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훈육이란
(2)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
(3) 훈육과 학대의 기준 및 경계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훈육이란
(2)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
(3) 훈육과 학대의 기준 및 경계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모마다 다를 수 있다. 훈육을 하기 전 부모가 자신과 아동의 감정상태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3. 결론
훈육이 정서적 학대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부모 스스로가 훈육이 정서적 학대와 종이 한 장 차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의 입장에서는 아동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기 위한 방법이라고 택한 훈육의 방법이 아동에게는 신체적, 정신적 상처가 될 수 있다. 부모가 감정적인 상태에서 하는 훈육은 그 교육적 효과가 없음을 알고 자신의 감정을 먼저 다스린 후 아동을 훈육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감정이 배제된 훈육은 실제로 일어난 사실과 그로 인한 결과만을 가지고 이야기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객관적이다. 또 훈육을 받는 아동도 훈육의 이유와 고쳐야 할 점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을 통해 아동의 발달 특성과 행동 특징, 기질 등을 파악하고 잘못된 행동을 한 아동의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발달 단계상 아직 타인의 감정이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단계의 아동에게 너무 높은 수준의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며 강하게 훈육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한 훈육이기 때문이다.
또 훈육을 대체할 수 있는 긍정적인 여러 양육 방법이 있음을 알고, 부모교육을 통해 그것을 연습할 기회를 갖는다면 더더욱 좋은 것이다.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아동의 발달 주기에 맞춰 단계에 맞는 부모교육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덜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겠다.
아동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올바르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는 물론, 사회의 구조적 지원이 절실하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온 몸에 멍자국’ 숨진 초등생…학대 부모 “훈육 위해 때려”, 박준철, 경향신문, 2023.2.8.
심리학 용어사전, 박용천, 최기용, 한국심리학회, 2014
훈육행위로 인한 아동학대 사건 판례에 대한 고찰, 박연주, 한창근,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1995
부모의 징계권과 아동학대, 안영하, 성균관대학교, 2018
훈육과 학대의 경계: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살펴본 자신과 타인의 체벌 기준, 정규희, 김희송, 김종한, 양경무, 최인석, 박재홍, 보건사회연구원, 2021
아동학대 가해자 10명 중 8명은 친부모, 김영주, jtbc, 2023.5.4.
3. 결론
훈육이 정서적 학대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부모 스스로가 훈육이 정서적 학대와 종이 한 장 차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의 입장에서는 아동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기 위한 방법이라고 택한 훈육의 방법이 아동에게는 신체적, 정신적 상처가 될 수 있다. 부모가 감정적인 상태에서 하는 훈육은 그 교육적 효과가 없음을 알고 자신의 감정을 먼저 다스린 후 아동을 훈육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감정이 배제된 훈육은 실제로 일어난 사실과 그로 인한 결과만을 가지고 이야기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객관적이다. 또 훈육을 받는 아동도 훈육의 이유와 고쳐야 할 점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을 통해 아동의 발달 특성과 행동 특징, 기질 등을 파악하고 잘못된 행동을 한 아동의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발달 단계상 아직 타인의 감정이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단계의 아동에게 너무 높은 수준의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며 강하게 훈육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한 훈육이기 때문이다.
또 훈육을 대체할 수 있는 긍정적인 여러 양육 방법이 있음을 알고, 부모교육을 통해 그것을 연습할 기회를 갖는다면 더더욱 좋은 것이다.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아동의 발달 주기에 맞춰 단계에 맞는 부모교육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덜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겠다.
아동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올바르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는 물론, 사회의 구조적 지원이 절실하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온 몸에 멍자국’ 숨진 초등생…학대 부모 “훈육 위해 때려”, 박준철, 경향신문, 2023.2.8.
심리학 용어사전, 박용천, 최기용, 한국심리학회, 2014
훈육행위로 인한 아동학대 사건 판례에 대한 고찰, 박연주, 한창근,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1995
부모의 징계권과 아동학대, 안영하, 성균관대학교, 2018
훈육과 학대의 경계: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살펴본 자신과 타인의 체벌 기준, 정규희, 김희송, 김종한, 양경무, 최인석, 박재홍, 보건사회연구원, 2021
아동학대 가해자 10명 중 8명은 친부모, 김영주, jtbc, 2023.5.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