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문자생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양)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문자생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훈민정음에 대하여
2. 한글전용 강성 이유 2가지
3. 한글과 타문자 혼용 2가지
4. 나의 주장
5. 출처

본문내용

느껴지는 편견에서 빠져나와, 한문으로 적힌 글을 읽지 못한다면 한문 전문가들이 한글로 제대로 번역하여 한글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필자의 경우 물리치료사 국가고시를 봤다. 필자가 국가고시를 보던 해에 의학용어가 한글로 바뀌는 첫해였다. 흔히 아는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을 ‘위팔두갈래근’이라는 용어로 변경했다. 한글로 변경하는 첫 해여서 시험을 보는 학생들은 매우 헷갈렸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한글로 바뀐 의학용어가 더 머리에 쏙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 당장은 이러한 변화가 불편하고 어색하겠지만 먼 미래를 두고 보았을 때는 어서 한글전용을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정부와 학교뿐만 아니라 모든 기관에서도 다 같이 노력하고 진행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5. 출처
“이순신이 명나라서 파병한 장수?”.. 반크 “광화문 동상 한자 이름, 한글로 바꿔야”, 이수지 기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2023.09.20.,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919_0002456452&cID=10701&pID=10700
‘한글 전용’ VS ‘국한문 혼용’..국어 사용 논쟁 재점화, 이규성 기자, 아시아경제, 2013.05.22., https://www.asiae.co.kr/article/2013052009160587096
이순신 장군 동상 아래 쓰인 한자 때문에 ‘중국 장수’로 오해받고 있다, 임기수 기자, 인사이트, 2023.09.23., https://www.insight.co.kr/news/450666
  • 가격2,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01.23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