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물류론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항만에 대해 설명하시오 선하증권의 샘플을 게시 ttgg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물류론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항만에 대해 설명하시오 선하증권의 샘플을 게시 ttg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국제물류론(기말)
1.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5점)
2. 항만에 대해 설명하시오 (15점)
3. 선하증권의 샘플을 게시하고, 그 내용을 설명하시오 (20점)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곳 이다. Voyage No.는 항차번호로 1 항차는 출발항에서 목적항을 거쳐 출발항으로 회항하는 것을 말하며 East, West, South와 North등의 약자인 E. W. S. N을 함께 병기함으로써 출발항을 기준으로 수출인지 수입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도 한다. Port of Loading는 화물을 선적하는 항구를 말하며 “Busan, Korea”나 “Kobe, Japan”처럼 항구명과 국가명을 표기한다. Port of Discharge는 화물의 양륙항과 국명을 기재한다. Place of Delivery는 화물을 운송인이 책임지고 수하인에게 인도하여 주는 장소를 기재하는 곳 이다. Final Destination는 화물의 최종 목적지를 표시한다. 선하증권에 운임이 계상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단지 참고사항에 불과하여 기재되지 않은 경우도 많으나 최종목적지를 기재함으로써 다음의 운송수단과 경로를 예측하여 준비할 수 있다.B/L No.는 선사나 B/L 발행기관이 정한 번호를 기재한다. 일반적으로 선적항과 양육항의 로마자 알파벳의 머리글자를 이용하고 그 다음에 아라비아 숫자로 일련번호를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고 발행인의 고유한 방법으로 표기하게 된다. Marks & Numbers는 포장 겉면에 표시된 화물의 화인(Shipping mark)과 수량을 표기하면 된다. Container & Seal No.는 화물이 적재된 컨테이너 번호와 컨테이너를 봉인한 씰 번호이다. Number and Kind of Containers of Package는 포장의 숫자와 종류 또는 컨테이너의 종류와 수량을 표기하는 란이다. Deion of Goods는 Invoice나 Packing List에 기재된 상품의 내용을 열거하여 기재한다. 바이어의 요구에 의해 HS Code나 B/L No.가 기재되는 경우도 있다. 복합운송의 경우 부지약관으로 “Said to Contain” 또는 “Shipper’s Load and Count”가 기재되기도 한다. Gross Weight는 화물의 총중량이다. 송화인이 선박회사에 직접 선적요청을 하고 선박회사가 지정하는 곳에서 화물을 인도하는 경우나 LCL Cargo의 경우 지정된 CFS에서 등록된 검정회사의 검측을 받을 때, Invoice, Packing List와 일치하지 않으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화물에 이상이 있으면 파손화물 보상장을 제출하고 Clean B/L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FCL Cargo의 경우 Container를 Door에서 적재작업 할 경우는 부지조항을 B/L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이 모든 것을 갈음하고 있다. Measurement은 화물의 용적을 표시한다. 화물의 가로 세로 높이를 곱해서 CBM(1 CBM=1 Cubic Meter = 1㎥ = 1m × 1m × 1m)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화물 포장의 가로 × 세로 × 높이가 1m × 1.2m × 1.7m라면 용적이 2.04 CBM이 된다. CFS/CFS는 선적항 CFS에서 양륙항 CFS까지 운송한다는 의미로서 LCL 화물의 경우는 CFS/CFS(CFS to CFS), FCL 화물의 경우는 CY/CY(CY to CY)가 된다. Laden On Board는 화물이 실제 선적된 날짜가 기재되며 선적일(On Board Date)과 발행일(Date of Issue)은 보통 같다. 발행일이 선적일보다 늦을 수는 있지만 발행일이 선적일 보다 빠른 경우는 B/L을 선 발행한 것이므로 은행이 매입거절 할 수 있다. On Board 하단에는 선적일자가 기재되고 서명권자(발행인)의 서명(Signature)이 있다. 만약 B/L양식에 Total Number of Containers or Package(In Word) 이런 난이 있으면 컨테이너의 개수나 포장물의 개수를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말로 풀어서 기재하고 아라비아 숫자는 ( )안에 병기한다. Freight & Charge는 매수인이 운임을 지불하는 FOB 조건의 경우는 “Freight Collect”라고 기재하고 매도인이 운임을 지불하는 CFR이나 CIF조건의 경우에는 “Freight Prepaid” 또는 “Prepaid Arranged”라고 기재한다. Freight Payable at란 FOB 조건의 경우 공란에 “Destination”이라고 표기하면 되고 CFR이나 CIF의 경우는 선적항과 국명을 기재한다. 예를 들면 Seoul, Korea. 등으로 기재할 수 있다. Place and Date of Issue는 B/L 발급 장소와 날짜를 기입한다. 예를 들면 APR.20.2009 Seoul, Korea.와 같은 방식으로 기재 한다. 본 서식에서 No. of Original B/L 는 B/L이 Surrender되었기 때문에 “NIL”이라고 표기 되었으나 일반적으로 B/L원본은 3통이 발행되므로 문자로 Three라고 표기하고 괄호 안에 아라비아 숫자로 3이라고 기재한다. Signature는 발행권자의 등록된 서명이다. 이 때 B/L을 Carrier로서 발행하는 것인지 Agent자격으로 발행하는 것인지 명확히 표기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서명을 한 후 B/L을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재발급을 하든가 “Correction” 도장을 날인한 후 수정한 곳에 서명을 하여야 한다. For Delivery of Goods Please Apply to 화물도착지의 선박회사 대리점이나 운송주선인의 대리점 주소, 전화번호 등을 명기한다. KITA한국무역협회. 무역용어. Bill of Lading. https://www.kita.net/search/totalSearch.do
4. 출처 및 참고문헌
-두산백과. 항만. https://www.doopedia.co.kr/
-선박항해용어사전. 공길영. 한국해양대학교.
-[무역정보] Bill of Lading(BL) 선하증권 총 정리. 메타스 코퍼레이션. https://blog.naver.com/metas-corp/222882032308
-KITA한국무역협회. 무역용어. Bill of Lading. https://www.kita.net/search/totalSearch.do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4.01.30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5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