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재아의 특성(영재아동의 발달특징)
I. Terman의 연구
II. 영재아들의 일반적인 특성
III. 신체적 특성
IV. 인지적 특성
1. 지적인 면
2. 창의적인 면
3. 학업성취 면
V. 사회·정서적 특성
* 참고문헌
I. Terman의 연구
II. 영재아들의 일반적인 특성
III. 신체적 특성
IV. 인지적 특성
1. 지적인 면
2. 창의적인 면
3. 학업성취 면
V. 사회·정서적 특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에 그들의 학급동료들보다 나이가 어리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영재아들은 학점에 있어서 그들보다 나이가 더 많은 동급생들과 경쟁하고 있을 때조차도 영재아들이 A, B학점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다(Shannon, 1957).
영재아들은 대개 일반학급의 일상적인 일들에 대해 참을성이 없으며 계획된 교수를 싫어한다. 영재아동들은 칠판에 판서하고 나서 설명하고 그리고 끊임없이 계속되는 훈련과 연습, 자극과도전적인 것이 없는 이러한 반복적인 학교생활이 지루해서 공상에 잠겨 있을 수도 있으며, 반면에 다른 영재아는 다른 동료들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서 스스로 속도를 늦추며 조절할지도 모른다.
13세 내지 14세까지 몇몇 영재아들은 성공에 대한 기대보다는 오히려 실패를 피하려고 한다(Roeper, 1982).
그러나 흔히 영재아들은 학교생활을 싫어할 것이라는 통념과는 달리 대부분의 영재아들은 학교를 좋아한다(Gallagher, 1966).
V. 사회 정서적 특성
Terman(1947)은 종단연구를 통하여 영재아의 정신건강과 적응에 관한 영역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약 80%는 적응을 잘 하고, 15%는 다소 부적응을 보이며, 나머지 5%는 심한 부적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적응의 비율은 심한 부적응의 전국적인 기대수준보다 약간 낮은 비율이다. 그리고 비행율은 일반인의 인구 중에서 출현하는 비행율보다 훨씬 낮게 나타났다.
그래서 Terman은 아동기에 적응을 잘하는 아동은 성인기에도 계속해서 적응을 잘 한다고 하였으며, 영재아동이 성인이 되어 결혼한 비율이 일반사람들의 결혼 비율과 거의 같았으나 그들의 이혼율은 일반사람들의 이혼율보다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Carroll이 연구한 영재아의 성격 특성에 대해서는 다음 같은 점을 강조하고 있다.
1/ 영재아는 보통아와 비교해서 지도성이 풍부하고 타인과도 잘 교제하나 보통아 집단의 행동 양식에 쉽게 추종하지 않는 점도 있다.
2/ 영재아는 비교적 정직성이 강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사회적 태도와 자신의 의지력이 강하며 보통아보다 뛰어나려는 욕망이 강하다.
3/ 정서적으로 영재아는 안정되어 있고, 다른 어린이 집단에 비해서 신경증을 가진 아동이 적다.
4/ 도덕성에 있어서도 영재아는 보통아보다도 동정심이 강하고, 관용성이 있고 성실하며 보통아에 비해서 더 바람직하다.
5/ 영재아는 일반적으로 흥미의 범위가 법고 강할 뿐만 아니라 사고력이 강하고 추리를 좋아하며 독서력도 보통아보다 강하고, 지구력이 있으며 지적 및 학문적인 성취도가 아주 높다(김천일, 1995).
그리고 영재아들은 도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해 보통 사람들보다 더 높은 관심을 나타낸다. 대개 영재아들은 어린 나이에도 보통사람들보다 선과 악, 옳고 그름, 정의와 불의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에 관심을 더 많이 가지는 경향이 있다(Matison, 1961).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영재아들은 대개 일반학급의 일상적인 일들에 대해 참을성이 없으며 계획된 교수를 싫어한다. 영재아동들은 칠판에 판서하고 나서 설명하고 그리고 끊임없이 계속되는 훈련과 연습, 자극과도전적인 것이 없는 이러한 반복적인 학교생활이 지루해서 공상에 잠겨 있을 수도 있으며, 반면에 다른 영재아는 다른 동료들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서 스스로 속도를 늦추며 조절할지도 모른다.
13세 내지 14세까지 몇몇 영재아들은 성공에 대한 기대보다는 오히려 실패를 피하려고 한다(Roeper, 1982).
그러나 흔히 영재아들은 학교생활을 싫어할 것이라는 통념과는 달리 대부분의 영재아들은 학교를 좋아한다(Gallagher, 1966).
V. 사회 정서적 특성
Terman(1947)은 종단연구를 통하여 영재아의 정신건강과 적응에 관한 영역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약 80%는 적응을 잘 하고, 15%는 다소 부적응을 보이며, 나머지 5%는 심한 부적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적응의 비율은 심한 부적응의 전국적인 기대수준보다 약간 낮은 비율이다. 그리고 비행율은 일반인의 인구 중에서 출현하는 비행율보다 훨씬 낮게 나타났다.
그래서 Terman은 아동기에 적응을 잘하는 아동은 성인기에도 계속해서 적응을 잘 한다고 하였으며, 영재아동이 성인이 되어 결혼한 비율이 일반사람들의 결혼 비율과 거의 같았으나 그들의 이혼율은 일반사람들의 이혼율보다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Carroll이 연구한 영재아의 성격 특성에 대해서는 다음 같은 점을 강조하고 있다.
1/ 영재아는 보통아와 비교해서 지도성이 풍부하고 타인과도 잘 교제하나 보통아 집단의 행동 양식에 쉽게 추종하지 않는 점도 있다.
2/ 영재아는 비교적 정직성이 강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사회적 태도와 자신의 의지력이 강하며 보통아보다 뛰어나려는 욕망이 강하다.
3/ 정서적으로 영재아는 안정되어 있고, 다른 어린이 집단에 비해서 신경증을 가진 아동이 적다.
4/ 도덕성에 있어서도 영재아는 보통아보다도 동정심이 강하고, 관용성이 있고 성실하며 보통아에 비해서 더 바람직하다.
5/ 영재아는 일반적으로 흥미의 범위가 법고 강할 뿐만 아니라 사고력이 강하고 추리를 좋아하며 독서력도 보통아보다 강하고, 지구력이 있으며 지적 및 학문적인 성취도가 아주 높다(김천일, 1995).
그리고 영재아들은 도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해 보통 사람들보다 더 높은 관심을 나타낸다. 대개 영재아들은 어린 나이에도 보통사람들보다 선과 악, 옳고 그름, 정의와 불의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에 관심을 더 많이 가지는 경향이 있다(Matison, 1961).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