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빈칸에 가장 적절한 단어를 추가하여 문장을 완성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
2. 제품 A의 조달기간(leadtime)이 2일이고, 제품 A의 수요가 매일 평균 1,000단위, 표준편차 200단위인 정규분포를 따를 때, 제품 A에 대한 수요의 99%를 충족시키기 위한 안전재고(safety stock)는 얼마인가? 답과 풀이과정을 모두 제시하시오.
3. 참고문헌
1. 빈칸에 가장 적절한 단어를 추가하여 문장을 완성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
2. 제품 A의 조달기간(leadtime)이 2일이고, 제품 A의 수요가 매일 평균 1,000단위, 표준편차 200단위인 정규분포를 따를 때, 제품 A에 대한 수요의 99%를 충족시키기 위한 안전재고(safety stock)는 얼마인가? 답과 풀이과정을 모두 제시하시오.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는 경제적 주문량 모형이 있다. 이는 다른 말로 EOQ(Economic Order Quantity) 모형이라고도 불리는데, 몇 개의 기본 가정 ① 계획기나 중 해당품목의 수요율은 항상 균등하며, 알려져 있다. ② 단위 구입비가 물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③ 연간 단위재고 유지비가 물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④ 1회 주문비용이 물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⑤ 주문량이 일시에 입고된다. ⑥ 조달기간(lead time)이 없거나 일정하다. ⑦ 재고부족이 허용되지 않는다.
을 설정해놓고 그러한 가정 하에서 재고비용과 주문비용을 합한 연간비용의 최적화를 위한 1회 주문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모형이다. 위와 같은 EOQ 모형은 확실하고 일정한 수요 및 조달기간을 가정하고 있는데, 사실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수요와 조달기간이 항상 일정한 것은 있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기업은 현실적으로 불확실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안전재고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처럼 현실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게 되는 안전재고를 산정하는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SS (안전재고) = Z * = Z * *
위 공식을 문제에 적용하게 되면, 각 기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해볼 수 있다.
우선 Z는 서비스율에 따른 정규분포지수를 뜻하는 것이다. 서비스율은 앞서서도 살펴보았지만 품절률에 대칭되는 확률, 즉 1-품절률을 뜻하는 확률로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확률이다. 본 문제에서는 ‘수요의 99%’를 만족시키기 위한 안전재고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가 원하는 서비스율이 ‘99%’임을 알 수 있다. 서비스율과 Z 사이의 관게를 살펴보면, 서비스율이 99일 경우 Z는 2.33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문제의 경우 Z에는 2.33을 대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 경우 은 조달 기간 중 수요의 표준편차를 뜻하는 것으로서, 반면에 는 1일 수요의 표준편차를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은 에 을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조달기간, 즉 Lead Time을 뜻하는 표현으로서, 위 문제에서는 조달기간을 2일이라고 제시하고 있으므로 다시 말해 L에 루트를 씌운 값은 위 문제에 따르면 가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1일 수요 표준편차의 경우 위 문제에서 매일 표준편차 200단위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200을 대입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대략적인 설명을 바탕으로 안전재고를 계산해보면, Z에는 2.33을 대입, 에는 를 대입, 마지막으로 1일 수요 표준편차에는 200을 대입해야 한다. 따라서 SS, 즉 안전재고는 2.33 * * 200이고, 이를 계산해보면 대략 659.02...이라는 결과가 도출되므로, 해당 문제에서 주어진 상황에 따르면 제품 A에 대한 수요의 99%를 충족시키기 위한 안전재고는 대략 659개임을 알 수 있다.
3. 참고문헌
문상원. (2018). <물류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이성철, 정세윤, 문상원. (2022). <경영의사결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을 설정해놓고 그러한 가정 하에서 재고비용과 주문비용을 합한 연간비용의 최적화를 위한 1회 주문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모형이다. 위와 같은 EOQ 모형은 확실하고 일정한 수요 및 조달기간을 가정하고 있는데, 사실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수요와 조달기간이 항상 일정한 것은 있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기업은 현실적으로 불확실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안전재고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처럼 현실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게 되는 안전재고를 산정하는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SS (안전재고) = Z * = Z * *
위 공식을 문제에 적용하게 되면, 각 기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해볼 수 있다.
우선 Z는 서비스율에 따른 정규분포지수를 뜻하는 것이다. 서비스율은 앞서서도 살펴보았지만 품절률에 대칭되는 확률, 즉 1-품절률을 뜻하는 확률로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확률이다. 본 문제에서는 ‘수요의 99%’를 만족시키기 위한 안전재고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가 원하는 서비스율이 ‘99%’임을 알 수 있다. 서비스율과 Z 사이의 관게를 살펴보면, 서비스율이 99일 경우 Z는 2.33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문제의 경우 Z에는 2.33을 대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 경우 은 조달 기간 중 수요의 표준편차를 뜻하는 것으로서, 반면에 는 1일 수요의 표준편차를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은 에 을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조달기간, 즉 Lead Time을 뜻하는 표현으로서, 위 문제에서는 조달기간을 2일이라고 제시하고 있으므로 다시 말해 L에 루트를 씌운 값은 위 문제에 따르면 가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1일 수요 표준편차의 경우 위 문제에서 매일 표준편차 200단위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200을 대입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대략적인 설명을 바탕으로 안전재고를 계산해보면, Z에는 2.33을 대입, 에는 를 대입, 마지막으로 1일 수요 표준편차에는 200을 대입해야 한다. 따라서 SS, 즉 안전재고는 2.33 * * 200이고, 이를 계산해보면 대략 659.02...이라는 결과가 도출되므로, 해당 문제에서 주어진 상황에 따르면 제품 A에 대한 수요의 99%를 충족시키기 위한 안전재고는 대략 659개임을 알 수 있다.
3. 참고문헌
문상원. (2018). <물류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이성철, 정세윤, 문상원. (2022). <경영의사결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추천자료
[과외](고1) 03 모의고사 언어영역 시험지
중2 지학사 영어 교수학습지도안 Lesson 9 It's Fall
[스크립트] 스크립트의 의의(정의)와 작성 방법
냉동공학 3장 (01~23)
효율적인 보고 방법과 보고서 작성의 기본원칙
2021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빈칸에 적절한 단어를 추가하여 문장을 완성)
[2023 물류관리][출처표기] 1. 빈칸에 가장 적절한 단어를 추가하여 문장을 완성하고 이유를...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물류관리 중간과제물)고객단위로 수주한 물품을 보관장소에서 꺼내...
2023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주관식 문제)
물류관리] 제품 A의 조달기간(leadtime)이 2일이고, 제품 A의 수요가 매일 평균 1,000단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