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정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시 강조되고 있는 고려점을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서론, 본론, 결론 형식일 필요는 없음, 교과교육론 7강 참조). (5점)
2. 동작, 언어, 미술, 음악, 수학, 과학, 사회 교육 중 본인이 가장 자신이 없는 것 1개를 선택하시오. 선택한 교과와 관련된 개정누리과정 영역 목표, 내용 범주 및 내용, 놀이 사례, (제시한 놀이 사례 관련) 놀이중심 활동계획안을 작성하시오. (25점)
3. 이야기 나누기, 새노래, 게임의 활동 유형별 수업 방법의 순서(총 3개 활동)에 대해 방송대 교과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기술하시오. (20점)
[참고문헌]
2. 동작, 언어, 미술, 음악, 수학, 과학, 사회 교육 중 본인이 가장 자신이 없는 것 1개를 선택하시오. 선택한 교과와 관련된 개정누리과정 영역 목표, 내용 범주 및 내용, 놀이 사례, (제시한 놀이 사례 관련) 놀이중심 활동계획안을 작성하시오. (25점)
3. 이야기 나누기, 새노래, 게임의 활동 유형별 수업 방법의 순서(총 3개 활동)에 대해 방송대 교과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기술하시오. (20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위기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주제에 따른 이야기 나누기 활동은 교사와 유아가 자신의 이야깃거리를 보여주며 소개한 후 자유롭게 질의응답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인 과정은 가정통신문을 통해 유아에게 주제에 맞는 이야깃거리를 준비시키고 교사도 함께 이야깃거리를 준비한다. 수업 시간에는 교사의 발문으로 시작하여 유아의 탐색, 질의응답, 이야깃거리를 준비하고 발표한 유아에 대한 칭찬과 함께 마무리된다.
(2) 새 노래 부르기
새 노래는 일상에서 음악을 즐기고 만족감과 즐거움을 느끼게 하기 위한 활동으로, 새 노래의 지도는 사전 준비, 도입, 노랫말 익히기, 교사의 선창, 한 가지 소리로 음 익히기, 노랫말 넣어 부르기, 노래 반복하여 부르기, 평가하기 순으로 진행된다. 보통 1년에 30~40가지의 새 노래를 배우게 되는데 교사는 전래동요나 민요를 포함하여 생활주제에 알맞은 다양한 장르의 곡을 선정하여야 한다. 교사는 사전 준비 과정에서 가르칠 노래와 가사, 음을 소리 내 부르고 외우면서 아이들이 익히기 힘든 곳을 미리 파악해둔다. 도입에서는 주의집중이 잘 되는 반원이나 원형의 대형으로 유아들을 앉게 하고 사진이나 모형 등 도입자료를 제시하여 유아의 흥미를 끌어낸다. 노랫말은 가사 판 글자를 손가락으로 가리키거나 음의 길이에 읽어주고 가사를 읽은 후 느낌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면서 익히도록 한다. 유아들이 노랫말을 익힌 후에는 교사가 선창하고, 아, 오, 우, 랄라 등 한 가지 소리를 넣어 2~3회 부르면서 유아가 익히도록 한다. 노랫말을 넣어 전체적으로 노래를 부르면서 반복하되 5번 이상 반복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은 노래를 불러본 느낌이나 새로 알게 된 사실 등에 관하여 이야기 및 평가하도록 한다.
(3) 게임
게임을 통해 유아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지키고 자기감정에 대한 통찰, 인지적 전략이나 문제해결력을 향상할 수 있으며 규칙 준수를 통해 사회 협응능력과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게임은 혼자하는 원게임, 이기고 지는 결과가 뚜렷이 없는 자유 대형게임, 편을 나누어 지시와 규칙에 따라 협력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편 게임으로 나눌 수 있다. 편 게임의 경우 게임의 유형 중 가장 구조화된 것으로, 사전 준비, 양 팀으로 나누어 앉기, 팀별 인원수가 같은지 세어보기, 팀 이름 정하기, 응원해 보기, 게임도구를 보며 게임 방법 정하기, 게임 할 때 지켜야 할 약속 정하기, 게임을 시작하기, 승부 확인하기, 게임 끝내고 회상하며 평가하기 순으로 진행된다. 게임은 유아의 발달 수준과 주제에 맞는 사전 준비를 통해 교재나 교구 등을 준비하고, 나이나 성별 등으로 양 팀으로 나누어 낮은 후 팀별 인원수가 같은지 확인한다. 이때 마주 보고 앉아 있는 친구끼리 악수하거나 하이 파이브를 하는 등의 놀이를 더하면 좋다. 팀 이름을 정해 유아의 결속력을 다지고, 어떤 응원을 할 것인지 연습해보도록 한다. 게임도구를 함께 보며 방법을 정하고, 경기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을 정해서 게임을 시작한다. 게임을 시작하는 중에 과도한 흥분을 보이는 유아가 없는 지 교사가 규제해야 하며, 게임의 승부가 나면 유아들과 게임을 마친 후 기분과 아쉬운 점, 반성할 점 등에 관하여 이야기 한 후 마무리한다.
[참고문헌]
1. 유은영·남기원(2016). 교과교육론. 방송대 출판문화원.
2. 손지현 ( Ji Hyun Sohn ). 2011. 창의,인성 교육과 시각문화 미술교육: 통합 교육과정 개발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3): 195-216
3. 김형숙 ( Hyung Sook Kim ). 2012.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32(0): 1-29
(2) 새 노래 부르기
새 노래는 일상에서 음악을 즐기고 만족감과 즐거움을 느끼게 하기 위한 활동으로, 새 노래의 지도는 사전 준비, 도입, 노랫말 익히기, 교사의 선창, 한 가지 소리로 음 익히기, 노랫말 넣어 부르기, 노래 반복하여 부르기, 평가하기 순으로 진행된다. 보통 1년에 30~40가지의 새 노래를 배우게 되는데 교사는 전래동요나 민요를 포함하여 생활주제에 알맞은 다양한 장르의 곡을 선정하여야 한다. 교사는 사전 준비 과정에서 가르칠 노래와 가사, 음을 소리 내 부르고 외우면서 아이들이 익히기 힘든 곳을 미리 파악해둔다. 도입에서는 주의집중이 잘 되는 반원이나 원형의 대형으로 유아들을 앉게 하고 사진이나 모형 등 도입자료를 제시하여 유아의 흥미를 끌어낸다. 노랫말은 가사 판 글자를 손가락으로 가리키거나 음의 길이에 읽어주고 가사를 읽은 후 느낌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면서 익히도록 한다. 유아들이 노랫말을 익힌 후에는 교사가 선창하고, 아, 오, 우, 랄라 등 한 가지 소리를 넣어 2~3회 부르면서 유아가 익히도록 한다. 노랫말을 넣어 전체적으로 노래를 부르면서 반복하되 5번 이상 반복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은 노래를 불러본 느낌이나 새로 알게 된 사실 등에 관하여 이야기 및 평가하도록 한다.
(3) 게임
게임을 통해 유아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지키고 자기감정에 대한 통찰, 인지적 전략이나 문제해결력을 향상할 수 있으며 규칙 준수를 통해 사회 협응능력과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게임은 혼자하는 원게임, 이기고 지는 결과가 뚜렷이 없는 자유 대형게임, 편을 나누어 지시와 규칙에 따라 협력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편 게임으로 나눌 수 있다. 편 게임의 경우 게임의 유형 중 가장 구조화된 것으로, 사전 준비, 양 팀으로 나누어 앉기, 팀별 인원수가 같은지 세어보기, 팀 이름 정하기, 응원해 보기, 게임도구를 보며 게임 방법 정하기, 게임 할 때 지켜야 할 약속 정하기, 게임을 시작하기, 승부 확인하기, 게임 끝내고 회상하며 평가하기 순으로 진행된다. 게임은 유아의 발달 수준과 주제에 맞는 사전 준비를 통해 교재나 교구 등을 준비하고, 나이나 성별 등으로 양 팀으로 나누어 낮은 후 팀별 인원수가 같은지 확인한다. 이때 마주 보고 앉아 있는 친구끼리 악수하거나 하이 파이브를 하는 등의 놀이를 더하면 좋다. 팀 이름을 정해 유아의 결속력을 다지고, 어떤 응원을 할 것인지 연습해보도록 한다. 게임도구를 함께 보며 방법을 정하고, 경기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을 정해서 게임을 시작한다. 게임을 시작하는 중에 과도한 흥분을 보이는 유아가 없는 지 교사가 규제해야 하며, 게임의 승부가 나면 유아들과 게임을 마친 후 기분과 아쉬운 점, 반성할 점 등에 관하여 이야기 한 후 마무리한다.
[참고문헌]
1. 유은영·남기원(2016). 교과교육론. 방송대 출판문화원.
2. 손지현 ( Ji Hyun Sohn ). 2011. 창의,인성 교육과 시각문화 미술교육: 통합 교육과정 개발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3): 195-216
3. 김형숙 ( Hyung Sook Kim ). 2012.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32(0): 1-29
추천자료
2021년 2학기 교과교육론 기말시험 과제물(교육계획안 작성시 강조되고 있는 고려점)
교과교육론
교과교육론 ) 개정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시 강조되고 있는 고려점을 논리적으...
교과교육 ) 개정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시 강조되고 있는 고려점을 논리적으로...
교과교육론 ) 개정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시 강조되고 있는 고려점을 논리적으...
교육론 ) 동작, 언어, 미술, 음악, 수학, 과학, 사회 교육 중 본인이 가장 자신이 없는 것 1...
방송통신대_교과교육론_개정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시 강조되고 있는 고려점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