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입
1) 인사 및 학습문형 도출
2. 제시
1) 'A/V-아서/어서'의 의미 제시
2) 'A/V-아서/어서'의 형태 제시
3. 연습 (문법 연습)
1) 기계적 연습
2) 유의미한 연습
4. 생성 및 활용
1) 짝 활동
5. 정리
1) 인사 및 학습문형 도출
2. 제시
1) 'A/V-아서/어서'의 의미 제시
2) 'A/V-아서/어서'의 형태 제시
3. 연습 (문법 연습)
1) 기계적 연습
2) 유의미한 연습
4. 생성 및 활용
1) 짝 활동
5. 정리
본문내용
‘많아서’, ‘받다’는 받아서 돼요.
그럼, ‘아프다’ 는요? ‘ㅡ’로 끝나면 어때요?
그 앞을 보면 돼요. ‘아’는 ‘ㅏ’ 있어요. 그래서 ‘아파서’ 돼요. 좋아요.
T: (PPT 다음 슬라이드를 넘기며)
‘마시다’에 ‘ㅏ, ㅗ’가 있어요?
맞아요. 그래서 ‘마시-’에 ‘-어서’를 합쳐 ‘’마셔서“라고 말해요. ‘배우다’를 보세요. 무엇으로 끝나요?
T: 맞아요. 우리 ‘ㅜ’로 끝나면 ‘-어서’를 더해 ‘-워서’라고 해요. 그래서 배워서라고 해요.
‘맛있다’는 뭐라고 해요?, ‘있다’?, ‘없다’?
아래 별 표한 두 개 ‘춥다’와 ‘걷다’를 봐요.
어때요? 둘 다 ㅂ하고 ㄷ이 있어요. ‘춥다’의 ㅂ은 없어지고 ‘우’로, ‘걷다’의 ‘ㄷ’은 ‘ㄹ’로 바뀌어요.
그럼 어떻게 되나요? 춥다는? 걷다는?
맞아요. 너무 잘했어요!
마지막으로 ‘-하다’는 모두 ‘-해서’라고 해요.
‘일하다’는? ‘피곤하다’는? ‘좋아하다’는?
‘공부하다’는?
잘했어요!
Ss: T의 설명을 듣고, 단어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익힌다. T의 질문에 대답한다.
S: ‘자다’는 자서,
‘보다’는 봐서,
‘가다’는 가서,
‘좋다’는 좋아서
S: 아니요 없어요.
S: ‘ㅜ’요.
S: 맛있어서/있어서/없어서
S: ‘추워서, 걸어서’요.
S: 일해서, 피곤해서, 좋아해서, 공부해서
PPT 슬라이드
5-8
7분
연습
● 문법 연습(기계적 연습)
1) 주어진 그림을 보고 괄호 안의 단어의 형태를 A/V아서/어서로 바꾸어 문장 완성하기
T: 아기가 울어요. 왜 울어요?
맞아요. 배가 고파요. 그래서 울어요.
우리 연결해요. 배고파서 아기가 울어요.
T: (두 번째 PPT를 보며 문장 읽으며 답변 유도) 괜찮아요? 많이 피곤해 보여요.
왜 피곤해요? 맞아요. 일이 많아서 피곤해요.
T: (세 번째 PPT를 보며 문장 읽으며 답변 유도) 과자가 많아요. 왜 밥을 안 먹어요?
과자를 많이 먹었어요.
T: 잘했어요!
2) 두 개의 짧은 주어진 문장을 가지고 A/V-아서/어서의 형태를 이용하여 이유와 결과를 나타내는 한 문장으로 이야기하기
T: 화면을 보세요. 문장 몇 개 있어요?
T: 맞아요. 읽어 볼까요?
T: 잘했어요. 왜 한국어를 공부해요?
(나머지 앞 문장을 띄우며 읽기) 한국이 좋다.
한국어를 왜 공부해요? 맞아요,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선생님 따라 해 볼까요?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BTS가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한국 음식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T: (같은 슬라이드 다음 문장) 영화가 재미있다. 다섯 번 봤어요. 영화가 재미있어서 다섯 번 봤어요.
T: 이제 여러분만 대답해보세요.
운동하다, 기분이 좋아요.
잘했어요!
많이 걷다, 다리가 아파요
맞아요, 괜찮아요? 걷다의 받침 ㄷ은 ㄹ로 바뀌죠.
T: 날씨가 덥다, 아이스크림을 먹었어요.
잘했어요. 덥다의 ㅂ은 없어지고 ‘우’가 ‘-어서’와 만나요. 잘했어요.
T: 전화를 못 받았어요. 왜요? 아하, 운전하고 있어서 전화를 못 받았어요. 너무 잘했어요.
S: 배고파요.
배고파서 아기가 울어요.
S: 일이 많아요.
일이 많아서 피곤해요.
S: 과자를 많이 먹어서 배불러요.
S: 두 개요.
S: 한국이 좋다. 한국어를 공부해요.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S: 영화가 재미있어서 다섯 번 봤어요.
(PPT 슬라이드를 보며 두 문장을 읽고, -아서/어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만든다. T의 질문에 대답한다.
S: 운동해서 기분이 좋아요.
S: 많이 걸어서 다리가 아파요.
S: 날씨가 더워서 아이스크림을 먹었어요.
S: 운전하고 있어서 전화를 못 받았어요.
PPT 슬라이드
9-12
5분
● 문법 연습 (유의미한 연습)
- 짝 활동을 통해, 연습지를 가지고 오늘 배운 문법 내용에 대해 직접 말하고 상대방의 말을 듣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스로 알맞은 문법형태로 변형해야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짝 활동이 이뤄지는 동안 순회지도)
T: 여기 수진 씨와 레이첼 씨가 있어요.
두 사람이 전화해요. 빈칸을 채워 연습해요.
짝이랑 같이 연습해요.
Ss: (짝과 함께 아서/어서 구문에 주의하며, 대화문을 채워 말하기 연습을 한다.)
연습지
(짝 활동)
10분
생성
및
활용
● ‘A/V-아서/어서’ 표현이 사용된 문장 말하고 듣기
- 짝과 과제하기 : 친구를 인터뷰하고 소개하기
T: 활동지를 보세요. 교실에서 짝을 인터뷰할 거예요. 인터뷰하기 전에, 친구에게 궁금한 점을 활동지에 적고, 친구한테 물어봐요.
오늘 배운 아서/-어서를 사용해서 답을 써요.
왜? 하고 꼭 물어봐요. 이유를 적어요.
인터뷰가 끝나면 순서를 바꾸세요.
(*짝 활동이 이뤄지는 동안 순회지도)
1단계. 인터뷰 질문지 작성
2단계. 인터뷰하고 아서/-어서를
이용해서 대답 적기.
3단계. 인터뷰한 친구를 소개하기 (발표)
● 발표하기
- 친구의 대답을 가지고 발표하기
T: 짝과 함께 나와서 발표해요. 짝을 소개해 주세요. -아서/-어서로 이유를 말해요.
Ss: (학생들은 활동지에 친구에게 묻고 싶은 질문을 적는다. 그리고 친구에게 묻고 대답을 활동지를 적는다. 대답을 적을 때 오늘 배운 문법(-아서/-어서)을 이용한다. 인터뷰한 친구에 대해 발표한다.)
질문이 적혀있는
활동지
16분
정리
(마무리)
● 학습한 문형 재확인 및 숙제
T: 우리 오늘 A/V-아서/어서를 배웠어요. 이유를 말할 때 말해요. 집에 가기 전에 한 문장씩 말해볼까요? 여러분, 집에 가고 싶어요? 왜 집에 가고 싶어요?
T: 잘했어요. 오늘 숙제 알려줄게요. 숙제를 보세요. 이게 뭐예요? 맞아요. 문자예요. 민지가 샌디한테 문자 보내요. 잘 읽고 적어오세요.
오늘 배운 아서/어서 3번 써야 해요.
● 차시 예고, 인사
T: 우리 내일은 초대하는 것에 대해 배울 거예요.
즐거운 오후 되세요. 내일 만나요.
S: 배고파서 집에 빨리 가고 싶어요.
S: 문자/메시지/카톡이요.
S: 네, 감사합니다.
내일 만나요.
숙제
5분
[제시-의미 제시]
[연습-기계적 연습]
[연습-유의미한 연습]
[활용-짝 활동]
그럼, ‘아프다’ 는요? ‘ㅡ’로 끝나면 어때요?
그 앞을 보면 돼요. ‘아’는 ‘ㅏ’ 있어요. 그래서 ‘아파서’ 돼요. 좋아요.
T: (PPT 다음 슬라이드를 넘기며)
‘마시다’에 ‘ㅏ, ㅗ’가 있어요?
맞아요. 그래서 ‘마시-’에 ‘-어서’를 합쳐 ‘’마셔서“라고 말해요. ‘배우다’를 보세요. 무엇으로 끝나요?
T: 맞아요. 우리 ‘ㅜ’로 끝나면 ‘-어서’를 더해 ‘-워서’라고 해요. 그래서 배워서라고 해요.
‘맛있다’는 뭐라고 해요?, ‘있다’?, ‘없다’?
아래 별 표한 두 개 ‘춥다’와 ‘걷다’를 봐요.
어때요? 둘 다 ㅂ하고 ㄷ이 있어요. ‘춥다’의 ㅂ은 없어지고 ‘우’로, ‘걷다’의 ‘ㄷ’은 ‘ㄹ’로 바뀌어요.
그럼 어떻게 되나요? 춥다는? 걷다는?
맞아요. 너무 잘했어요!
마지막으로 ‘-하다’는 모두 ‘-해서’라고 해요.
‘일하다’는? ‘피곤하다’는? ‘좋아하다’는?
‘공부하다’는?
잘했어요!
Ss: T의 설명을 듣고, 단어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익힌다. T의 질문에 대답한다.
S: ‘자다’는 자서,
‘보다’는 봐서,
‘가다’는 가서,
‘좋다’는 좋아서
S: 아니요 없어요.
S: ‘ㅜ’요.
S: 맛있어서/있어서/없어서
S: ‘추워서, 걸어서’요.
S: 일해서, 피곤해서, 좋아해서, 공부해서
PPT 슬라이드
5-8
7분
연습
● 문법 연습(기계적 연습)
1) 주어진 그림을 보고 괄호 안의 단어의 형태를 A/V아서/어서로 바꾸어 문장 완성하기
T: 아기가 울어요. 왜 울어요?
맞아요. 배가 고파요. 그래서 울어요.
우리 연결해요. 배고파서 아기가 울어요.
T: (두 번째 PPT를 보며 문장 읽으며 답변 유도) 괜찮아요? 많이 피곤해 보여요.
왜 피곤해요? 맞아요. 일이 많아서 피곤해요.
T: (세 번째 PPT를 보며 문장 읽으며 답변 유도) 과자가 많아요. 왜 밥을 안 먹어요?
과자를 많이 먹었어요.
T: 잘했어요!
2) 두 개의 짧은 주어진 문장을 가지고 A/V-아서/어서의 형태를 이용하여 이유와 결과를 나타내는 한 문장으로 이야기하기
T: 화면을 보세요. 문장 몇 개 있어요?
T: 맞아요. 읽어 볼까요?
T: 잘했어요. 왜 한국어를 공부해요?
(나머지 앞 문장을 띄우며 읽기) 한국이 좋다.
한국어를 왜 공부해요? 맞아요,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선생님 따라 해 볼까요?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BTS가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한국 음식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T: (같은 슬라이드 다음 문장) 영화가 재미있다. 다섯 번 봤어요. 영화가 재미있어서 다섯 번 봤어요.
T: 이제 여러분만 대답해보세요.
운동하다, 기분이 좋아요.
잘했어요!
많이 걷다, 다리가 아파요
맞아요, 괜찮아요? 걷다의 받침 ㄷ은 ㄹ로 바뀌죠.
T: 날씨가 덥다, 아이스크림을 먹었어요.
잘했어요. 덥다의 ㅂ은 없어지고 ‘우’가 ‘-어서’와 만나요. 잘했어요.
T: 전화를 못 받았어요. 왜요? 아하, 운전하고 있어서 전화를 못 받았어요. 너무 잘했어요.
S: 배고파요.
배고파서 아기가 울어요.
S: 일이 많아요.
일이 많아서 피곤해요.
S: 과자를 많이 먹어서 배불러요.
S: 두 개요.
S: 한국이 좋다. 한국어를 공부해요.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해요.
S: 영화가 재미있어서 다섯 번 봤어요.
(PPT 슬라이드를 보며 두 문장을 읽고, -아서/어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만든다. T의 질문에 대답한다.
S: 운동해서 기분이 좋아요.
S: 많이 걸어서 다리가 아파요.
S: 날씨가 더워서 아이스크림을 먹었어요.
S: 운전하고 있어서 전화를 못 받았어요.
PPT 슬라이드
9-12
5분
● 문법 연습 (유의미한 연습)
- 짝 활동을 통해, 연습지를 가지고 오늘 배운 문법 내용에 대해 직접 말하고 상대방의 말을 듣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스로 알맞은 문법형태로 변형해야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짝 활동이 이뤄지는 동안 순회지도)
T: 여기 수진 씨와 레이첼 씨가 있어요.
두 사람이 전화해요. 빈칸을 채워 연습해요.
짝이랑 같이 연습해요.
Ss: (짝과 함께 아서/어서 구문에 주의하며, 대화문을 채워 말하기 연습을 한다.)
연습지
(짝 활동)
10분
생성
및
활용
● ‘A/V-아서/어서’ 표현이 사용된 문장 말하고 듣기
- 짝과 과제하기 : 친구를 인터뷰하고 소개하기
T: 활동지를 보세요. 교실에서 짝을 인터뷰할 거예요. 인터뷰하기 전에, 친구에게 궁금한 점을 활동지에 적고, 친구한테 물어봐요.
오늘 배운 아서/-어서를 사용해서 답을 써요.
왜? 하고 꼭 물어봐요. 이유를 적어요.
인터뷰가 끝나면 순서를 바꾸세요.
(*짝 활동이 이뤄지는 동안 순회지도)
1단계. 인터뷰 질문지 작성
2단계. 인터뷰하고 아서/-어서를
이용해서 대답 적기.
3단계. 인터뷰한 친구를 소개하기 (발표)
● 발표하기
- 친구의 대답을 가지고 발표하기
T: 짝과 함께 나와서 발표해요. 짝을 소개해 주세요. -아서/-어서로 이유를 말해요.
Ss: (학생들은 활동지에 친구에게 묻고 싶은 질문을 적는다. 그리고 친구에게 묻고 대답을 활동지를 적는다. 대답을 적을 때 오늘 배운 문법(-아서/-어서)을 이용한다. 인터뷰한 친구에 대해 발표한다.)
질문이 적혀있는
활동지
16분
정리
(마무리)
● 학습한 문형 재확인 및 숙제
T: 우리 오늘 A/V-아서/어서를 배웠어요. 이유를 말할 때 말해요. 집에 가기 전에 한 문장씩 말해볼까요? 여러분, 집에 가고 싶어요? 왜 집에 가고 싶어요?
T: 잘했어요. 오늘 숙제 알려줄게요. 숙제를 보세요. 이게 뭐예요? 맞아요. 문자예요. 민지가 샌디한테 문자 보내요. 잘 읽고 적어오세요.
오늘 배운 아서/어서 3번 써야 해요.
● 차시 예고, 인사
T: 우리 내일은 초대하는 것에 대해 배울 거예요.
즐거운 오후 되세요. 내일 만나요.
S: 배고파서 집에 빨리 가고 싶어요.
S: 문자/메시지/카톡이요.
S: 네, 감사합니다.
내일 만나요.
숙제
5분
[제시-의미 제시]
[연습-기계적 연습]
[연습-유의미한 연습]
[활용-짝 활동]
추천자료
한국어 교수 학습법 적용 사례 - 직접교수법을 활용하여 -
한국어 교수 학습법 적용 사례 -전신반응 교수법을 활용하여
한국어실습보고서 - 한국어를 접한 지 1년 내외인 초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 (선정 문법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육 방안 연구 - 연결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 연결어미 중에서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에 대해 서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한국어 연결어미 중에서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에 대해 서술...
한국어 모의 수업 지도안, 수업 자료
배론 한국어교원2급 실습, 교재및 문형선정, 모의수업지도안, 참관보고서, 상호평가보고서
한국어문법교육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