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전자회로실험 오실로스코프의 사용실험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전자회로실험 오실로스코프의 사용실험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오실로스코프의 Horizontal, Vertical and Trigger Control
2. 오실로스코프의 접지, two channel 측정, math 기능
3. 오실로스코프의 trigger 소스, cursor & measurement control

본문내용

이상의 사인파형이 나타나도록 오실로스코프를 조정한다.
함수발생기의 출력을 1kHz, 1Vp, offset 10V 로 설정한 이후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나는 2주기 이상의 사인파형을 캡쳐했다. 그 결과 파형이 기준점인 0V에서 20V 만큼 떨어져서 나타났고 (수직으로 한칸의 값이 10V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는 offset값의 두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Vp값 또한 약 22V로 측정되었다. 이는 함수발생기 출력인 1Vp의 약 두배임을 알 수 있다.
Offset을 4V로 조정하라고 하셨는데 이는 실험에서 적용시킬 예정이라 시뮬레이션에서는 그대로 진행하였습니다.
아래 그림 1.9와 같이 회로를 결선하고, 함수발생기의 출력을 회로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1kΩ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하되, 함수발생기의 전원 플러그를 같은 콘센트에 꽃은 상태에서 관찰한다.
1kΩ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하되, 함수발생기의 전원 플러그와 오실로스코프의 전원플러그를 각각 서로 다른 실험 테이블의 콘센트에 꽃은 상태에서 관찰한다. 단계 (2)의 결과와 차이를 분석한다.
1kΩ에 걸리는 전압은 전압 분배를 이용했을 때와 같은 결과 값인 995.093 mV, 약 1V가 측정되었다(저항 비 1:2, 총 전압 3V 이므로).
(2)와 (3)의 실험은 콘센트 꽃는 위치의 차이이므로 이는 곧 함수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의 접지를 일치시킬지 불일치 시킬지에 대한 실험이다. 따라서 두 장비의 접지를 일치시켰을 때와 아닐 때의 결과값은 달라질 것이다 (또는 어차피 같은 접지이기 때문에 실험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오실로스코프의 채널 두개를 사용하되 프로브의 접지를 함수발생기의 접지단자에 연결하고 오실로스코프의 math 기능을 사용하여 1kΩ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내도록 한다.
1kΩ에 걸리는 전압은 Math기능을 이용하면 0.990105V (1.320V-329.895mV) 약 1V로 측정될것이다. (멀티심에선 Math기능이 없어서 Ch.A에서 Ch.B를 빼줬다)
4.3 오실로스코프의 trigger 소스, cursor & measurement control
아래 그림 1.11과 같이 회로를 결선한다. 오실로스코프의 접지를 함수발생기의 접지에 연결한 후, 1번 채널의 프로브는 함수발생기 출력에 연결하고, 2번 채널의 프로브는 capacitor와 저항의 연결지점에 연결한 후 파형을 관찰한다. Trigger 소스의 전환에 따른 화면의 표시되는 파형의 변화를 관찰한다.
Cursor 기능을 이용하여 1번 채널의 파형과 2번 채널의 파형의 주기, amplitude 등 파형과 관계된 값들을 추출한다.
함수발생기의 출력을 측정한 채널 A에서는 2.993V로 함수발생기의 출력인 3V와 비슷하게 출력되었다. 커패시터와 저항의 연결지점인 채널 B에서는 855.790mV로 측정되었다. 커패시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두 위상차가 15.152us 만큼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2-T1)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2.09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0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