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타지에서의 향수병
1) 눈 위에 남겨진 눈물 자욱 - 「낡은 집」
3. 도시의 그늘
1) 돌아갈 수도 돌아 설 수도 없는 곳 - 「몸바뀐 사람들」
4. 결론
5. 참고문헌
2. 타지에서의 향수병
1) 눈 위에 남겨진 눈물 자욱 - 「낡은 집」
3. 도시의 그늘
1) 돌아갈 수도 돌아 설 수도 없는 곳 - 「몸바뀐 사람들」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곳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그들은 고향에 정착하지 못하는 서글픈 현실을 담담하게 표현해 냄으로써 함께 그 고통을 나누고 있다. 강력한 탄압으로 고통 받던 일제 강점기, 도시화와 산업화가 빚어낸 그림자로 인해 길 위로 내쫓긴 소시민의 막막함까지 시대는 다르지만 고향을 상실한 그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비극의 본질을 객관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진정한 공감을 이루어 상처를 조금씩 깊어주고 있는 것이다.
Ⅴ.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김명호 외 13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김재홍, 『그들의 문학과 생애』 - 이용악, 한길사, 2008, 11쪽.
노용무, 『해방기 문학의 내적 형식과 길 모티프 연구』- 이용악의 시와 허준의 「잔등」을 중심으 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
박순원, 『이용악 시의 기법 연구』 - 「풀버렛소리 가득차잇섯다」, 「낡은집」, 「오랑캐꽃」 중심 으로, 한국 시학회, 66쪽.
윤희재, 『전공국어/현대시』, 도서출판 희소, 2008, 240쪽.
장석주, 『나는 문학이다』, 나무이야기, 2009.
홍문표, 『한국 현대문학사』, 창조출판사, 2003, 343쪽.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그들은 고향에 정착하지 못하는 서글픈 현실을 담담하게 표현해 냄으로써 함께 그 고통을 나누고 있다. 강력한 탄압으로 고통 받던 일제 강점기, 도시화와 산업화가 빚어낸 그림자로 인해 길 위로 내쫓긴 소시민의 막막함까지 시대는 다르지만 고향을 상실한 그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비극의 본질을 객관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진정한 공감을 이루어 상처를 조금씩 깊어주고 있는 것이다.
Ⅴ.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김명호 외 13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김재홍, 『그들의 문학과 생애』 - 이용악, 한길사, 2008, 11쪽.
노용무, 『해방기 문학의 내적 형식과 길 모티프 연구』- 이용악의 시와 허준의 「잔등」을 중심으 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
박순원, 『이용악 시의 기법 연구』 - 「풀버렛소리 가득차잇섯다」, 「낡은집」, 「오랑캐꽃」 중심 으로, 한국 시학회, 66쪽.
윤희재, 『전공국어/현대시』, 도서출판 희소, 2008, 240쪽.
장석주, 『나는 문학이다』, 나무이야기, 2009.
홍문표, 『한국 현대문학사』, 창조출판사, 2003, 343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