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선과 차별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기사에 따르면 서울 관악구에 사는 학부모 장모씨는 “이주민 학부모는 정서가 달라 자녀 교육에 대한 생각도 다를 수 있고 다문화 학생 중에는 언어 문제로 말이 통하지 않거나 학부모로부터 방치돼 생활하는 아이들이 있다는 선입견으로 자녀가 다문화 학생과 어울리지 않게 하려는 분위기가 있다”고 전한다. 다문화학생 20만 달하는데 차별여전, 신중섭, 이건율기자, 서울경제, 2023
다문화 학생 교육 경험을 담은 [네 다리는 초콜릿 다리야] 저자 박선아 교사는 다문화 학생의 경우 언어 학습을 집중 지원할 필요가 있겠지만, 다문화 이해 교육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였다.
박선아 교사의 말처럼 언어 학습도 중요하지만 다문화 이해 교육은 유치원과 학교인 교육기관에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부모교육으로도 함께 해야 한다.
부모가 먼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로 인식을 바꾸고 선입견을 내려놓으면서 사람대 사람으로서 동등한 교육기회와 권리를 인정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을 한다고 하여 모든 부모가 100% 변화되지는 않을 것이다. 일부 부모부터 시작한다 하여도 다문화가정과 어울리며 함께하는 긍정적인 선한 영향력은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전달이 되고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의 구분 없이 함께 어울리른 분위기로 전화될 수 있다.
물론 부모교육은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으로 사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교사도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할 수 있는 환경을 교육부에서 마련해주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남아있는 임대아파트 거주 가정, 다문화가정, 부모의 학벌, 재력, 직업 등으로 차별하는 일부 부모로 인하여 상처받는 다문화가정이 있을 수 있다. 이를 감싸주는 것은 정부와 지자체, 교사만의 일이 아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가 함께해야 하며, 유치원에 다문화가정 아이가 다닐 때는 차별하는 것이 아닌 서로 어울림으로 이해와 배려를 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인식의 변화이자 다문화가정에게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부모들이 자주 만나면서 아이들이 어울리는 환경이 조성되면 자연스럽게 다문화가정의 유아기 자녀는 다양한 어휘력 습득을 할 수 있으며 부모도 한국어를 공부하며 아이와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한국은 더이상 유일민족, 한민족이 아니다. 국제사회의 교류 및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로서 존중하고 이해해야 한다.
부모 동아리를 만들어 취미생활을 함께 하고 아이 양육과 교육에 대해 토로하면서 소통하는 것도 부모의 한국어 습득에 큰 도움이 된다. 억지로 언어를 배워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운 언어를 익힘으로써 한국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다른 부모도 다른 나라의 문화와 음식 등을 접하면서 문화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은 이주여성뿐만 아니라 연애에서 국제결혼으로 이어진 경우도 많지만, 한국어로 소통하는 문제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어려움은 매한가지이다. 단일민족이란 자부심에서 벗어나 함께 어울려 사는 사회를 구성하면서 모든 자녀에게 동등한 교육과 사회진출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교육사회학, 이로미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가이드라인-유치원-
태안군, 지역 이주여성 빠른 적응 돕는다, 민옥선기자, 매일일보, 2018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관련 학술연구, 장연은 외 4명, 다문화와 평화, 2019
2021년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사업설명회(유치원), 중앙다문화교육센터 외 4곳, 2021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2014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박명숙, 보건사회연구, 2010
기사에 따르면 서울 관악구에 사는 학부모 장모씨는 “이주민 학부모는 정서가 달라 자녀 교육에 대한 생각도 다를 수 있고 다문화 학생 중에는 언어 문제로 말이 통하지 않거나 학부모로부터 방치돼 생활하는 아이들이 있다는 선입견으로 자녀가 다문화 학생과 어울리지 않게 하려는 분위기가 있다”고 전한다. 다문화학생 20만 달하는데 차별여전, 신중섭, 이건율기자, 서울경제, 2023
다문화 학생 교육 경험을 담은 [네 다리는 초콜릿 다리야] 저자 박선아 교사는 다문화 학생의 경우 언어 학습을 집중 지원할 필요가 있겠지만, 다문화 이해 교육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였다.
박선아 교사의 말처럼 언어 학습도 중요하지만 다문화 이해 교육은 유치원과 학교인 교육기관에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부모교육으로도 함께 해야 한다.
부모가 먼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로 인식을 바꾸고 선입견을 내려놓으면서 사람대 사람으로서 동등한 교육기회와 권리를 인정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을 한다고 하여 모든 부모가 100% 변화되지는 않을 것이다. 일부 부모부터 시작한다 하여도 다문화가정과 어울리며 함께하는 긍정적인 선한 영향력은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전달이 되고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의 구분 없이 함께 어울리른 분위기로 전화될 수 있다.
물론 부모교육은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으로 사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교사도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할 수 있는 환경을 교육부에서 마련해주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남아있는 임대아파트 거주 가정, 다문화가정, 부모의 학벌, 재력, 직업 등으로 차별하는 일부 부모로 인하여 상처받는 다문화가정이 있을 수 있다. 이를 감싸주는 것은 정부와 지자체, 교사만의 일이 아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가 함께해야 하며, 유치원에 다문화가정 아이가 다닐 때는 차별하는 것이 아닌 서로 어울림으로 이해와 배려를 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인식의 변화이자 다문화가정에게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부모들이 자주 만나면서 아이들이 어울리는 환경이 조성되면 자연스럽게 다문화가정의 유아기 자녀는 다양한 어휘력 습득을 할 수 있으며 부모도 한국어를 공부하며 아이와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한국은 더이상 유일민족, 한민족이 아니다. 국제사회의 교류 및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로서 존중하고 이해해야 한다.
부모 동아리를 만들어 취미생활을 함께 하고 아이 양육과 교육에 대해 토로하면서 소통하는 것도 부모의 한국어 습득에 큰 도움이 된다. 억지로 언어를 배워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운 언어를 익힘으로써 한국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다른 부모도 다른 나라의 문화와 음식 등을 접하면서 문화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은 이주여성뿐만 아니라 연애에서 국제결혼으로 이어진 경우도 많지만, 한국어로 소통하는 문제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어려움은 매한가지이다. 단일민족이란 자부심에서 벗어나 함께 어울려 사는 사회를 구성하면서 모든 자녀에게 동등한 교육과 사회진출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교육사회학, 이로미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가이드라인-유치원-
태안군, 지역 이주여성 빠른 적응 돕는다, 민옥선기자, 매일일보, 2018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관련 학술연구, 장연은 외 4명, 다문화와 평화, 2019
2021년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사업설명회(유치원), 중앙다문화교육센터 외 4곳, 2021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2014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박명숙, 보건사회연구,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