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비만율 비교
2. 코로나-19와 비만율의 상관관계
3. 출처 및 참고문헌
1.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비만율 비교
2. 코로나-19와 비만율의 상관관계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배달음식들은 대체로 높은 칼로리와 소금, 지방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배달앱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사람들이 더 많은 고칼로리 음식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배달앱을 이용할 때는 외식을 할 때보다 활동성이 적기 때문에 같은 양의 음식을 섭취해도 체내에 누적되는 칼로리양이 증가할 수 있다.
2)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집콕 생활 증가
(1) 활동량 감소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조사한 코로나19 전후 운동 빈도 변화량을 살펴보면, 코로나19 확산은 활동량 감소뿐만 아니라 운동 빈도에도 영향을 미쳐 ‘주 3~4회 운동한다’는 응답자가 코로나19 전후 24.5%에서 16.3%로 8.2%p 감소했다고 나타났다. 또한 ‘거의 운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도 15.6%에서 19.0%로 3.4%p 증가해 코로나19 전후 국민의 운동 빈도가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영상시청 및 스마트폰 사용 시간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세대별 OTT 서비스 이용 현황\'(그림4)에 따르면 세대별 OTT 이용률은 지난 2019년 41.0%, 2020년 72.2%에서 2021년 81.7%로 급상승한 것으로 조사된다. 코로나19 확산과 맞물려 OTT 이용이 급격하게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코로나19 전후의 비만율 증가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여러 주요 원인들을 확인해보았다. 주요 원인으로는 배달 앱 이용의 증가로 인한 고칼로리 음식의 섭취 증가, 활동량의 감소로 인한 운동 부족, 그리고 OTT 서비스 시청 시간의 증가로 인한 생활 활동성의 감소가 두드러진다.
배달 앱의 이용 증가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들이 고칼로리와 높은 지방 함량을 가진 음식을 손쉽게 주문하게 만든다. 이는 비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식사 문화의 변화는 사람들의 체중 증가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 근무와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람들의 일상 활동량을 크게 줄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운동 부족은 불가피하게 되며, 이는 비만을 유발하는 또 다른 큰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OTT 서비스의 이용 시간 증가는 사람들이 활동적인 생활에서 더욱 멀어지게 만들었다. 외부활동 대신, TV나 스마트폰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OTT를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는 비만을 유발하는 활동성 감소의 요인이 되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서영욱 기자, NEWSPIM, <4년만의 흑자전환 배민, 팬데믹에 \'웃고\' 엔데믹에 \'운다\'>, 2023.04.02.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331000890
-김상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코로나19 발생 전후 배달/온라인 소매유통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 변화 분석>, 2021.
-오수연 기자, 아주경제, <코로나19 확산에 OTT 이용 2배↑…\"하루에도 여러 번 본다\">, 2022.05.01. https://www.ajunews.com/view/20220430211639298
배달음식들은 대체로 높은 칼로리와 소금, 지방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배달앱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사람들이 더 많은 고칼로리 음식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배달앱을 이용할 때는 외식을 할 때보다 활동성이 적기 때문에 같은 양의 음식을 섭취해도 체내에 누적되는 칼로리양이 증가할 수 있다.
2)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집콕 생활 증가
(1) 활동량 감소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조사한 코로나19 전후 운동 빈도 변화량을 살펴보면, 코로나19 확산은 활동량 감소뿐만 아니라 운동 빈도에도 영향을 미쳐 ‘주 3~4회 운동한다’는 응답자가 코로나19 전후 24.5%에서 16.3%로 8.2%p 감소했다고 나타났다. 또한 ‘거의 운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도 15.6%에서 19.0%로 3.4%p 증가해 코로나19 전후 국민의 운동 빈도가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영상시청 및 스마트폰 사용 시간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세대별 OTT 서비스 이용 현황\'(그림4)에 따르면 세대별 OTT 이용률은 지난 2019년 41.0%, 2020년 72.2%에서 2021년 81.7%로 급상승한 것으로 조사된다. 코로나19 확산과 맞물려 OTT 이용이 급격하게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코로나19 전후의 비만율 증가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여러 주요 원인들을 확인해보았다. 주요 원인으로는 배달 앱 이용의 증가로 인한 고칼로리 음식의 섭취 증가, 활동량의 감소로 인한 운동 부족, 그리고 OTT 서비스 시청 시간의 증가로 인한 생활 활동성의 감소가 두드러진다.
배달 앱의 이용 증가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들이 고칼로리와 높은 지방 함량을 가진 음식을 손쉽게 주문하게 만든다. 이는 비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식사 문화의 변화는 사람들의 체중 증가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 근무와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람들의 일상 활동량을 크게 줄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운동 부족은 불가피하게 되며, 이는 비만을 유발하는 또 다른 큰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OTT 서비스의 이용 시간 증가는 사람들이 활동적인 생활에서 더욱 멀어지게 만들었다. 외부활동 대신, TV나 스마트폰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OTT를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는 비만을 유발하는 활동성 감소의 요인이 되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서영욱 기자, NEWSPIM, <4년만의 흑자전환 배민, 팬데믹에 \'웃고\' 엔데믹에 \'운다\'>, 2023.04.02.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331000890
-김상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코로나19 발생 전후 배달/온라인 소매유통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 변화 분석>, 2021.
-오수연 기자, 아주경제, <코로나19 확산에 OTT 이용 2배↑…\"하루에도 여러 번 본다\">, 2022.05.01. https://www.ajunews.com/view/20220430211639298
추천자료
[과외]중학 과학 1-2학기 기말 예상문제 07
고급간호연구 기말 2021)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
2021년 고급간호연구 기말]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지역사회영양학 중간과제물)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비만율에 어떤 ...
지역사회영양학 2023학년도 2학기)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3개년 동안의 비만율을 비교...
2023년 2학기 지역사회영양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비만율)
지역사회영양학]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비만율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다음 경우별로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