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이 쓴 우리나라 고대사 책 두 권을 논평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인이 쓴 우리나라 고대사 책 두 권을 논평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Ι. 비교

Ⅱ. 논평
1. 고대 일본을 너무나 고평가함
2. 삼국시대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함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의 군대를 여러 번 깨트릴 정도로 강성하기 때문이다. 즉, 백제 멸망 이후에 백제고토는 백제부흥군 당 신라가 나눠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3. 책봉관계의 등장과 소멸에 대하여
책봉관계의 등장과 소멸만 봐도 책봉이 왜 나타나고 소멸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책봉관계가 등장한 이후는 책봉관계가 나타날 시점의 중국이 분열로 인해 과거에 비해 훨씬 약해진 반면, 주변 세력이 강성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책봉관계가 소멸하는 시점의 상황을 보면, 수·당나라가 매우 강성해져 주변 이민족을 복속시켰고 강성하다고 말할 수 있는 나라가 고구려-백제-신라 정도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책봉관계를 종식하고 강력한 힘을 발휘하여 직접 지배를 추구하려고 했으나, 강력한 저항에 받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당나라가 크게 약화되자 책봉관계와 기미지배(간접 포함)로 변화하였던 것이다.
Ⅲ. 참고문헌
니시지마 사다오 지음, 이성시 엮음, 송완범 옮김, 『일본의 고대사 인식 - \'동아시아 세계론\'과 일본』, 서울: 역사비평사, 2008.
호리 도시카즈 지음, 정병준ㆍ이원석ㆍ채지혜 옮김, 『중국과 고대 동아시아 세계 - 중화적 세계와 여러 민족들』,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3.11.07
  • 저작시기202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9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