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에게묻다) 사람은 누구나 사랑을 받고 또 주고 싶어 한다 심리학에게묻다 교재(p165-183) 내용 및 기타 자료를 개인이 자유롭게 참조하여, 자신이 추구하는 사랑과 펙(M S Peck)이 제시한 참사랑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에게묻다) 사람은 누구나 사랑을 받고 또 주고 싶어 한다 심리학에게묻다 교재(p165-183) 내용 및 기타 자료를 개인이 자유롭게 참조하여, 자신이 추구하는 사랑과 펙(M S Peck)이 제시한 참사랑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로 사랑한다. 그러나 자기들의 고유한 방식대로 사랑을 한다. 나 역시 그랬다. 나만의 방법으로 사랑을 했고 상대가 응답하는 방법으로 상대를 사랑해주어야 한다고 느끼지 않으면서 사랑을 받기만을 바랬다. 상대가 사랑을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이해하고 그 해석이 어떻게 관련되는지 이해한다면 또 다른 결과를 맞이할 수 있을까? 나의 사랑표현방식과 상대방의 사랑표현방식을 깊이 이해하고, 상대방 중심의 입장에서 상대를 배려해야 할 필요성을 말하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나는 굉장히 어린 행동을 했던 것 같다. 나와 남자친구 사이에 여러 가지 일들이 있었지만 그러한 일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는 성숙하지 못한 태도를 취했다.
애착 이론가들에 따르면 성인의 사랑유형은 양육자와의 애착 유형에서 영향을 받는다고 하는데 주양육자와 안정적인 애착을 맺은 사람의 경우 이성관계에서도 일관성있고 우호적이며 수용적인 행동을 한다. 반면에 양육자와 불안하거나 저항적인 애착을 맺은 사람들은 이성관계에서도 거부적 행동과 수용적인 행동을 일관성없이 나타내게 된다. 양육자와 회피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한 사람의 경우에는 이성관계에서도 지속적으로 거부반응을 보이며 지나치게 독립적이고 의존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그렇다면 나는 우리 부모님과 애착관계가 어땠을까. 우리 부모님은 온정적인 분들이셨지만 맞벌이를 하며 하루하루를 바쁘게 살아갔다. 바쁜 삶을 살면서 엄마 아빠가 회사에 가있는 동안은 집에서 나는 혼자 지냈어야 했었고, 사랑받으면서 커왔다고 보여지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혼자 있던 그 시간에 많은 외로움을 느꼈던 것 같다. 어쩌면 그래서 내가 한켠으로는 남자친구와 연애를 하면서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견디기 어려워했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사랑이 언제나 열정 가득하기는 힘들다는 것을 나는 아주 잘 이해하고 있다. 잔잔한 호수 같은 사랑도 사랑임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열정 가득한 사랑만을 원했던 것은 어린 시절에 충족되지 않았던 조각을 이런 형태로 채우고 싶었던 어린 마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성간의 애착과 초기 애착, 즉 부모와의 애착에는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공통점으로는 두 애착 모두 다른 사람과 대치될 수 없는, 내가 사랑하는 고유한 사람과 가까움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고, 애착 대상과의 결속을 갈망하며 그로부터의 안정감과 만족감을 얻는 것이 공통된 모습이다. 하지만 이성관계에서는 서로가 애착의 대상이 되어서 서로 보살핌을 주고받는다. 이것은 자녀가 일방적으로 부모에게 애착되어서 보살핌을 받는 초기애착관계와는 조금 다른 모습이다.
그러므로, 사랑의 유형이 부모와의 관계, 이상간 관계가 다를 수 밖에 없으며, 사랑 유형의 항속성이 없기 때문에 서로 끊임없는 노력과 대화가 필요함을, 그 대화를 통한 열린 마음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고, 보다 성숙한 사랑을 하기 위하여 나 스스로도 많은 노력을 해야함을 알게 되었다.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박종환(2003). 사랑에 대한 Sternberg의 세모꼴 이론과 성인 애착 유형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은지(2012). 대학생 이성교제시에 나타나는 사랑유형에 관한 연구 : Sternberg 사랑의 삼각형이론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희,오오현(2021). Sternberg ‘사랑의 삼각이론’에 따른 기독교인 부부의 사랑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신학과실천, (0)73, 381-406.
권순달(2004). 사랑의 이론과 측정 도구의 생태학적 평가. 교육문제연구, (0)21, 165-184.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1.25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