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 SWOT,STP분석과 마케팅 4P전략 분석 및 마켓컬리 미래 마케팅전략 제시와 나의생각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켓컬리 SWOT,STP분석과 마케팅 4P전략 분석 및 마켓컬리 미래 마케팅전략 제시와 나의생각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마켓컬리 기업소개

2. 마켓컬리 시장 경쟁상황 분석

3. 마켓컬리 SWOT분석
(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 -위협

4. 마켓컬리 STP분석
(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2) Targeting (목표타겟선정)
(3) Positioning (포지셔닝)

5. 마켓컬리 마케팅 4P전략 분석
(1) Product -제품전략
(2) Price -가격전략
(3) Place -유통전략
(4) Promotion -촉진전략

6. 미래 마케팅전략 제시

7. 결론 및 나의생각

본문내용

의 집 앞까지 배송할 때 까지 냉장/냉동 차량을 이용해 상품별로 최적화된 포장재 사용 원칙을 지킨다. 이처럼 유통전과정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풀콜드체인(Full Cold Chain) 시스템과 함께 다음날 바로 배송받는 샛별배송 서비스를 구축했기에 농장에서 고객의 식탁까지 24시간 내에 가장 신선한 상태로 상품을 배송할 수 있었다.
(4) Promotion -촉진전략
마켓컬리는 기존고객을 유지하는 전략과 신규고객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동시에 하고 있다. 전지현을 모델로 기용한 광고를 통해 기업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성공했고, 매일 오전 11시에 베스트 상품을 24시간 한정 특가로 판매하는 일일특가와 마켓컬리 첫 가입회원들을 대상으로 인기상품을 100원에 판매하는 100원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3% 추가 할인쿠폰이나 친구를 초대하면 5천원을 지급해 일반회원이더라도 마켓컬리의 충성고객이 되도록 다양한 할인혜택과 이벤트를 마련한다.
6. 미래 마케팅전략 제시
새로운 기획으로 ‘실버가 아닌 금빛으로, 골든 컬리’라는 슬로건으로 5060에게 ‘부유한 웰빙 패키지’를 구독 서비스로 제공하는 전략을 생각해보았다. 패키지는 고품질 건강식, 영양제, 간편식 등 5060을 위한 케어푸드를 포함하여 실속있는 건강 관리를 중시하는 5060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또한 주기적인 구매를 유도해 재구매율을 높여 향후 충성 고객으로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사회 속에서 잊혀졌던 5060의 자아를 상기시키게끔 하여 마켓컬리와 소비자 사이의정서적 연결 작용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사업초기 전지현 CF광고를 통해 고객유지율 상승과 신규유입 확보를 했으므로 추가적인 광고는 지양하며 충성도 높은 기존 고객들에게 더욱 집중해야 한다.
또한 마켓컬리의 소비력이 제일 많은 고객층은 주부들이다. 이들에게 마켓컬리의 장점인 신선하고 안전한 프리미엄 식자재, 식품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주말드라마 PPL, TV광고, 40대 50대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BAND등을 활용하여 마켓컬리를 꾸준히 노출 시키는 것도 좋겠지만, 마켓컬리의 전략을 제시해본다면 구매력이 강한 주부들이 밀집해 있는 주요도시, 강남이나 청담 등에 마켓컬리가 팝업스토어를 운영하여 스토어에서 신선한 상품들도 팔면서 어떤 곳에서 자라 어떻게 성장하고 어떻게 수확 하였는지도 설명해준다면 더욱 신뢰가 갈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팝업 스토어를 활용하여 작은 텃밭을 만들어 가족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체험 시스템도 좋을 것 같고, 원데이 클래스 요리교실을 개최하여 실제 마켓컬리에서 판매되는 상품들로 요리강습을 하여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많은 체험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팝업스토어를 만드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좋을 것 같고, 글램핑장, 에어비앤비 장소 등 여행지로 유명한 장소에 해당 여행지에서 만들어 먹기 좋은 음식들의 재료를 파는 마켓컬리존을 만드는 등 경쟁이 치열한 온라인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오프라인을 활용 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7. 결론 및 나의생각
마켓컬리는 이미 자사 플랫폼을 통해 신선식품 이외의 상품을 팔고 있다. 헬스케어, 주방, 유아동 용품과 같은 품목들이 그것이다. 이는 마켓컬리의 주고객인 30대 여성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추가한 것인데, 신선식품 수요자를 주요 고객으로 삼아 확장하는 오픈마켓은 커머스 시장의 또 다른 모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이런 품목들의 특징은 굳이 ‘새벽’에 배송할 필요가 없다는 데 있다. 비용이 많이 드는 샛별배송이 아니라 외부 택배업체를 통해 배송을 해도 무방하다. 당연히 직매입을 통해 재고부담을 감수할 이유 또한 없다. 나아가 셀러들의 상품을 입점시켜 ‘오픈마켓’ 형식으로 판매하더라도 새로운 수익모델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이 또한 추후 대기업이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에 안착할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켓컬리만의 생존방식이 될 수 있을지 확신하긴 어렵다.
물류가 마켓컬리 성장의 핵심 경쟁력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동시에 물류는 마켓컬리에 비용이라는 거대한 숙제를 안겨줬다. 그것을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로켓배송으로 성장한 쿠팡이 로켓배송을 대체하는 ‘쿠팡플렉스’라는 공유물류 서비스를 만든 것처럼 말이다. 마켓컬리 또한 쿠팡과 같은 대안을 찾아, 아니 그것을 넘어 거대자본의 공격 속에서 살아남는 후발 유통업체의 생존 모델을 제시해주기를 기대한다.
  • 가격4,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12.07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18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