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초기 면접 상담의 준비
(1) 상담 준비와 형성
(2) 경청과 주목
(3) 문제 배경 탐색
(4) 상담의 목적과 접근 방식 합의
2) 초기 면접 상담에서 주의해야 할 점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초기 면접 상담의 준비
(1) 상담 준비와 형성
(2) 경청과 주목
(3) 문제 배경 탐색
(4) 상담의 목적과 접근 방식 합의
2) 초기 면접 상담에서 주의해야 할 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문제점도 있지만, 문제점에 다가설 때 상담자가 정말 자신의 문제를 진지하게 봐주고 있음을 느낄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만약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고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고자 할 때, 함께 공감하고 찾아갈 수 있도록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이렇게 해보자, 저렇게 해보자, 라는 복잡한 것보다는 하나씩 변화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해야 내담자는 부담을 갖지 않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상담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상담을 마무리할 때 이처럼 문제가 있다면 해결할 수 있음과 상담자는 자신을 도와주는 조력자로서 함께할 수 있다는 태도를 보임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본론에서 코로나19로 힘들어하는 시기를 바탕으로 초기 면접 상담의 단계와 이 상담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에 관하여 상담자의 태도와 상담의 방향 결정, 그리고 마지막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심리적으로 지친 사람들이 많다. 그럴수록 상담을 통하여 이 불안감과 어려움 속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는 존재로 상담사가 있다. 상담을 통해 긍정적인 마음을 줄 수 있도록 상담자는 노력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초기상담의 중요성과 기초 면접 기법(The Importance and Basic Interview Technigues of Initial Stage of Counseling”, 이장호, 1990, 大生活究 Journal of Student Guidance Research 8권 1호, 5~20p
2. 상담 이론과 실제, 양명숙 외, 2013, 학지사 출판
3. 결론
본론에서 코로나19로 힘들어하는 시기를 바탕으로 초기 면접 상담의 단계와 이 상담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에 관하여 상담자의 태도와 상담의 방향 결정, 그리고 마지막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심리적으로 지친 사람들이 많다. 그럴수록 상담을 통하여 이 불안감과 어려움 속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는 존재로 상담사가 있다. 상담을 통해 긍정적인 마음을 줄 수 있도록 상담자는 노력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초기상담의 중요성과 기초 면접 기법(The Importance and Basic Interview Technigues of Initial Stage of Counseling”, 이장호, 1990, 大生活究 Journal of Student Guidance Research 8권 1호, 5~20p
2. 상담 이론과 실제, 양명숙 외, 2013, 학지사 출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