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상 학습장애(정보처리과정장애, 지각장애, 인지장애, 정서행동동기장애, 교수학습전략결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달상 학습장애(정보처리과정장애, 지각장애, 인지장애, 정서행동동기장애, 교수학습전략결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발달상 학습장애

I. 정보처리과정장애

II. 지각장애

III. 인지장애

IV. 정서, 행동·동기장애

V. 교수-학습전략 결함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학습전략 결함
학습장애아와 과잉행동아, 일반아동들의 상위기억능력, 상위주의력, 상위언어지식 등을 비교해 보면, 이들은 정교화 된 지식이 부족하며 전략 결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문제해결력 수행도 아주 낮게 나온다. 그 결과 이들을 피동적 수동적 학습자라고 부른다.
학습장애아들에게 나타나는 학습전략 훈련 결함은 인지전략 훈련 상의 결함보다는 학습장애아들이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 지적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위인지 내의 계획 점검 확인 등과 같은 자기조절 기술을 자발적으로 적용하지 못해 학습결함이 생겼다고 보는 Torgesen의 산출결함가설(production deficiency hypothesis)에 근거한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 결과, 최근 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물들을 분석해 보면, 적합한 인지전략을 개발하여 이를 훈련시킨다든지, 교수 학습 훈련으로 습득해야 할 학습지식을 획득케 한다든지, 교수 학습전략 취득 동시에 학습동기를 갖도록 동기부여를 하는 등 대부분의 학습장애 연구가 의도적인 학습전략 획득 및 훈련과 관련되어 있다.
이은림(1997)은 학습장애아들에게 가능한 상위인지전략법으로 자기질문법(self-questioning technique), 상호교수법(reciprocal teaching method) 자기통제법(self-control technique), 자기교시법(self-instruction method)을 들고 있고, 학습동기까지 촉진시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향상시키는 전략법으로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을 들고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9.14
  • 저작시기202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3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