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등기법)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 등기의무자가 사망하여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경우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의 등기의무자는 누구인지에 대하여 대법원은 20234 12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동산등기법)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 등기의무자가 사망하여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경우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의 등기의무자는 누구인지에 대하여 대법원은 20234 1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은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할 의무가 없게 되는 것입니다.
사견을 바탕으로 본 사례를 검토해보았을 때, 개인적으로는 6개월 전에 변동된 부동산등기선례 제 202304-2호가 이전 선례보다 더 타당한 결정이라고 보여집니다. 소유권이전등기의무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등기부상의 명의인이라고 보아야 하며, 특정 부동산에 관해 공동상속인들의 협의분할에 의해 여러 공동상속인 중의 1인만이 단독으로 상속등기까지 마친 경우라고 한다면 민법 1015조에 따라 협의분할의 ‘소급효’가 작용하여 나머지 공동상속인들은 그 부동산을 상속받은 것이라고 할 수 없고, 등기부상의 명의자도 아니므로 등기의무자도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특정 재산에 있어 원인무효인 소유권이전등기가 있다고 할지라도 해당 소유권이전등기에 대한 말소등기를 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은 단독으로 상속등기를 마친 상속인 개인에게만 해당하는 것이지, 나머지 공동상속인들은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의 의무가 없게 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비록 민법 1015조에 예외단서가 있기는 하지만, 본 사례가 제3자의 권리를 해친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단서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없다고 생각하기에 이러한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4.01.24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