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부동산법제(공통) - 甲이 자신의 임차권으로 A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부동산법제(공통) - 甲이 자신의 임차권으로 A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 1] 甲이 자신의 임차권으로 A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1. 대항력 개념
2. 대항력 요건
3. 대항력 발생시기
4. 甲의 대항 가능 여부

[문 2] 위 Y 주택이 2억 5천만 원에 낙찰되었다고 할 경우, (甲의 배당요구를 전제로) 경매대금 2억 5천만 원은 누구에게 얼마씩 배당되는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우선변제권 개념
2. 우선변제권 요건
3. 우선변제권 효력 발생시기
4. 최우선변제권
5. 경매대금 배당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당받을 것이다. 하지만 甲은 경매가 개시된 후 배당요구를 하였고, 甲의 임차보증금은 1억 5천만 원으로 최우선변제 대상 임차인의 보증금액 이하에 해당한다. 참고로 Y 주택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고 서울특별시의 경우 최우선변제 대상 임차인의 보증금액을 1억 6천 5백만 원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즉 甲은 소액임차인으로서 최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우선 변제받을 수 있는 최우선변제금액은 5천 5백만 원이다. 따라서 Y 주택의 낙찰금인 2억 5천만 원 중 5천 5백만 원은 甲에게 최우선변제 된다. 이후 남은 금액으로서 1억 9천 5백만 원은 선순위채권자인 丙에게 배당된다.
참고문헌
- 민법 제621조 제2항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 주민등록법 제16조 제1항
- 대법원 1999. 5. 25., 선고, 99다9981, 판결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 제2항
- 대법원 1999. 3. 23., 선고, 98다46938, 판결
- 대법원 1997. 10. 10., 선고, 95다44597, 판결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8조 제1항
- 법무부. [보도자료] 전세사기 피해 방지를 위한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국무회의 통과. 법무부
  • 가격4,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3.07.24
  • 저작시기202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9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