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의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게 만드는 한, 자연은 인자하고 그러한 자연의 본성을 안고 태어난 인간도 선한 존재라고 보는 것이다. 유가는 인간과 자연을 분리하지 않고 우주와 자연의 원리에 일치하는 삶을 사는 것이 가장 행복하고 선한 삶이며, 그렇게 살 수 있는 능력과 의지가 내 안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바라본 것이다.
2) 유가에서 예의법도가 갖는 의미는?
예의법도가 우리를 천인합일로 이끌 수 있는 도덕적 삶의 원리가 아닌 현실적인 기득권적 그 지배관계를 온존시킬 수 있는 유효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본다. 이에 공자는 인의예지의 왜곡 가능성을 예상하고 아무리 예가 중요하더라도 사람이 어질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경계했지만 유가사상에서 춘추전국시대의 시대적 정황과 이후 역사적 과정 속 종종 패도적 지배 엘리트들에 의해서 봉건적 질서에 대한 합리화의 이데올로기로 이용되기도 했다.
결국 예의법도는 인의예지가 구체적으로 옛날 성인들이 뛰어난 도덕적 성찰로 자연의 본성을 인간의 본성과 행위에 적용시키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고 연구한 끝에 만들어진 것이다.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인간은 본질만 갖춘 것이 아니라 다른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육체 같은 기적 질료가 있으며 그것에 기인하는 욕망과 본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르게 기질을 갖고 있으나 그 기질이 가장 깨끗하기 때문에 그 어느 동물보다 순화된 욕망과 감정 체계를 갖고 있다고 본다. 그리고 다른 동물들과 다르게 의식 주관이 있어 자신의 도덕적 본성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며 그에 걸맞는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인간이 하늘과 땅과 함께 우주를 떠받치는 세 기둥 중 하나로 바라보고 이를 토대로 유가사상을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본다. 결국 인간이 인의의 원리에 의해 욕망을 다스리면서 살아갈 수 있는 절제능력을 갖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역사적 과정을 통해 지배엘리트들은 봉건적 질서에 대한 합리화를 위한 이데올로기로서 유가사상을 활용했는데 도덕을 억압의 이데올로기로 활용한 것이다. 노예제도에 대한 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결국 봉건적 이데올로기로 간주되는데 계급적 기초가 존재하고 봉건지주에 대한 이해를 대변하는 학문으로서 이해됨으로 인한 것이다.
참고문헌
철학의이해.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지음. 출판문화원. 2016
  • 가격2,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22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