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훈민정음에 대하여
2. 한글전용 강성 이유 2가지
3. 한글과 타문자 혼용 2가지
4. 나의 주장
5. 출처
1. 훈민정음에 대하여
2. 한글전용 강성 이유 2가지
3. 한글과 타문자 혼용 2가지
4. 나의 주장
5. 출처
본문내용
느껴지는 편견에서 빠져나와, 한문으로 적힌 글을 읽지 못한다면 한문 전문가들이 한글로 제대로 번역하여 한글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필자의 경우 물리치료사 국가고시를 봤다. 필자가 국가고시를 보던 해에 의학용어가 한글로 바뀌는 첫해였다. 흔히 아는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을 ‘위팔두갈래근’이라는 용어로 변경했다. 한글로 변경하는 첫 해여서 시험을 보는 학생들은 매우 헷갈렸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한글로 바뀐 의학용어가 더 머리에 쏙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 당장은 이러한 변화가 불편하고 어색하겠지만 먼 미래를 두고 보았을 때는 어서 한글전용을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정부와 학교뿐만 아니라 모든 기관에서도 다 같이 노력하고 진행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5. 출처
“이순신이 명나라서 파병한 장수?”.. 반크 “광화문 동상 한자 이름, 한글로 바꿔야”, 이수지 기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2023.09.20.,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919_0002456452&cID=10701&pID=10700
‘한글 전용’ VS ‘국한문 혼용’..국어 사용 논쟁 재점화, 이규성 기자, 아시아경제, 2013.05.22., https://www.asiae.co.kr/article/2013052009160587096
이순신 장군 동상 아래 쓰인 한자 때문에 ‘중국 장수’로 오해받고 있다, 임기수 기자, 인사이트, 2023.09.23., https://www.insight.co.kr/news/450666
필자의 경우 물리치료사 국가고시를 봤다. 필자가 국가고시를 보던 해에 의학용어가 한글로 바뀌는 첫해였다. 흔히 아는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을 ‘위팔두갈래근’이라는 용어로 변경했다. 한글로 변경하는 첫 해여서 시험을 보는 학생들은 매우 헷갈렸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한글로 바뀐 의학용어가 더 머리에 쏙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 당장은 이러한 변화가 불편하고 어색하겠지만 먼 미래를 두고 보았을 때는 어서 한글전용을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정부와 학교뿐만 아니라 모든 기관에서도 다 같이 노력하고 진행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5. 출처
“이순신이 명나라서 파병한 장수?”.. 반크 “광화문 동상 한자 이름, 한글로 바꿔야”, 이수지 기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2023.09.20.,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919_0002456452&cID=10701&pID=10700
‘한글 전용’ VS ‘국한문 혼용’..국어 사용 논쟁 재점화, 이규성 기자, 아시아경제, 2013.05.22., https://www.asiae.co.kr/article/2013052009160587096
이순신 장군 동상 아래 쓰인 한자 때문에 ‘중국 장수’로 오해받고 있다, 임기수 기자, 인사이트, 2023.09.23., https://www.insight.co.kr/news/450666
추천자료
한국사회에 있어서 매춘의 현황과 대처방안
[실버산업]고령사회의 노인복지를 위한 실버타운의 활성화 방안
왜곡된 역사의식과 한국사회의 민족적 비전
[화법][표준화법]화법의 개념, 표준화법의 개념과 화법의 유형, 화법의 본질 및 표준화법의 ...
[사행산업]사행산업의 특징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사행산업 운영 실태와 부작용 분석, 사행...
- 재미있는 여가 -
2017년 성사랑사회B형] 한국사회에서 가정이나 일터 등 일상적인공간에서 성폭력이나 성희롱...
(자원봉사론 공통) 2 외국의 자원활동중 자신이 찾아보고 싶은 한 국가를 선택하여 그 나라의...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의 연구방법 네 가지를 요약하고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