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날짜
2. 실험 목적
3. 실험 이론
4. 실험 시약 및 기구
5. 실험 절차
6. 결과
7. 계산
8. 고찰
9. 자료 출처
2. 실험 목적
3. 실험 이론
4. 실험 시약 및 기구
5. 실험 절차
6. 결과
7. 계산
8. 고찰
9. 자료 출처
본문내용
등액 1ml을 시료에 투입하고 흔들어준다.
→투명할 때까지 적정한다.
6. 결과
(수돗물 온도 : 16.5도)
<공기 포화시킨 수돗물>
1차 적정 적정량 : 0.1 ml 사용
2차 적정 적정량 : 86.7ml 사용 -> 실수로 티오황산나트륨 0.0025N 쓴거 감안해서 10 나눔 -> 8.67ml
<공기 포화x 수돗물> (티오황산나트륨용액 새로 똑같이 만듬 0.0025N)
1차 적정 적정량 : 0.1 ml 사용
2차 적정 적정량 : 83.4ml 사용 -> 위와 마찬가지로 10 나눔 -> 8.34ml
7. 계산
(수돗물 온도 : 16.5도) -> 16.5도에서 포화산소농도의 양 : 9.465 mg/L
1차 실험(공기를 포화시킨 수돗물)
DO = 8.68 ml * 1 * 300/200 * 1000/(300*2) * 0.2 = 8.73 mg/L
8.68 ml : 티오황산나트륨 0.025N 첨가량
1 : 팩터
300 : 전체 시료
200 : 적정에 사용된 시료
2 : 황산망간 + KISA용액 합한 수
0.2 : 0.025N 티오황산나트륨 1ml에 들어있는 산소양 mg
2차 실험(공기를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
2차 실험도 위의 식에 8.68ml 대신 8.35ml를 대입해서 계산 -> 8.40 mg/L
1차 실험과 이론값과의 오차 : 0.735
2차 실험과 이론값과의 오차 : 1.065
8. 고찰
우선 저희 조는 수돗물을 받은 후 흔들어서 공기를 포화시킨 수돗물로 1차 실험을 하고 흔들지 않아 공기를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로 2차 실험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수돗물의 온도에 따른 포화산소농도의 양을 측정하여 이론값과 비교했습니다. 다행히 공기를 포화시킨 수돗물이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보다는 DO 값이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지만 높게 나왔습니다.
우선 공기를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의 이론값은 구하지는 못하여 잘 나온건지 비교할 수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수돗물을 포화시킨 것과 포화시키지 않은 것들의 DO값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먼저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수돗물을 쎄게 틀면서 공기를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에도 공기가 같이 들어갔을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또는 처음에 수돗물을 채취하며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등의 실수로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론값과 1차, 2차 실험의 결과값들이 조금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실험을 하면서 조작에서의 여러 실수가 있었을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아쉬웠던 건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넣으면서 문제가 조금 있었던 것입니다.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0.025N의 용액 만들어져있는 거 그대로 쓰면 되는데 저희 조가 0.25N로 잘못 보고 10배 희석시켜서 0.0025N로 만들면서 2차 적정에서 1차실험이나 2차실험이나 적정량이 매우 많이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실수들이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수들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에 이런 실험을 하게 된다면 수돗물을 병에 담을 때 최대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살살 틀거나 기포를 완전히 제거한 것을 확인하는 것. 그리고 티오황산나트륨등의 시약의 농도를 잘 확인한다면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9. 자료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1304&cid=60408&categoryId=5555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95798&cid=60262&categoryId=6026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0651&cid=40942&categoryId=323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2943&cid=62802&categoryId=6280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8403&cid=40942&categoryId=3225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637&cid=40942&categoryId=32251
https://www.scienceall.com/%ed%99%a9%ec%82%b0%eb%a7%9d%ea%b0%84manganese-sulfat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98788&cid=60227&categoryId=60227
→투명할 때까지 적정한다.
6. 결과
(수돗물 온도 : 16.5도)
<공기 포화시킨 수돗물>
1차 적정 적정량 : 0.1 ml 사용
2차 적정 적정량 : 86.7ml 사용 -> 실수로 티오황산나트륨 0.0025N 쓴거 감안해서 10 나눔 -> 8.67ml
<공기 포화x 수돗물> (티오황산나트륨용액 새로 똑같이 만듬 0.0025N)
1차 적정 적정량 : 0.1 ml 사용
2차 적정 적정량 : 83.4ml 사용 -> 위와 마찬가지로 10 나눔 -> 8.34ml
7. 계산
(수돗물 온도 : 16.5도) -> 16.5도에서 포화산소농도의 양 : 9.465 mg/L
1차 실험(공기를 포화시킨 수돗물)
DO = 8.68 ml * 1 * 300/200 * 1000/(300*2) * 0.2 = 8.73 mg/L
8.68 ml : 티오황산나트륨 0.025N 첨가량
1 : 팩터
300 : 전체 시료
200 : 적정에 사용된 시료
2 : 황산망간 + KISA용액 합한 수
0.2 : 0.025N 티오황산나트륨 1ml에 들어있는 산소양 mg
2차 실험(공기를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
2차 실험도 위의 식에 8.68ml 대신 8.35ml를 대입해서 계산 -> 8.40 mg/L
1차 실험과 이론값과의 오차 : 0.735
2차 실험과 이론값과의 오차 : 1.065
8. 고찰
우선 저희 조는 수돗물을 받은 후 흔들어서 공기를 포화시킨 수돗물로 1차 실험을 하고 흔들지 않아 공기를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로 2차 실험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수돗물의 온도에 따른 포화산소농도의 양을 측정하여 이론값과 비교했습니다. 다행히 공기를 포화시킨 수돗물이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보다는 DO 값이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지만 높게 나왔습니다.
우선 공기를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의 이론값은 구하지는 못하여 잘 나온건지 비교할 수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수돗물을 포화시킨 것과 포화시키지 않은 것들의 DO값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먼저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수돗물을 쎄게 틀면서 공기를 포화시키지 않은 수돗물에도 공기가 같이 들어갔을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또는 처음에 수돗물을 채취하며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등의 실수로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론값과 1차, 2차 실험의 결과값들이 조금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실험을 하면서 조작에서의 여러 실수가 있었을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아쉬웠던 건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넣으면서 문제가 조금 있었던 것입니다.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0.025N의 용액 만들어져있는 거 그대로 쓰면 되는데 저희 조가 0.25N로 잘못 보고 10배 희석시켜서 0.0025N로 만들면서 2차 적정에서 1차실험이나 2차실험이나 적정량이 매우 많이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실수들이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수들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에 이런 실험을 하게 된다면 수돗물을 병에 담을 때 최대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살살 틀거나 기포를 완전히 제거한 것을 확인하는 것. 그리고 티오황산나트륨등의 시약의 농도를 잘 확인한다면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9. 자료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1304&cid=60408&categoryId=5555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95798&cid=60262&categoryId=6026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0651&cid=40942&categoryId=323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2943&cid=62802&categoryId=6280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8403&cid=40942&categoryId=3225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637&cid=40942&categoryId=32251
https://www.scienceall.com/%ed%99%a9%ec%82%b0%eb%a7%9d%ea%b0%84manganese-sulfat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98788&cid=60227&categoryId=6022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