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화교육의 의미,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 요소 및 기능, 수립 및 운영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별화교육의 의미,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 요소 및 기능, 수립 및 운영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별화교육의 의미,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 요소 및 기능, 수립 및 운영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I. 개별화교육
1. 개별화교육의 개념적 정의
2. 개별화교육의 시행과 관련된 법규
(1) 개별화교육지원팀
(2)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 시기
(3)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 요소
(4) 개별화교육계획에 따른 평가 및 결과 통보
(5) 특수교육대상자의 전출 및 전입

II. 개별화교육계획의 일반적 지침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따라서 개별화교육계획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의 질을 담보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5) 특수교육대상자의 전출 및 전입
특수교육대상자가 타 학교로 전학을 가거나 상급학교로 진학하는 경우에는 학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교육의 연결성 유지를 위하여 전출학교가 14일 이내에 전입학교로 개별화교육계획을 송부하도록 하고 있다.
II. 개별화교육계회의 일반적 지침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시행에 있어 일반교사가 숙지하고 있어야할 일반적인 지침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을 경우, 그 대상학생의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통합학급 내에서 반드시 개별화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개별화교육의 시행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은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라 의무사항이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가 특별히 필요로 하는 교육적 지원 영역에 대한 현행수준을 파악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수교육대상자의 현행수준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없이는 질적인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셋째, 통합된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교육과정에 접근(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 특수교사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전담교원과의 연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작성된 개별화교육계획을 시행하기 위하여 특수교사와의 협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협력으로는 간접적 협력의 형태인 협력적 자문과 직접적 협력의 형태인 협력교수 등이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9.14
  • 저작시기202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3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