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본인의 장점
2.2 본인의 단점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본인의 장점
2.2 본인의 단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이때 본인은 그 사람에게 큰 기대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료만 보더라도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더욱더 꼼꼼하게 자료를 준비했었다. 하지만, 추후 본인이 발표를 하는 상황이 왔을 때는 대본은 만들고 한 글자도 틀리면 안 된다는 긴장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말을 하다가 살짝 절게 되었음에도 계속 망했다는 자책을 하고는 하였었다.
(5) 높은 자존감을 넘어 자만심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앞서 계속 언급하였다시피 본인, 그리고 타인에게 항상 꼼꼼하거나 똑 부러진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라왔었기 때문에 높은 자존감을 지니고 있는 편이다. 물론 이러한 높은 자존감으로 인해 타인과 쉽게 더불어 살 수 있고, 일도 빠르게 처리하거나 나설 수 있다는 점은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간혹 이러한 높은 자존감, 자신감은 자만심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본인이 지금까지 특정 물건을 다루는 것에 있어서 가장 잘 다룬다고 여기던 시기가 있었다. 이 시기에 본인은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다루는 것에 대해 답답함을 느꼈었고, 더 나서기도 했던 거 같다. 하지만 알고 보니 본인과 함께 하던 집단에는 본인보다 더 오랜 기간 그 물건을 다루던 사람이 있었으며, 그 사람은 항상 묵묵히 있었다. 그러다가 그 사람이 본인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조용히 해결하는 것을 보며 부끄러움을 느낀 적이 있었다.
3. 결론
최근 들어 다양한 부류의 사람이 나타나면서, 내담자에 대한 상당 기법은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사람들을 잘 파악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타인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본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능력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점보다는 단점을 먼저 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인의 많은 장점과, 적은 단점을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장점으로 여겨지는 것은 단점으로 다가올 수도 있고, 단점은 다시 장점으로 올 수도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추후 내담자 상담을 진행 시,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 수 있도록 상담을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박기영, (2007). 기독교상담학의 성향 분류에 따른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 모델 : 성경관, 인간이해, 심리학 개방성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307419
(5) 높은 자존감을 넘어 자만심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앞서 계속 언급하였다시피 본인, 그리고 타인에게 항상 꼼꼼하거나 똑 부러진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라왔었기 때문에 높은 자존감을 지니고 있는 편이다. 물론 이러한 높은 자존감으로 인해 타인과 쉽게 더불어 살 수 있고, 일도 빠르게 처리하거나 나설 수 있다는 점은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간혹 이러한 높은 자존감, 자신감은 자만심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본인이 지금까지 특정 물건을 다루는 것에 있어서 가장 잘 다룬다고 여기던 시기가 있었다. 이 시기에 본인은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다루는 것에 대해 답답함을 느꼈었고, 더 나서기도 했던 거 같다. 하지만 알고 보니 본인과 함께 하던 집단에는 본인보다 더 오랜 기간 그 물건을 다루던 사람이 있었으며, 그 사람은 항상 묵묵히 있었다. 그러다가 그 사람이 본인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조용히 해결하는 것을 보며 부끄러움을 느낀 적이 있었다.
3. 결론
최근 들어 다양한 부류의 사람이 나타나면서, 내담자에 대한 상당 기법은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사람들을 잘 파악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타인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본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능력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점보다는 단점을 먼저 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인의 많은 장점과, 적은 단점을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장점으로 여겨지는 것은 단점으로 다가올 수도 있고, 단점은 다시 장점으로 올 수도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추후 내담자 상담을 진행 시,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 수 있도록 상담을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박기영, (2007). 기독교상담학의 성향 분류에 따른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 모델 : 성경관, 인간이해, 심리학 개방성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307419
추천자료
게슈탈트 집단상담
(수업지도안) 윤리 교과 교수 학습 지도안
[게슈탈트 심리치료][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게슈탈트 심리치료와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 (...
집단상담의 개념과 목표 및 형태, 집단상담의 장단점, 집단상담과 개인상담의 비교, 집단지도...
자신의 장점 30가지와 단점 5가지를 적어보세요
자신의 장점 30가지와 단점 5가지를 적어보세요. 특별히 단점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상황적인 ...
상담심리학-자신의 장점 30가지와 단점 5가지를 적어보세요
상담심리학_자신의 장점 30가지와 단점 5가지를 적어보세요. 특별히 단점에 대해서는 구체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