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ritual frame, theatrical frame
② 제의적 형태의 예를 한 가지만 들면?
고사
③ 공연기술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준비형태 3가지는?
틀짜기, 적응과 수정, 꾸미기
◎preparation 과정
●공연진형을 위한 형태들
-ritual frame, theatrical frame
●일상적 환경을 공연적 상황으로 전환하는 기능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을 하나로 통합, 조절하는 기능
●활용의 다변화-일상적 활용
●4주차 2교시 학습목표
-performance 과정의 특질 이해
-cool-down 과정의 공연학적 역할과 방법 이해
-aftermath 과정의 의미 이해
① 준비된 연기, 조명, 장치, 음악 등 여러 분야를 한데 어우르고 관객에게 직접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은?
공연과정
② 공연은 비일상적 과정이다. 이를 다시 일상적 공간으로 되돌리는 과정은?
cool-down 과정
◎공연(performance) 과정
●공연과정의 정의: 다양한 분야가 결합되는 미적 체험 공간
●관객과의 관계 설정: showing cord vs doing cord
●공연공간의 특성: 극적 리듬으로 짜여진 frame work
●cool-dowm의 역할: 일상 복귀와 새로운 준비
●공연학적 의미의 여파-사회변화와 재충전
●5주차 1교시 학습목표
-공연 공간개념 정의
-공연 공간의 종류
-공연 공간의 구조와 기능적 특징
① 공연 공간의 필수적 구조물 2가지는?
무대 객석
② arena stage는 어느 나라에서 발명되었나?
Greece
③ circle형은 어느 나라에서 발명?
rome
④ open stage는 일명 무엇이라고도 하는가?
Elizabethan stage
◎공연예술의 구성요소
●공연공간의 개념
●arena stage
-희랍, 인류 최초의 극장
-기원전 5,6세기 경
-3면이 객석인 무대
-업체적 무대에 강점
●circle형 무대
-로마, 360객석
-입체적 무대에 강점
●open stage(Elizabethan stage)
-shakespeare 시대
-돌출무대
trestle stage와의 복합
-업체적 강점
●5주차 2교시 학습목표
-Prosceniumarch stage의 구조 이해
-기능적 특성 이해
-전통적 무대 미학 이해
① 청주예술의전당대공연장과 서울 국립극장의 극장 형태는?
prosceniumarch stage
② 무대 천정에 설치하는 조명기 등을 가리기 위한 막 종류는?
teaser
③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무대와 객석 사이에 있는 가상의 벽은?
제4벽
◎prosceniumarch stage
●prosceniumarch stage의 구조 ●제4벽론
-무대 앞 쪽 1면에 관객 -illusion의 무대 -변형 공간
-사진들 무대(picture frame stage) -감정이입과 몰입 -아리스토텔레스적 감성론의 무대
-회화적 효과에 강점 -전통 미학 -사실주의 무대미학
●6주차 1교시 학습목표
-thrust stage의 구조와 활용성 연구
-hybrid stage의 구조와 기능적 특성 이해
-flexible stage의 가변적 구조와 활용성 연구
-multi purpose theatre의 구조적 특징과 기능상의 문제점
① 두 가지 이상의 무대를 혼합하여 만든 무대는?
hybrid stage
② 여러 형대로 변형 가능한 무대는?
flexible stage
③ 여러 장르의 공연이 가능하게 만든 구조의 극장은?
multi purpose theatre
◎공연공간(stage)
●thrust stage ●flexible stage
-객석으로 돌출 -변형가능무대
-특성:생동감, 입체감, 회화적 효과 부족 -역동적 효과
●hybrid stage ●multi purpose theatre
-둘 이상 무대복합 -경제성
-단점을 줄이고 장점을 확대 -전문성 부족
●6주차 2교시 학습목표
-희곡의 본질과 공연과의 관계 이해
-의곡에 대한 관점의 변화 포인트 이해
-포스트 모더니스트들의 공연에 대한 관점과 공연대본과의 관계 이해
① 무대화를 전제로 하는 작품은?
희곡
② 무시나 소설에 있어 작가와 독자의 관계는 ‘1:1 직접관계’가 된다. 이에 비해 희곡에서는?
무대를 통한 간접관계
③ 희곡은 대사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에 비해 공연대본은?
행위 중심
◎희곡(대본)
●희곡의 성질
-대사를 주 매체로 하는 줄거리와 정보 중심
-무대화를 위한 첨사진
-근본적으로 문학적 미학체계에 바탕
●연극에 대한 관점 변화
-연극의 본질에 대한 관점
-문학에서 종속관계
●희곡과 공연대본
-희곡: 대사를 통한 정보 중심
-공연대본: 극적 행위 중심
-총체적 행위에 대한 관심
●7주차 1교시 학습목표
-일상적 행위와 공연적 행위의 본질 이해
-연기창조 과정 이해
-연기 유형과 연기술 이해
① 자연주의 연기 체계를 만든 사람은?
Konstantin Stanislavski
② 무연기유형 2가지는?
재현적 연기, 비재현적 연기
③ 일상적 행위를 movement라고 한다. 극적 행위, 즉 연기는?
acting
◎연기
●연기란
-극적 상황에서의, 극적 역할자로서의, 극적 행위 객석으로의 돌출
●연기유형
-재현적 연기와 비재현적 연기
-변형가능 무대
●연기창조
-나로부터 벗어나서, 변형의 역할자 또는 전송자로서, 극적으로 축적된 체험을 자기화
●자연주의 연기
-일상에서의 체험적 행위를 바탕으로 하는 연기 체계 경제성
●7주차 2교시 학습목표
-연출의 역할 영역 이해
-연출 역할의 발전 역사 이해
-연출 과정 이해
① 예술적 차원에서 공연 제작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총괄하고 리드하는 자는?
연출
② 희랍시대에는 작가가 연출의 역할을 맡았다. 오늘날 우리나라 대부분의 민속공연에서는?
배우
③ 작가나 배우가 연출의 역할을 맡았을 때 나타날 수도 있는 문제점은?
새로운 독창성 결여
◎연출
●연출의 역할
-무대화 전 과정을 구상
-전 분야를 통합하고 리드
●연출의 역사
-희랍시대: 작가로서의 연출 역할
-셰익스피어시대: 배우로서의 연출 역할
-George 2세 이후: 독창적 무대화
구상자로서의 연출 연기창조
●연출과정
-작품선정, 해석, 재구성 -무대화 구상
-공연예술 전 분야를 동원하여 현실적으로 무대화 공연 연기유형
② 제의적 형태의 예를 한 가지만 들면?
고사
③ 공연기술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준비형태 3가지는?
틀짜기, 적응과 수정, 꾸미기
◎preparation 과정
●공연진형을 위한 형태들
-ritual frame, theatrical frame
●일상적 환경을 공연적 상황으로 전환하는 기능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을 하나로 통합, 조절하는 기능
●활용의 다변화-일상적 활용
●4주차 2교시 학습목표
-performance 과정의 특질 이해
-cool-down 과정의 공연학적 역할과 방법 이해
-aftermath 과정의 의미 이해
① 준비된 연기, 조명, 장치, 음악 등 여러 분야를 한데 어우르고 관객에게 직접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은?
공연과정
② 공연은 비일상적 과정이다. 이를 다시 일상적 공간으로 되돌리는 과정은?
cool-down 과정
◎공연(performance) 과정
●공연과정의 정의: 다양한 분야가 결합되는 미적 체험 공간
●관객과의 관계 설정: showing cord vs doing cord
●공연공간의 특성: 극적 리듬으로 짜여진 frame work
●cool-dowm의 역할: 일상 복귀와 새로운 준비
●공연학적 의미의 여파-사회변화와 재충전
●5주차 1교시 학습목표
-공연 공간개념 정의
-공연 공간의 종류
-공연 공간의 구조와 기능적 특징
① 공연 공간의 필수적 구조물 2가지는?
무대 객석
② arena stage는 어느 나라에서 발명되었나?
Greece
③ circle형은 어느 나라에서 발명?
rome
④ open stage는 일명 무엇이라고도 하는가?
Elizabethan stage
◎공연예술의 구성요소
●공연공간의 개념
●arena stage
-희랍, 인류 최초의 극장
-기원전 5,6세기 경
-3면이 객석인 무대
-업체적 무대에 강점
●circle형 무대
-로마, 360객석
-입체적 무대에 강점
●open stage(Elizabethan stage)
-shakespeare 시대
-돌출무대
trestle stage와의 복합
-업체적 강점
●5주차 2교시 학습목표
-Prosceniumarch stage의 구조 이해
-기능적 특성 이해
-전통적 무대 미학 이해
① 청주예술의전당대공연장과 서울 국립극장의 극장 형태는?
prosceniumarch stage
② 무대 천정에 설치하는 조명기 등을 가리기 위한 막 종류는?
teaser
③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무대와 객석 사이에 있는 가상의 벽은?
제4벽
◎prosceniumarch stage
●prosceniumarch stage의 구조 ●제4벽론
-무대 앞 쪽 1면에 관객 -illusion의 무대 -변형 공간
-사진들 무대(picture frame stage) -감정이입과 몰입 -아리스토텔레스적 감성론의 무대
-회화적 효과에 강점 -전통 미학 -사실주의 무대미학
●6주차 1교시 학습목표
-thrust stage의 구조와 활용성 연구
-hybrid stage의 구조와 기능적 특성 이해
-flexible stage의 가변적 구조와 활용성 연구
-multi purpose theatre의 구조적 특징과 기능상의 문제점
① 두 가지 이상의 무대를 혼합하여 만든 무대는?
hybrid stage
② 여러 형대로 변형 가능한 무대는?
flexible stage
③ 여러 장르의 공연이 가능하게 만든 구조의 극장은?
multi purpose theatre
◎공연공간(stage)
●thrust stage ●flexible stage
-객석으로 돌출 -변형가능무대
-특성:생동감, 입체감, 회화적 효과 부족 -역동적 효과
●hybrid stage ●multi purpose theatre
-둘 이상 무대복합 -경제성
-단점을 줄이고 장점을 확대 -전문성 부족
●6주차 2교시 학습목표
-희곡의 본질과 공연과의 관계 이해
-의곡에 대한 관점의 변화 포인트 이해
-포스트 모더니스트들의 공연에 대한 관점과 공연대본과의 관계 이해
① 무대화를 전제로 하는 작품은?
희곡
② 무시나 소설에 있어 작가와 독자의 관계는 ‘1:1 직접관계’가 된다. 이에 비해 희곡에서는?
무대를 통한 간접관계
③ 희곡은 대사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에 비해 공연대본은?
행위 중심
◎희곡(대본)
●희곡의 성질
-대사를 주 매체로 하는 줄거리와 정보 중심
-무대화를 위한 첨사진
-근본적으로 문학적 미학체계에 바탕
●연극에 대한 관점 변화
-연극의 본질에 대한 관점
-문학에서 종속관계
●희곡과 공연대본
-희곡: 대사를 통한 정보 중심
-공연대본: 극적 행위 중심
-총체적 행위에 대한 관심
●7주차 1교시 학습목표
-일상적 행위와 공연적 행위의 본질 이해
-연기창조 과정 이해
-연기 유형과 연기술 이해
① 자연주의 연기 체계를 만든 사람은?
Konstantin Stanislavski
② 무연기유형 2가지는?
재현적 연기, 비재현적 연기
③ 일상적 행위를 movement라고 한다. 극적 행위, 즉 연기는?
acting
◎연기
●연기란
-극적 상황에서의, 극적 역할자로서의, 극적 행위 객석으로의 돌출
●연기유형
-재현적 연기와 비재현적 연기
-변형가능 무대
●연기창조
-나로부터 벗어나서, 변형의 역할자 또는 전송자로서, 극적으로 축적된 체험을 자기화
●자연주의 연기
-일상에서의 체험적 행위를 바탕으로 하는 연기 체계 경제성
●7주차 2교시 학습목표
-연출의 역할 영역 이해
-연출 역할의 발전 역사 이해
-연출 과정 이해
① 예술적 차원에서 공연 제작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총괄하고 리드하는 자는?
연출
② 희랍시대에는 작가가 연출의 역할을 맡았다. 오늘날 우리나라 대부분의 민속공연에서는?
배우
③ 작가나 배우가 연출의 역할을 맡았을 때 나타날 수도 있는 문제점은?
새로운 독창성 결여
◎연출
●연출의 역할
-무대화 전 과정을 구상
-전 분야를 통합하고 리드
●연출의 역사
-희랍시대: 작가로서의 연출 역할
-셰익스피어시대: 배우로서의 연출 역할
-George 2세 이후: 독창적 무대화
구상자로서의 연출 연기창조
●연출과정
-작품선정, 해석, 재구성 -무대화 구상
-공연예술 전 분야를 동원하여 현실적으로 무대화 공연 연기유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