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의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인간이 본래부터 지닌 도덕성이 인간으로부터 사회로 표출된다. 그러므로 인간이 기본적으로 갖은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사회 활동의 원동력이 되어 사회성의 기반이 되었다. 인간이란 존재는 인간관계로부터 시작된며 천지만물의 핵심은 인간이라고 정의했다. 더불어 어디까지나 우주의 중심이 되는 건 사람이라고 일컬었기에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 정의한다.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유가사상 당시 사회적인 배경은 왕도정치 사회인 군주제였으며 덕을 갖춘 공자는 백성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악이 아닌 덕으로 통치를 해야 한다는 정치사상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위정자들은 탐욕으로 부패되지 아니해야 하며 백성의 안녕과 행복을 위하는 임무를 다 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모든 사람들은 조상과 부모에 대한 효제를 중시하고 충서를 중요시해야 한다고 정의했으며 훌륭한 나라를 위해서는 군주의 참됨 성과 백성들의 신뢰가 중요하고 백성들은 예를 다해야 한다는 정명 사상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는 봉건의 이데올로기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애서 행복, 욕구 만족, 그리고 합리성
(편 상범-서울대학교,2015)
선진유가 사상의 사회철학연구
(김 혁-성균관대학교,2017)
쇼펜하우어와 프로이트의 무의식개념
(이서규-제주대, 2015)
프로이트의 도덕발달 이론에 관한 고찰
(송 석재-한국교원대학교, 1996)
홉스의 사회계약론의 의미와 한계
(나 종석-연세대학교, 2004)
공감의 윤리와 도덕규범 : 흄의 감정주의와 관습적 규약
(양 선이-서울대학교, 2011)
유가의 도덕원리와 칸트
(임헌규 강남대학교, 20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인본사상 > 유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89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예 > 유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787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유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280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그리고 자립생활
(에이블뉴스, 이광원, 2013.02.19.)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38
철학의이해.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지음. 출판문화원. 2016
  • 가격2,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22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