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야기의 개념
2. 장면에 따른 표현과 이해
1) 지시표현
2) 높임 표현
3) 심리적 태도
4) 질문과 대답
5) 생략 표현
2. 장면에 따른 표현과 이해
1) 지시표현
2) 높임 표현
3) 심리적 태도
4) 질문과 대답
5) 생략 표현
본문내용
우: 주어진 정보가 있어서 생략해도 의사 소통이 잘 될 수 있을 때
전술언급(前述言及)=주어진 정보
주어, 목적어의 생략
철수는 벌판을 가로질러 갔다.
그리고 바라던 숲에 이르렀다.
인수가 언제 퇴원했어요?
어제요.
(철수야)점심 먹어라
먹을께
2>주어, 목적어 생략이 불가능한 경우
①새로운 정보를 요구하는 설명 의문문에서는 주어가 생략 될 수 없다.
예>누가 교통사고를 당했어? 철수가요(교통사고 당했어(주어진 정보)생략)
철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니?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철수가생략)
도대체 무슨 일이야? 철수가 오늘 아침 登校길에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모두 새로운 정보임 ∴생략 불가능)
3>주어 없는 문장(無 主語문장):관용적인 표현, 주어를 찾아 줄 필요 없음
예>불이야! 고생 끝에 낙이 온다.
전술언급(前述言及)=주어진 정보
주어, 목적어의 생략
철수는 벌판을 가로질러 갔다.
그리고 바라던 숲에 이르렀다.
인수가 언제 퇴원했어요?
어제요.
(철수야)점심 먹어라
먹을께
2>주어, 목적어 생략이 불가능한 경우
①새로운 정보를 요구하는 설명 의문문에서는 주어가 생략 될 수 없다.
예>누가 교통사고를 당했어? 철수가요(교통사고 당했어(주어진 정보)생략)
철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니?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철수가생략)
도대체 무슨 일이야? 철수가 오늘 아침 登校길에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모두 새로운 정보임 ∴생략 불가능)
3>주어 없는 문장(無 主語문장):관용적인 표현, 주어를 찾아 줄 필요 없음
예>불이야! 고생 끝에 낙이 온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