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음식 음식의 세계 교재 1장을 참고하여,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개념 정의를 각각 서술하고, 3가지 기능별로 실제로 일상에서 어떻게 수행하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 음식 음식의 세계 교재 1장을 참고하여,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개념 정의를 각각 서술하고, 3가지 기능별로 실제로 일상에서 어떻게 수행하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교재 1장을 참고하여,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개념 정의를 각각 서술하고, 3가지 기능별로 실제로 일상에서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자신의 경험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1) 생태적 기능
2) 사회적 기능
3) 심리적 기능
2. 교재 2장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특별한 음식문화 중 ‘통과의례’와 관련된 내용(예: 백일, 돌, 혼례, 제사 등)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하고, 어떤 내용인지 개념 정의를 서술하고 자신의 배경(고향 혹은 집안 풍습)을 중심으로 해당 ‘통과의례’의 특이한 문화적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설날에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준비하고 기제사에는 무와 북어를 자주 사용하였다. 찜의 경우 특히 설날과 추석에는 조기를 대부분 활용했고 특별히 좋아하시던 갈비찜과 명태찜을 가끔 올리는 편이다. 춘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식재료인 닭찜을 준비하기도 했다. 조림 또한 강원도 지역에서 많이 나는 닭조림과 오징어조림을 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나물의 경우 가장 자주 준비하는 나물은 고사리나물로 설, 추석, 기제사에 고루 고정적으로 올리는 편이었고 숙주나물과 도라지나물을 그 다음으로 많이 이용했다. 전 종류에는 동태전, 메밀전, 완자전, 감자전이 자주 활용되는 편이었고 가끔 수산물을 활용해 오징어부침과 명태포전을 올리기도 했다. 적은 대부분 쇠고기 산적을 범용적으로 올렸으며 닭적, 두부적을 활용했다. 구이 종류는 두부적과 겹치지 않도록 두부구이, 조기구이를 올리는 편이며 튀김은 생전에 좋아하시던 오징어, 새우 등을 활용하는 편이다. 포는 북어포, 오징어포, 명태포 등을 자주 활용하고 명절에 가끔 육포를 올리기도 한다. 떡은 약식을 대부분 활용하고 추석에는 송편으로 대체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절편, 인절미, 감자송편 등을 차려 올린 적도 있다. 과일의 종류는 밤, 대추, 곶감은 거의 기본적으로 활용하고 계절과 절기에 맞게 추석에는 배, 사과, 감 등을 추가하고 좋아하시던 귤과 딸기를 올리기도 했다. 제상에 이용되는 술은 청주를 올리되 가끔 즐겨 드시던 맥주를 활용하기도 했다. 기타 종류로는 간장, 소금, 젓갈 등을 함께 올리고 식혜는 국물을 제외하고 밥을 건져 올려 올리는 편이다. 우리집에서는 떡, 과일, 전과 포의 일부, 술 등을 제사시기에 맞춰 구입하는 편이고 가정에서 준비할 수 있는 탕 종류, 구이, 소고기산적과 전 등은 직접 만들어 준비하는 편이다. 보편적인 제사 상차림과 비교했을 때 우리 지역만의 특징은 재료로 닭과 오징어, 감자가 자주 등장한다는 점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조상님께서 생전에 좋아하시던 음식인 치킨, 맥주, 귤 등을 함께 올리게 되는 것 또한 우리집에서 찾아볼 수 있는 새로운 제사 음식의 형태였다.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제사 음식을 구입할 수 있게 되면서 제사 음식을 준비하는 부담이 덜어진 한편 조상님들에게 정성이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함께 공존한다. 하지만 제사를 준비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외식업체가 발달하면서 제사 음식 또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전문가들이 증가하여 상차림을 대행하는 업체가 많이 생겨나고 있기 때문에 전통은 지켜나가면서도 후손들의 부담을 덜어 보다 즐겁고 기꺼운 마음으로 제사를 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이 아닐까?
3. 출처 및 참고문헌
김미영(2020),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영남학, 72, pp. 207-230,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김은실, 함승시(2001), 춘천 지역 주부들의 제례음식 준비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1(4), pp. 235-246, 동아시아식생활학회.
정혜경(2010), 삶의 중요한 기점마다 먹은 음식, 통과의례 음식, 식품문화 한맛한얼, 3(3), pp. 324-331, 한국식품연구원.
25조 배달시장 놓고 배달대행업체도 경쟁 심화, 박소정, 뉴데일리경제, 2022. 04. 21.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2/04/21/2022042100108.html.
음식의 사회적 기능을 통해 경쟁력 모색, 김철원, 식품외식경제, 2017. 04. 28. https://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62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12.28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3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