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국가 주요 내용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 국가 주요 내용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권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둘러싼 트라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의 논쟁 소개
2) 2권의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의 ‘정의 자체의 좋음 논증’ 요청을 위한 사전 논변 설명
3) 이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응답을 <국가>편 4권을 중심으로 설명
4) 상술한 논의에 근거해서 트라시마코스 진영의 정의관과 소크라테스의 정의관이 함의하는 현실적 의미의 장단점 설명

본문내용

기부금의 유용을 통해 자신의 물질적 이익을 취하는 한편 사회적으로도 높이 칭송받을 것이다. 음식점의 사장이 원산지를 속이는 부정의를 저지르면서도 손님에게 이를 들키지만 않는다면, 그 사람은 원재료 비용의 절감에서 오는 경제적 이익과 믿을 만한 먹거리를 판매한다는 사회적 명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정의관에 따라 사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삶이 비윤리적이어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기 때문이라기보다는 부정의를 일삼게 되면 양심의 가책은 무뎌져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행복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부정의를 저질러 이득을 취하고 이를 들키지 않기 위해 남을 속여야만 하는 삶이 어떻게 행복할 수 있겠는가? 올바르지 못한 행위를 추구하는 자아와 올바르게 보이려는 자아의 공존은 필연적으로 내면의 긴장을 만들고 영혼에 불안을 심는다. 행위를 결정하는 기준이 자신의 내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게서 나오기 때문에, 끊임없이 타인을 경계하듯 의식해야 할 것이며 따라서 안정적인 통일된 자아정체성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에 의한 불행보다 더 중요한 것은, 완벽한 부정의를 행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어렵다는 사실이다. 오늘날과 같이 법에 의해 금지되는 부정의가 많은 시대에서, 또 SNS 기술에 힘입어 사회적 평판의 형성과 변화가 극도로 빨라진 사회에서, 나의 욕구 충족을 위해 부정의를 행하는 것은 너무도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다.
반면, 소크라테스의 정의관에 따라 산다면 어떨까? 이러한 삶은 바로 앞에서 제시된 삶과는 달리 현실에서의 풍족함과는 거리가 멀 수 있다. 원하는 재화를 손에 넣을 수 없게 될 수도 있고, 인간의 본능으로서 존재하는 다양한 욕구들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없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삶이 가치 있고 바람직한 이유는, 바로 자기 자신에 집중하는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무슨 행위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할 때, 타인보다 자신의 내면적 판단에 의지할 수 있다는 것은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단 한순간도 타인의 삶을 살지 못하고 평생 자신의 삶만을 사는 존재로서, 자신의 내면을 따라 살아간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렇게 본다면, 이것이 바로 가장 좋은 인간 삶의 전형이며, 따라서 이렇게 사는 것이 가장 행복한 삶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11.11
  • 저작시기202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0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