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례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총 5개의 간호진단 중 1, 2위 간호진단의 간호과정)
6. 결론
7. reference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총 5개의 간호진단 중 1, 2위 간호진단의 간호과정)
6. 결론
7. reference
본문내용
있는 죄심실비대의 진행을 촉진한다, 고혈압은 직접적으로 심혈관에 나타나는 효과뿐만 아니라, 망막병변, 뇌병변, 신병변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고혈압은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만성 신질환의 관리에서 혈압조절은 가장 중여한 치료적 목표이다.
-참고문헌-
김옥수 외 편역. 2021.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1074
<합리적 근거>
주관적 자료 :
“예전에도 혈압이 높았어요.”
객관적 자료 :
① HTN
② skad B 5mg - 혈압강하제
③ perdipine 10mg 응급성 고혈압 치료제
④ dichlozid 25mg - 이뇨제
⑤ BP 사정 결과
-6/25 (입원 당일)
16:25) BP = 195/82mmHg
21:00) BP = 184/85mmHg
⑥ 전신 부종이 관찰됨
⑦ 운동 하지 않음
계획날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수축기압이 130mmHg이하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1 : 대상자는 2일 이내 운동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단기목표 2 : 대상자는 5일 이내 전신부종이 관찰되지 않는다.
간 호 계 획
이론적 근거
6/25
√진단적 지시
1. 4시간마다 BP를 측정한다.
2. 대상자의 의식 & 두통 여부를 사정한다.
3. 대상자의 부종 여부를 사정한다.
·
√치료적 지시
1. 처방에 따른 항고혈압제를 투여한다.
2. 처방에 따른 이뇨제를 투여한다.
3. 상체를 올려주는 체위로 변경해준다.
4. 정해진 시간에 경구투여 약물을 제공한다.
·
√교육적 지시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저염식이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혈압약 복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3. 대상자에게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
√진단적 지시
BP를 측정하여 대상자를 사정함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2. 고혈압이 지속되면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음으로 미리 사정하여 예방한다
3. 체내 수분 정체로 부종이 생기면 혈압이 높아진다.
√치료적 지시
항고혈압제를 투여함으로 혈압을 낮출 수 있다.
2. 체내 정체된 수분을 소변으로 배출시켜 부종을 치료한다.
3. 상체를 올려주는 체위는 혈압을 낮춰줄 수 있다.
4. 정해진 시간에 약물을 복용하여 약물 지속 시간을 맞춰 효과가 유지되도록 한다.
√교육적 지시
염분이 많은 식이는 체내 수분을 끌어모아 혈압을 높인다.
혈압약을 복용하여 혈압을 낮출 수 있다.
정해진 시간에 복용함으로 약의 효과가 계속 유지될 수 있어 혈압이 낮아질 수 있다.
운동을 통하여 혈압을 낮출 수 있다.
수행날짜
간 호 중 재
중 재 결 과
6/25~
√진단적 지시
1. 4시간마다 BP를 측정하였다.
2. 대상자의 의식 & 두통 여부를 사정하였다.
3. 대상자의 부종 여부를 사정하였다.
√치료적 지시
1. 처방에 따른 항고혈압제를 투여하였다.
2. 처방에 따른 이뇨제를 투여하였다.
3. 상체를 올려주는 체위로 변경해주었다.
4. 정해진 시간에 경구투여 약물을 제공하였다.
√교육적 지시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저염식이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혈압약 복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3. 대상자에게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진단적
BP측정
-6/25
16:45) BP = 195/82mmHg
21:00) BP = 184/85mmHg
-6/26
1:00) BP = 158/81mmHg
5:00) BP = 161/81mmHg
9:00) BP = 160/66mmHg
13:00) BP = 170/75mmHg
-6/27
1:00) BP = 158/78mmHg
5:00) BP = 161/69mmHg
9:00) BP = 152/80mmHg
13:00) BP = 160/80mmHg
2. 입원일(6/25)후로 대상자의 의식 상태는 정상이었으며, 두통을 호소하지 않았다.
3. 대상자는 전신 부종 양상이 관찰되었다.
√치료적
1. skad B 5mg 혈압강하제
perdipine 10mg 응급성 고혈압 치료제를 복용 & 투여하였다.
2. dichlozid 25mg 이뇨제를 복용하였다.
3. 대상자에게 상체를 들어올리는 체위로 변경해주었다.
4. 정해진 시간에 맞도록 대상자에게 경구투여 약물을 주었다.(skad B, dichlozid)
√교육적
대상자는 CKD식이 & 고혈압 식이를 드신다.
대상자는 혈압약을 드리면 복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해진 시간에 맞게 약을 드리면 바로 복용하시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상자는 폴대와 함께 병동을 계속 걷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평가날짜
간 호 평 가
6/28
<단기목표1> 대상자는 2일 이내 운동하는 모습이 관찰된다.(달성)
-
<단기목표2> 대상자는 5일 이내 전신부종이 관찰되지 않는다.(부분달성)
→ 대상자는 입원일보다 전신부종의 양상을 감소되었으나 아직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약간 전신부종의 양상이 관찰된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수축기압이 130mmHg이하를 유지한다.(미달성)
→ 대상자는 아직 퇴원을 하지 않은 관계로 정확한 달성여부를 평가할 수 없지만, 현재(6/28-17:00)기준 BP는 167/71mmHg로 확인되었다.
6. 결론
상기 83세 여환은 CKD로 응급실을 통하여 신장내과에 입원하셨다. 대상자는
CKD stage5, HF, Anemia, HTN, subclinical hypothyroidism이며, 현재 투석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투석을 해야 한다는 설명과 합병증, 투석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등에 대하여 설명 드렸으나 대상자와 보호자 모두 투석을 원하지 않으셨다. 현재는 약물로만 치료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상자는 BP가 매우 높게 측정이 되었으며 potassium 수치 또한 정상보다 높게 확인되었다. 항고혈압제와 고칼륨혈증 치료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6/28)기준으로 확연히 낮아지지는 않았다. 또한 전신 부종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7. Reference
김옥수 외 편역. 2021.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참고문헌-
김옥수 외 편역. 2021.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1074
<합리적 근거>
주관적 자료 :
“예전에도 혈압이 높았어요.”
객관적 자료 :
① HTN
② skad B 5mg - 혈압강하제
③ perdipine 10mg 응급성 고혈압 치료제
④ dichlozid 25mg - 이뇨제
⑤ BP 사정 결과
-6/25 (입원 당일)
16:25) BP = 195/82mmHg
21:00) BP = 184/85mmHg
⑥ 전신 부종이 관찰됨
⑦ 운동 하지 않음
계획날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수축기압이 130mmHg이하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1 : 대상자는 2일 이내 운동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단기목표 2 : 대상자는 5일 이내 전신부종이 관찰되지 않는다.
간 호 계 획
이론적 근거
6/25
√진단적 지시
1. 4시간마다 BP를 측정한다.
2. 대상자의 의식 & 두통 여부를 사정한다.
3. 대상자의 부종 여부를 사정한다.
·
√치료적 지시
1. 처방에 따른 항고혈압제를 투여한다.
2. 처방에 따른 이뇨제를 투여한다.
3. 상체를 올려주는 체위로 변경해준다.
4. 정해진 시간에 경구투여 약물을 제공한다.
·
√교육적 지시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저염식이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혈압약 복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3. 대상자에게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
√진단적 지시
BP를 측정하여 대상자를 사정함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2. 고혈압이 지속되면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음으로 미리 사정하여 예방한다
3. 체내 수분 정체로 부종이 생기면 혈압이 높아진다.
√치료적 지시
항고혈압제를 투여함으로 혈압을 낮출 수 있다.
2. 체내 정체된 수분을 소변으로 배출시켜 부종을 치료한다.
3. 상체를 올려주는 체위는 혈압을 낮춰줄 수 있다.
4. 정해진 시간에 약물을 복용하여 약물 지속 시간을 맞춰 효과가 유지되도록 한다.
√교육적 지시
염분이 많은 식이는 체내 수분을 끌어모아 혈압을 높인다.
혈압약을 복용하여 혈압을 낮출 수 있다.
정해진 시간에 복용함으로 약의 효과가 계속 유지될 수 있어 혈압이 낮아질 수 있다.
운동을 통하여 혈압을 낮출 수 있다.
수행날짜
간 호 중 재
중 재 결 과
6/25~
√진단적 지시
1. 4시간마다 BP를 측정하였다.
2. 대상자의 의식 & 두통 여부를 사정하였다.
3. 대상자의 부종 여부를 사정하였다.
√치료적 지시
1. 처방에 따른 항고혈압제를 투여하였다.
2. 처방에 따른 이뇨제를 투여하였다.
3. 상체를 올려주는 체위로 변경해주었다.
4. 정해진 시간에 경구투여 약물을 제공하였다.
√교육적 지시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저염식이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혈압약 복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3. 대상자에게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진단적
BP측정
-6/25
16:45) BP = 195/82mmHg
21:00) BP = 184/85mmHg
-6/26
1:00) BP = 158/81mmHg
5:00) BP = 161/81mmHg
9:00) BP = 160/66mmHg
13:00) BP = 170/75mmHg
-6/27
1:00) BP = 158/78mmHg
5:00) BP = 161/69mmHg
9:00) BP = 152/80mmHg
13:00) BP = 160/80mmHg
2. 입원일(6/25)후로 대상자의 의식 상태는 정상이었으며, 두통을 호소하지 않았다.
3. 대상자는 전신 부종 양상이 관찰되었다.
√치료적
1. skad B 5mg 혈압강하제
perdipine 10mg 응급성 고혈압 치료제를 복용 & 투여하였다.
2. dichlozid 25mg 이뇨제를 복용하였다.
3. 대상자에게 상체를 들어올리는 체위로 변경해주었다.
4. 정해진 시간에 맞도록 대상자에게 경구투여 약물을 주었다.(skad B, dichlozid)
√교육적
대상자는 CKD식이 & 고혈압 식이를 드신다.
대상자는 혈압약을 드리면 복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해진 시간에 맞게 약을 드리면 바로 복용하시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상자는 폴대와 함께 병동을 계속 걷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평가날짜
간 호 평 가
6/28
<단기목표1> 대상자는 2일 이내 운동하는 모습이 관찰된다.(달성)
-
<단기목표2> 대상자는 5일 이내 전신부종이 관찰되지 않는다.(부분달성)
→ 대상자는 입원일보다 전신부종의 양상을 감소되었으나 아직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약간 전신부종의 양상이 관찰된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수축기압이 130mmHg이하를 유지한다.(미달성)
→ 대상자는 아직 퇴원을 하지 않은 관계로 정확한 달성여부를 평가할 수 없지만, 현재(6/28-17:00)기준 BP는 167/71mmHg로 확인되었다.
6. 결론
상기 83세 여환은 CKD로 응급실을 통하여 신장내과에 입원하셨다. 대상자는
CKD stage5, HF, Anemia, HTN, subclinical hypothyroidism이며, 현재 투석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투석을 해야 한다는 설명과 합병증, 투석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등에 대하여 설명 드렸으나 대상자와 보호자 모두 투석을 원하지 않으셨다. 현재는 약물로만 치료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상자는 BP가 매우 높게 측정이 되었으며 potassium 수치 또한 정상보다 높게 확인되었다. 항고혈압제와 고칼륨혈증 치료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6/28)기준으로 확연히 낮아지지는 않았다. 또한 전신 부종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7. Reference
김옥수 외 편역. 2021.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