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세상읽기와논술(공통) - 교재 48 52페이지에 있는 연습문제를 풉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세상읽기와논술(공통) - 교재 48 52페이지에 있는 연습문제를 풉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습문제 (48∼52쪽)
1) 견해별 제시문 분류
2) 견해 요약
(1) 인간 행동의 동기는 물질적 가치에 있다. (제시문 1, 3)
(2) 인간 행동의 동기는 정신적 가치에 있다. (제시문 2, 4)

2. 연습문제 (91∼92쪽)
1) 쟁점: 인간은 로봇과 사랑에 빠질 수 있을까?
2) 견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진정한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리얼돌과 섹스 로봇의 개발 자체에 반대하지는 않는다. 인간은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일에 대한 욕망을 지닌 존재이다. 이러한 욕망은 인류 발전에 근원이 되었다. 물론 잘못된 욕망은 인류를 퇴보시킬 수도 있다. 만약 섹스 로봇이 개발되고 상용화가 거론된다면 그때에는 사회적으로 엄청난 논쟁이 벌어질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는 섹스 로봇을 향한 인간의 욕망이 잘못된 방향으로 흐르지 않을 수 있도록 통제할 수 있다면 상용화 자체를 반대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많은 이들이 로봇과 사랑을 나누며 진정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해 한다. 이에 대해 나는 불가능하다고 답한다. 로봇과의 사랑, 로봇과의 관계는 인간과의 사랑 및 관계와는 분명히 구분되는 개념이다. 피그말리온 이야기가 해피엔딩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아프로디테가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어 줬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인간은 로봇에게 생명을 불어넣어줄 순 없다. 로봇과의 사랑 또는 관계는 조각상에 대한 피그말리온에 동경 수준에서 결코 더 나아갈 수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 박정하 외(2017). 세상읽기와 논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가격3,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3.07.25
  • 저작시기202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92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