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 이해
2. 은혜와 자유의지
3. 원죄와 세례
4. 믿음과 사랑
5. 예정
6. 나가는 말
2. 은혜와 자유의지
3. 원죄와 세례
4. 믿음과 사랑
5. 예정
6. 나가는 말
본문내용
을 수 있는 은사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에게 있어 구원은 하나님의 견인의 은총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어거스틴의 예정론 또한 이러한 구원론의 논리적인 결과다.
그의 구원론은 성경에 기초한 진리로써 제시되었다. 그는 성경을 그가 내리는 모든 판단의 근거로써 삼았고, 이는 그가 구원의 체계를 설명하는 것에 있어 언제나 확신에 설 수 있게 하였다. 이렇듯, 모든 시작을 하나님의 은혜에 두는 어거스틴의 구원론은, 오늘날 세상에 집중하며 도덕주의화 되어가고 있는 기독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비록 그의 구원론에는 몇 가지 논란이 있지만, 그것이 우리의 신앙에 참된 구원의 의미를 부여함으로 새로운 가치를 찾아낼 수 있게 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참고문헌>
오성욱, “사중복음 중생론”, 『사중복음 교의학 서설』, 글로벌사중복음 연구소 편, 101-137,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18
한국조직신학회(2019), 『구원론』, 대한기독교서회, pp. 45~68/125~156
박영실, <어거스틴의 구원과 성화>(2007)
김광선, <어거스틴의 구원론, The Soteriology of Augustine>(2000)
그의 구원론은 성경에 기초한 진리로써 제시되었다. 그는 성경을 그가 내리는 모든 판단의 근거로써 삼았고, 이는 그가 구원의 체계를 설명하는 것에 있어 언제나 확신에 설 수 있게 하였다. 이렇듯, 모든 시작을 하나님의 은혜에 두는 어거스틴의 구원론은, 오늘날 세상에 집중하며 도덕주의화 되어가고 있는 기독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비록 그의 구원론에는 몇 가지 논란이 있지만, 그것이 우리의 신앙에 참된 구원의 의미를 부여함으로 새로운 가치를 찾아낼 수 있게 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참고문헌>
오성욱, “사중복음 중생론”, 『사중복음 교의학 서설』, 글로벌사중복음 연구소 편, 101-137,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18
한국조직신학회(2019), 『구원론』, 대한기독교서회, pp. 45~68/125~156
박영실, <어거스틴의 구원과 성화>(2007)
김광선, <어거스틴의 구원론, The Soteriology of Augustine>(2000)
추천자료
구원론 연구
어거스틴의 인간이해
인간관 비교 -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를 중심으로
[아우구스티누스]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 생애, 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 신학적 배경, 아...
성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의 이성관과 인간관, 성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의 神(신)증명...
조직신학개론 요약
사이비 이단에 대한 성경적, 교회사적 고찰_ 정경, 신론, 인간론, 기독론, 성령론, 구원론, ...
감리교 운동과 웨슬리의 종교개혁 신학
침례교구원론 (칼빈주의와 알미니안 주의 비교) [논문] (타락의 중요성과 견해, 인간의 타락,...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의지 - 구원론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