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령만으로 달성할 수 없다. 당위적 주장을 뒷받침하고 현실화하는 구체적 도덕적 삶의 덕목인 실천지침이 제시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유가에서 예의법도는 당위적인 도덕적 삶을 현실 속에서 실천하는 규범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예의법도에 따르면 위로는 성인을 섬기고, 아래로는 선한 무리와 교유하며 살기를 권하며, 예가 아닌 것은 듣지도 말하지도 말 것을 가르친다. 예에 따라 살아가는 것은 곧 하늘의 본성이자 인간의 본성인 인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된다. 인을 완성하면 타인을 이해하고 베푸는 마음을 갖출 수 있게 된다. 강의안 3장, pp.60-61.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인간은 육신을 가진 존재로서 욕망과 본능을 지닌 존재이다. 하지만, 유가의 관점에 따르면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순화된 욕망과 감정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깨끗한 기질을 가진 존재이다. 또한 의식 주관을 갖추고 있기에 도덕적 본성을 반성적으로 돌아보며 그에 걸맞은 행동을 할 수 있는 존재라고 하였다. 도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존재인 인간은 본질의 선함을 회복할 수 있고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가에서는 인간을 하늘, 땅과 함께 우주를 떠받치는 세 기둥의 하나라고 여겼다. 이러한 점에서 인본주의적 사상이라고 불렸다. 강의안 3장, p.59.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규범은 새롭게 변화하는 상황에 새롭게 대처하지 못하면 초반의 취지와 다르게 생명력을 잃어버린다. 낡은 규범은 경직되고 형식화되어 비합리적 질서, 혹은 기득권을 합리화하는데 이용된다. 유가 사상 또한 그러하였다. 본디 하늘의 선한 이치에 따라 현실 속에서 인의예지에 따라 살아갈 것을 권유하였으나, 실제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인의예지의 규범은 새 시대 상황의 변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고착화되었다. 춘추전국시대 제후들은 전통 질서와 군신관계를 벗어나 군주의 자리에 올랐으며,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지배력을 강화하는데 유가 사상을 활용하였다. 군주에 대한 예의법도로서 인의예지를 내세우고, 이를 어기는 자는 사회의 혼란을 부추긴다 하여 압박하였다. 공자의 “君君臣臣父父子子”는 기득권적 지배관계를 온존시키는 수단으로 전락하였으며, 패도적 지배 엘리트는 유가를 봉건 이데올로기로서 활용하였다. 강의안 3장, p.62.
출처
철학의이해.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지음. 출판문화원. 2016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인간은 육신을 가진 존재로서 욕망과 본능을 지닌 존재이다. 하지만, 유가의 관점에 따르면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순화된 욕망과 감정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깨끗한 기질을 가진 존재이다. 또한 의식 주관을 갖추고 있기에 도덕적 본성을 반성적으로 돌아보며 그에 걸맞은 행동을 할 수 있는 존재라고 하였다. 도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존재인 인간은 본질의 선함을 회복할 수 있고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가에서는 인간을 하늘, 땅과 함께 우주를 떠받치는 세 기둥의 하나라고 여겼다. 이러한 점에서 인본주의적 사상이라고 불렸다. 강의안 3장, p.59.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규범은 새롭게 변화하는 상황에 새롭게 대처하지 못하면 초반의 취지와 다르게 생명력을 잃어버린다. 낡은 규범은 경직되고 형식화되어 비합리적 질서, 혹은 기득권을 합리화하는데 이용된다. 유가 사상 또한 그러하였다. 본디 하늘의 선한 이치에 따라 현실 속에서 인의예지에 따라 살아갈 것을 권유하였으나, 실제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인의예지의 규범은 새 시대 상황의 변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고착화되었다. 춘추전국시대 제후들은 전통 질서와 군신관계를 벗어나 군주의 자리에 올랐으며,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지배력을 강화하는데 유가 사상을 활용하였다. 군주에 대한 예의법도로서 인의예지를 내세우고, 이를 어기는 자는 사회의 혼란을 부추긴다 하여 압박하였다. 공자의 “君君臣臣父父子子”는 기득권적 지배관계를 온존시키는 수단으로 전락하였으며, 패도적 지배 엘리트는 유가를 봉건 이데올로기로서 활용하였다. 강의안 3장, p.62.
출처
철학의이해.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지음. 출판문화원. 2016
추천자료
철학의이해 2023년)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
철학의이해 2023학년도 2학기) 철학의이해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
[2023 철학의이해][출처표기]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철학의이해 2023]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철학의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
철학의 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