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감정의 척도화
2. 기분 일기
3. 오래된 나의 습관 버리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감정의 척도화
2. 기분 일기
3. 오래된 나의 습관 버리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나의 습관 버리기
1) 개념 및 방법
오래된 나의 습관 버리기는 나쁜 것임을 알면서도 오래되어 버리기 힘든 습관을 생각해보고 버리는 방법을 의미한다. 오래된 습관의 경우에는 대인관계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자신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때문에 오래된 습관을 버리는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래된 습관 버리기를 위해서는 자신의 습관을 고쳐보기 위하여 행동 치료의 입장에서 행동 및 기능 분석과 목표 정하기, 행동 변화 전략 짜기, 평가하기 등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
2) 내용 및 결과
(1) 내용
첫째로 행동을 기술하자면 자신은 여러 사람과의 모임 약속을 할 때 장소에 약 10분에서 20분 정도 늦게 도착하는 등 가장 늦게 모임 장소에 가는 습관을 지녔다. 거의 대부분 여러 사람과 모이는 장소에서는 가장 늦게 도착하는 편이다.
둘째로 행동 및 기능을 분석하자면 문제 행동을 촉발하는 선행 사건으로는 자신이 늦게 도착한다고 하더라도 모두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는 중이며 자신을 탓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상황적 요인으로는 상황적으로 보았을 때 준비하고 다른 일들을 처리한 후에 모임 장소에 가는 것이 촉박하게 여겨진다. 셋째로 문제 행동의 원인은 느긋하고 여유로운 성격에 있다. 넷째로 문제 행동을 유지하는 요인으로는 늦게 도착한다고 하더라도 큰일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목표로 모임을 할 때 중간 순서에는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를 세운다. 다섯째로 행동 변화 전략을 짜기 위하여 약속 시간을 30분 정도 앞당겨 생각하고 준비하도록 한다.
(2) 결과
오래된 나의 습관 버리기를 따라서 연습한 결과 약속 시간을 30분 당겨 생각하게 되니 준비가 빨라져서 약속 장소에 빠르게 도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더욱이 막상 활동 전에는 습관을 버리는 것이 힘들 것으로 생각했는데 활동을 하니 습관을 고치는 것이 조금만 노력하고 의식한다면 쉬운 것이라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Ⅲ 결론
본 글에서는 마음 트레이닝 방법을 실천하면서 자신의 내면을 가꾸도록 하였다. 특히, 자신에 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면서 단점으로 여겨질 수 있는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활동을 하면서 몰랐던 자기에 관하여 더욱 잘 알 수 있게 되었고 성숙한 자신을 위해 나아가는 것이 가능하였다.
Ⅳ 참고문헌
하혜숙·강지현(2020).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1) 개념 및 방법
오래된 나의 습관 버리기는 나쁜 것임을 알면서도 오래되어 버리기 힘든 습관을 생각해보고 버리는 방법을 의미한다. 오래된 습관의 경우에는 대인관계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자신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때문에 오래된 습관을 버리는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래된 습관 버리기를 위해서는 자신의 습관을 고쳐보기 위하여 행동 치료의 입장에서 행동 및 기능 분석과 목표 정하기, 행동 변화 전략 짜기, 평가하기 등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
2) 내용 및 결과
(1) 내용
첫째로 행동을 기술하자면 자신은 여러 사람과의 모임 약속을 할 때 장소에 약 10분에서 20분 정도 늦게 도착하는 등 가장 늦게 모임 장소에 가는 습관을 지녔다. 거의 대부분 여러 사람과 모이는 장소에서는 가장 늦게 도착하는 편이다.
둘째로 행동 및 기능을 분석하자면 문제 행동을 촉발하는 선행 사건으로는 자신이 늦게 도착한다고 하더라도 모두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는 중이며 자신을 탓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상황적 요인으로는 상황적으로 보았을 때 준비하고 다른 일들을 처리한 후에 모임 장소에 가는 것이 촉박하게 여겨진다. 셋째로 문제 행동의 원인은 느긋하고 여유로운 성격에 있다. 넷째로 문제 행동을 유지하는 요인으로는 늦게 도착한다고 하더라도 큰일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목표로 모임을 할 때 중간 순서에는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를 세운다. 다섯째로 행동 변화 전략을 짜기 위하여 약속 시간을 30분 정도 앞당겨 생각하고 준비하도록 한다.
(2) 결과
오래된 나의 습관 버리기를 따라서 연습한 결과 약속 시간을 30분 당겨 생각하게 되니 준비가 빨라져서 약속 장소에 빠르게 도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더욱이 막상 활동 전에는 습관을 버리는 것이 힘들 것으로 생각했는데 활동을 하니 습관을 고치는 것이 조금만 노력하고 의식한다면 쉬운 것이라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Ⅲ 결론
본 글에서는 마음 트레이닝 방법을 실천하면서 자신의 내면을 가꾸도록 하였다. 특히, 자신에 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면서 단점으로 여겨질 수 있는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활동을 하면서 몰랐던 자기에 관하여 더욱 잘 알 수 있게 되었고 성숙한 자신을 위해 나아가는 것이 가능하였다.
Ⅳ 참고문헌
하혜숙·강지현(2020).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추천자료
[심리학에게묻다] 2022년 2학기 중간과제물,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
[심리학에게묻다] 2022년 기말시험 과제물,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하여...
[심리학에게묻다] 2022년 2학기 기말시험 과제물,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
2022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기말시험 과제물(교재와 영상강의 15장 마음트레이닝)
심리학에게묻다 2022년 2학기 기말]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하여 자신의...
[심리학에게묻다] 2022년 기말시험 과제물,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하여...
[심리학에게묻다] 2022년 기말시험 과제물,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하여...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묻다 기말과제물)삶을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다...
[심리학에게묻다] 2023년 2학기 기말과제물, 1) 마음트레이닝에 소개된 다양한 활동들을 참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