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과도기 단계 집단상담의 특성
(2) 집단 상담자의 역할
(3) 참여하고 싶은 집단상담 주제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과도기 단계 집단상담의 특성
(2) 집단 상담자의 역할
(3) 참여하고 싶은 집단상담 주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주제를 가진 것이다. 이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사회문제로서, 코로나19로 인한 사람들의 정신적인 고통과 피해는 혼자 견뎌내기 어려울 만큼 장기전으로 변하게 되었다. 코로나 블루라고 불리는 우울감은 비대면과 온라인의 교류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대를 사는 많은 사람이 어떠한 어려움을 겪었는지 알고 싶기도 하고, 자신만이 가진 어떠한 방법으로 심리적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있는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채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시대라면 무엇을 준비하고 싶은지와 같은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기 때문이다. 나만 힘든 것이 아니라는 동질감과 서로의 위안이 되어 줄 수 있고, 완전히 극복하지 못하더라도 어떻게든 서로에게 의지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집단상담을 통해 얻어가고 싶기도 하다. 실제로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극복하기 위한 비대면, AI 상담 등이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사람과 사람이 눈을 마주치고 비언어적 행동을 포함하며 대화하는 것과는 다른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3. 결론
집단상담은 정신병의 치료보다는 개인의 성장과 적응에 목적을 두고 실시된다. 하지만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집단 상담사가 상담을 이끌고 상담 구성원을 조율할 수 있어야 성공적인 집단상담을 실행할 수 있다. 집단상담의 주제가 결정되면 상담집단에 적용하는 주요한 상담 이론이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집단 상담자는 자신이 선택한 이론의 제한점과 강점이 무엇인지를 미리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처음에는 낯선 사람들과 모여서 속에 있는 이야기나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아마 큰 용기가 있어야만 참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오히려 낯선 사람이기 때문에 더 솔직하게 말을 할 수 있는 것이 사람이기도 하다. 너무 잘 알거나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솔직할 수 없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상담이란 부담 없이 마음을 기댈 수 있는 곳을 만드는 것으로 생각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마음을 기댈 수 있는 집단상담이 많아지길 바라본다.
4. 참고문헌
1. 집단상담의 실제, 강진령, 학지사, 2019.02.25.
2. 상담이론과 실제, 양명숙, 학지사, 2019.03.15.
3. 상담심리학, 현정환, 양서원, 2019.01.10.
4. 천성문, 최명식.\"집단상담에서 과도기 단계의 특징과 상담자의 역할.\"인문학논총4.(2001):163-184.
3. 결론
집단상담은 정신병의 치료보다는 개인의 성장과 적응에 목적을 두고 실시된다. 하지만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집단 상담사가 상담을 이끌고 상담 구성원을 조율할 수 있어야 성공적인 집단상담을 실행할 수 있다. 집단상담의 주제가 결정되면 상담집단에 적용하는 주요한 상담 이론이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집단 상담자는 자신이 선택한 이론의 제한점과 강점이 무엇인지를 미리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처음에는 낯선 사람들과 모여서 속에 있는 이야기나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아마 큰 용기가 있어야만 참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오히려 낯선 사람이기 때문에 더 솔직하게 말을 할 수 있는 것이 사람이기도 하다. 너무 잘 알거나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솔직할 수 없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상담이란 부담 없이 마음을 기댈 수 있는 곳을 만드는 것으로 생각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마음을 기댈 수 있는 집단상담이 많아지길 바라본다.
4. 참고문헌
1. 집단상담의 실제, 강진령, 학지사, 2019.02.25.
2. 상담이론과 실제, 양명숙, 학지사, 2019.03.15.
3. 상담심리학, 현정환, 양서원, 2019.01.10.
4. 천성문, 최명식.\"집단상담에서 과도기 단계의 특징과 상담자의 역할.\"인문학논총4.(2001):163-18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