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아특수교육의 발달
I. 유아교육의 영향
II. 특수교육의 영향
1. 특수교육의 역사
2. 유아특수교육의 발전 역사
3. 장애인교육법의 여섯 가지 원칙과 주요 원리
III. 보상교육의 영향
1.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2. 팔로스루 프로그램
3. 홈스타트 프로그램
* 참고문헌
I. 유아교육의 영향
II. 특수교육의 영향
1. 특수교육의 역사
2. 유아특수교육의 발전 역사
3. 장애인교육법의 여섯 가지 원칙과 주요 원리
III. 보상교육의 영향
1.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2. 팔로스루 프로그램
3. 홈스타트 프로그램
*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중요한 법이 되었다. 이 법의 여섯 가지원칙과 주요원리는 다음 <표>와 같다.
[표] IDEA 여섯 가지 원칙과 주요 원리
III. 보상교육의 영향
1.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1964년 경제기회균등법에 의해 도움이 필요한 유아들에게 최초 공교육 지원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Headstart Program)은 조기중재 분야의 정부관련 최초접근법(Zigler & Styfco, 1993)으로, 1972년 \'모집인원의 최소 10%는 장애를 가진 유아이어야 한다.\'라고 개정되면서 발달지체 유아의 통합기회를 부여하였다.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은 생태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유아교육 최적화를 위해 유아뿐만 아니라 가장 직접적인 환경이 되는 부모 및 가족 중심 서비스 체계를 강조하였으며, 복합적인 지역사회 중심 서비스 체계를 제시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이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팀 접근법의 도입에 기여하였다.
2. 팔로스루 프로그램
팔로스루 프로그램(Follow-through Program)은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헤드스타트를 초등학교 3학년까지 연장, 확장한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자 심리학자 연구자들의 다양한 철학, 가치, 이론, 교수목표, 교수방법, 교육과정들이 반영되어 대상과 상황에 따라 교육이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3-5세 발달지체 유아들을 대상으로 조기교육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미국 정부가 주관한 시범 프로그램인 HCEEP 프로그램은 팔로스루 프로그램을 모델로 개발된 것으로 HCEEP 프로그램은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 프로그램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홈스타트 프로그램
홈스타트 프로그램(Homestart Program)은 가정방문자가 가정환경에서 자녀를 위한 교육적 자극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가르치거나, 적절한 모델을 보여주고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 형성을 위한 조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주로 헤드스타트의 기관중심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되었다.
홈스타트 프로그램 중 3세 미만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인 얼리 헤드스타트 프로그램(Early Headstart Program)은 위험환경에 있는 태아 및 영아까지 연령을 조정한 조기예방 차원에서의 조기중재 유아특수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표] IDEA 여섯 가지 원칙과 주요 원리
III. 보상교육의 영향
1.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1964년 경제기회균등법에 의해 도움이 필요한 유아들에게 최초 공교육 지원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Headstart Program)은 조기중재 분야의 정부관련 최초접근법(Zigler & Styfco, 1993)으로, 1972년 \'모집인원의 최소 10%는 장애를 가진 유아이어야 한다.\'라고 개정되면서 발달지체 유아의 통합기회를 부여하였다.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은 생태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유아교육 최적화를 위해 유아뿐만 아니라 가장 직접적인 환경이 되는 부모 및 가족 중심 서비스 체계를 강조하였으며, 복합적인 지역사회 중심 서비스 체계를 제시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이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팀 접근법의 도입에 기여하였다.
2. 팔로스루 프로그램
팔로스루 프로그램(Follow-through Program)은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헤드스타트를 초등학교 3학년까지 연장, 확장한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자 심리학자 연구자들의 다양한 철학, 가치, 이론, 교수목표, 교수방법, 교육과정들이 반영되어 대상과 상황에 따라 교육이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3-5세 발달지체 유아들을 대상으로 조기교육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미국 정부가 주관한 시범 프로그램인 HCEEP 프로그램은 팔로스루 프로그램을 모델로 개발된 것으로 HCEEP 프로그램은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 프로그램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홈스타트 프로그램
홈스타트 프로그램(Homestart Program)은 가정방문자가 가정환경에서 자녀를 위한 교육적 자극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가르치거나, 적절한 모델을 보여주고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 형성을 위한 조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주로 헤드스타트의 기관중심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되었다.
홈스타트 프로그램 중 3세 미만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인 얼리 헤드스타트 프로그램(Early Headstart Program)은 위험환경에 있는 태아 및 영아까지 연령을 조정한 조기예방 차원에서의 조기중재 유아특수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