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론 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문법론 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를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관형사와 관형어의 특징
(2) 부사와 부사어의 특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니다. 예의 목적어로서 관형어가 필요하지만 대용어를 생략시킴으로서 관형어를 생략시키고 접속부사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뒷부분을 생략시키거나 보어가 생략되는 등 부사가 생략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사를 분석할 때에는 다양한 한국어 문법과 예시가 필요하며 추측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3. 결론
관형사가 수사나 대명사에 속하는 품사들과 외형이나 기능적 측면에서 유사했기 때문에 품사의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면이 있었다. 다른 품사와 통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여러 학자들이 여러 가지 관형어를 분석하여 구조와 의미 단어들을 재설정하고 있다. “이들은 상당수의 관형사 어휘 항목들을 관형사 목록에서 제외하면서도 기존의 관형사 범주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북한에서 간행된 ‘조선어 문법(1949)’에서는 관형사로 분류된 모든 어휘 항목들을 일관되게 제외함으로써 독립 품사인 관형사를 품사 설정에서 아예 제외하기도 하였다. 즉 관형사로 분류되던 낱말들을 유사한 형태의 어휘 항목이 있는 타 품사에 나누어 귀속시킴으로써 관형사가 배제된 품사분류를 시도했다.”
김선미, 프랑스문화예술연구, 한국어 관형사의 통사기능과 범주에 관한 고찰, 제 21집, 2007.
부사는 서술어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 즉 구, 절, 문장 등도 수식할 수 있고 다른 부사 및 관형사 심지어 체언도 수식할 수 있기 때문에, 체언을 수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관형사를 부사라는 품사에 묶을 수 있다는 것이다. 관형사의 고유 기능은 후행하는 체언을 수식하는 것인데 바로 이 기능 때문에 수식언 안에서 부사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부사 중에도 체언을 수식하는 부사가 있고, 이들을 포함한 몇몇 부사는 관형어처럼 일체의 조사 결합을 허용하지 않기도 한다. 부사 역시 체언을 수식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체언 수식 기능이라는 점에서 관형사와 부사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관형어와 비슷하게 사용되는 부사의 기능이 수식언의 분류를 어렵게 한다. 또한 체언만을 수식하는 관형사의 숫자도 굉장히 많아서 체언과 용언을 모두 수식하는 두 가지 기능을 하는 어형들까지 포함한다면 관형사를 독립 품사로 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체언 수식 기능만을 갖는 관형사가 아닌 예외적인 성격을 갖는 낱말들의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예외는 예외로 남겨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선미, 프랑스문화예술연구, 한국어 관형사의 통사기능과 범주에 관한 고찰, 제 21집, 2007.
https://kiss-kstudy-com.proxy.jbnu.ac.kr/DetailOa/Ar?key=50624817
관형어와 부사어, 문장성분, 우리말사랑누리집
http://www.woorimal.net/language/moonbub/sentance-2.htm#%EA%B4%80%ED%98%95%EC%96%B4
장소원, 국어학, 현재국어의 생략 부사어, 52권, 2008
https://kiss-kstudy-com.proxy.jbnu.ac.kr/Detail/Ar?key=3734715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12.29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4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