고 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가장 먼저 가족이 대화에 나서야 한다. 논쟁이나 갈등을 피하고 덮고 두루두루 잘 지내는 것이 미덕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나는 화가 났다’는 사실을 공공연히 말하고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것이 시급하다.
4. 참고문헌
이상영, 한국사회의 사회심리적 불안의 원인과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ISSUE & FOCUS, 2016. 2 제 304호
이종일, 정신질환의 이해-분노조절장애, 국립정신건강센터, 2020. 1. 6, http://ncmh.go.kr /kor/data/snmhDataView.jsp?no=8650&fno=39&gubun_no=0&pg=1&search_item=0&search_content=&menu_cd=K_04_12_01_00_00
가족마저 등 돌려... ’욱 하는‘ 범죄 80%, 혼자 지낼 때 저지르더라, 조선일보, 2017. 6. 17, 송혜진,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16/201706160166 3.html
‘분노조절장애’ 등 충동장애로 한해 6000명 병원 찾는다, 경향신문, 2018.4.17, 홍진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4171151001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5.22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9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