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문헌고찰, 간호과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했다.
O
간호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O
<단기목표>
대상자는 0월 0일까지 백혈구 수치와 CRP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O
대상자는 0월 0일까지 감염 예방 활동을 2가지 이상 실행할 수 있다.
⇒ “마스크 끼고 손 잘 씻을게요.”
O
③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불안
영 역
내 용
사정
주관적 자료
“바늘 교환 언제해요? 무섭고 긴장돼요.”
“많이 아파요?”
“차라리 지금 빨리 해버렸으면 좋겠어요.”
“어젯밤에 악몽을 꿨어요. 잠도 개운하게 못 자는 것 같아요.”
“우리 아들이 잠자고 있는데 자주 뒤척이는 거 같아요.”
객관적 자료
- 0/0에 IV라인 교환함.
0/0에 스테이션에 와서 바늘 언제 교체하는지 안절부절하는 모습이 관찰됨.
상태불안척도 점수: 67점(상태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첨부]있음
간호진단
진단명
불안
정의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막연하고 편안하지 않은 불편감이나 공포감(원인은 개인에게 불 특정적이고 알려지지 않음), 예상되는 위험에 의해 유발되는 염려스러움, 곧 닥칠 위험을 경고하고 개인이 그 위협을 해결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게 하는 경고 신호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바늘 교환하는 것에 불안증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4시간 이내 불안을 감소시키는 활동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0월 0일 needle chage 전까지 상태불안척도 점수가 52점 미만으로 감소할 것이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적절한 간호를 위해서는 먼저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불안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해 불안을 경감시키고, 경청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불안 완화에 도움을 준다.
감정이입을 통한 이해는 대상자의 대처능력이 증진된다.
대상자의 지식과 이해수준에 맞게 처치와 관련된 설명을 명확히 한다.
적절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감소시킨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이완요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이완요법은 불안,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다.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과 함께 있도록 지지해준다.
대상자를 혼자 두지 않고 함께 있어 줌으로써 안전과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안심시킨다.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편안한 환경은 불안을 감소시키고 안정감을 제공한다.
비슷한 경험을 한 다른 대상자와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른 사람과 비슷한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대상자의 대처능력이 증진되고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수용적 태도는 자기 가치감을 증진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 수행
시행여부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 6시간 마다 불안 정도를 사정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O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주의 깊게 경청하였으며, 공감해주었다.
O
대상자의 지식과 이해수준에 맞게 처치와 관련된 설명을 명확히 한다.
⇒ 바늘 교환 목적과 절차, 시기를 설명하였다.
O
O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이완요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4시간 마다 이완요법(명상, 음악 듣기, TV프로그램 시청, 책읽기, 스트레칭, 심호흡 등)을 시행하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과 함께 있도록 지지해준다.
⇒보호자에게 대상자 옆에 함께 있도록 지지하고 마사지를 하거나 정서적 지지를 제공 하도록 하였다.
O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 주변의 소음을 줄이고 불필요한 자극을 최소화 하여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O
비슷한 경험을 한 다른 대상자와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바늘 교환 경험이 있고 옆 병실에 있는 19세 환아와 대화를 하도록 주선하였다.
O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 수용적 태도를 통해 신뢰감 형성과 협력관계를 형성하였다.
O
간호 평가
달성여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바늘 교환하는 것에 불안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O
<단기목표>
대상자는 4시간 이내 불안을 감소시키는 활동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불안 감소활동에는 음악듣기, 심호흡, TV보기가 있어요.”라고 3가지를 말하였다.
O
대상자는 0월 0일 needle chage 전까지 상태불안척도 점수가 52점 미만으로 감소할 것이다.
O
질문사항
0/0
0/0
1*
나는 마음이 차분하다.
1
2
2*
나는 마음이 든든하다.
1
3
3
나는 긴장되어 있다.
4
3
4
나는 후회스럽고 서운하다.
1
1
5*
나는 마음이 편하다.
1
2
6
나는 당황해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1
1
7
나는 앞으로 불행이 있을까 걱정하고 있다.
2
2
8*
나는 마음이 놓인다.
1
2
9
나는 불안하다.
4
3
10*
나는 편안하게 느낀다.
1
2
11*
나는 자신감이 있다.
2
3
12
나는 짜증스럽다.
1
1
13
나는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4
3
14
나는 극도로 긴장되어 있다.
4
2
15*
내 마음은 긴장이 풀려 푸근하다.
1
1
16*
나는 만족스럽다.
1
1
17
나는 걱정하고 있다.
4
2
18
나는 흥분되어 어쩔 줄 모른다.
3
1
19*
나는 즐겁다.
1
1
20*
나는 기분이 좋다.
1
1
합 계
67
51
[첨부] 상태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X-1)
1: 전혀 그렇지 않다
2: 조금 그렇다
3: 보통으로 그렇다
4: 대단히 그렇다
52-56점 : 상태불안 수준이 약간 높음
57-61점 : 상태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음
62점 이상 : 상태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역방향 채점 문항 : 1, 2, 5, 8, 10, 11, 15, 16, 19, 20
Ⅳ. 결론
Ⅴ.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김영혜 외.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고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KIMS https://www.kimsonline.co.kr/
O
간호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O
<단기목표>
대상자는 0월 0일까지 백혈구 수치와 CRP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O
대상자는 0월 0일까지 감염 예방 활동을 2가지 이상 실행할 수 있다.
⇒ “마스크 끼고 손 잘 씻을게요.”
O
③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불안
영 역
내 용
사정
주관적 자료
“바늘 교환 언제해요? 무섭고 긴장돼요.”
“많이 아파요?”
“차라리 지금 빨리 해버렸으면 좋겠어요.”
“어젯밤에 악몽을 꿨어요. 잠도 개운하게 못 자는 것 같아요.”
“우리 아들이 잠자고 있는데 자주 뒤척이는 거 같아요.”
객관적 자료
- 0/0에 IV라인 교환함.
0/0에 스테이션에 와서 바늘 언제 교체하는지 안절부절하는 모습이 관찰됨.
상태불안척도 점수: 67점(상태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첨부]있음
간호진단
진단명
불안
정의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막연하고 편안하지 않은 불편감이나 공포감(원인은 개인에게 불 특정적이고 알려지지 않음), 예상되는 위험에 의해 유발되는 염려스러움, 곧 닥칠 위험을 경고하고 개인이 그 위협을 해결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게 하는 경고 신호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바늘 교환하는 것에 불안증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4시간 이내 불안을 감소시키는 활동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0월 0일 needle chage 전까지 상태불안척도 점수가 52점 미만으로 감소할 것이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적절한 간호를 위해서는 먼저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불안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해 불안을 경감시키고, 경청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불안 완화에 도움을 준다.
감정이입을 통한 이해는 대상자의 대처능력이 증진된다.
대상자의 지식과 이해수준에 맞게 처치와 관련된 설명을 명확히 한다.
적절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감소시킨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이완요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이완요법은 불안,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다.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과 함께 있도록 지지해준다.
대상자를 혼자 두지 않고 함께 있어 줌으로써 안전과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안심시킨다.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편안한 환경은 불안을 감소시키고 안정감을 제공한다.
비슷한 경험을 한 다른 대상자와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른 사람과 비슷한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대상자의 대처능력이 증진되고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수용적 태도는 자기 가치감을 증진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 수행
시행여부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 6시간 마다 불안 정도를 사정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O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주의 깊게 경청하였으며, 공감해주었다.
O
대상자의 지식과 이해수준에 맞게 처치와 관련된 설명을 명확히 한다.
⇒ 바늘 교환 목적과 절차, 시기를 설명하였다.
O
O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이완요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4시간 마다 이완요법(명상, 음악 듣기, TV프로그램 시청, 책읽기, 스트레칭, 심호흡 등)을 시행하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과 함께 있도록 지지해준다.
⇒보호자에게 대상자 옆에 함께 있도록 지지하고 마사지를 하거나 정서적 지지를 제공 하도록 하였다.
O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 주변의 소음을 줄이고 불필요한 자극을 최소화 하여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O
비슷한 경험을 한 다른 대상자와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바늘 교환 경험이 있고 옆 병실에 있는 19세 환아와 대화를 하도록 주선하였다.
O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 수용적 태도를 통해 신뢰감 형성과 협력관계를 형성하였다.
O
간호 평가
달성여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바늘 교환하는 것에 불안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O
<단기목표>
대상자는 4시간 이내 불안을 감소시키는 활동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불안 감소활동에는 음악듣기, 심호흡, TV보기가 있어요.”라고 3가지를 말하였다.
O
대상자는 0월 0일 needle chage 전까지 상태불안척도 점수가 52점 미만으로 감소할 것이다.
O
질문사항
0/0
0/0
1*
나는 마음이 차분하다.
1
2
2*
나는 마음이 든든하다.
1
3
3
나는 긴장되어 있다.
4
3
4
나는 후회스럽고 서운하다.
1
1
5*
나는 마음이 편하다.
1
2
6
나는 당황해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1
1
7
나는 앞으로 불행이 있을까 걱정하고 있다.
2
2
8*
나는 마음이 놓인다.
1
2
9
나는 불안하다.
4
3
10*
나는 편안하게 느낀다.
1
2
11*
나는 자신감이 있다.
2
3
12
나는 짜증스럽다.
1
1
13
나는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4
3
14
나는 극도로 긴장되어 있다.
4
2
15*
내 마음은 긴장이 풀려 푸근하다.
1
1
16*
나는 만족스럽다.
1
1
17
나는 걱정하고 있다.
4
2
18
나는 흥분되어 어쩔 줄 모른다.
3
1
19*
나는 즐겁다.
1
1
20*
나는 기분이 좋다.
1
1
합 계
67
51
[첨부] 상태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X-1)
1: 전혀 그렇지 않다
2: 조금 그렇다
3: 보통으로 그렇다
4: 대단히 그렇다
52-56점 : 상태불안 수준이 약간 높음
57-61점 : 상태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음
62점 이상 : 상태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역방향 채점 문항 : 1, 2, 5, 8, 10, 11, 15, 16, 19, 20
Ⅳ. 결론
Ⅴ.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김영혜 외.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고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KIMS https://www.kimsonline.co.kr/
추천자료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아동간호
백혈병(Leukemia)환자의 간호
급성림프구성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ase study
혈액 종양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과] 소아과(PED,PICU) AML(acute myeloid leukemia/급성 골수성 백혈병)환아 케이스 ...
[간호학과] 내과(IM) AML(Acute Myeloid Leukemia/급성 골수성 백혈병) 케이스 스터디 (case ...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급성신우신염 간호과정, 급...
백혈병 대상자 간호 A+
아동간호학 급성장염 사례보고서 case study(a+보장, 교수님 극찬, 피드백 수정완료, 간호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