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시 답사자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척시 답사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삼척시 개관
2. 죽서루(竹西樓)
3. 동해척주비(東海陟州碑)
4. 수로부인공원
5. 무릉계곡
6 삼화사(三和寺)
7. 삼척의 능, 묘역들

본문내용

되고 있다.
복원과정 중 오른쪽 등판면에서 약 10행 161자로 된 글을 발견하였다. 내용에 노사나불이란 명칭이 2번 나와 이 불상의 이름을 알려 주고 있다. 또한 시주자의 부모를 위해 880년대에 활약한 결언 스님을 중심으로 화엄경에 따라 불상을 조성했다는 기록을 통해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만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0세기 이후까지 내려오는 이두의 사용과 한자를 국어 어순에 맞추어 배열하는 문장 등으로 미루어 그 당시 국어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2) 삼층석탑
삼화사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아 보이는 기단은 각 층 모두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에는 별도의 탑신 괴임돌을 두어 탑신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번갈아 쌓아 올렸는데,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그 규모가 서서히 줄어든다. 여러군데에 금이 가 있고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으나, 대체로 잘 남아있고 균형이 잘 잡힌 단아한 모습이다. 기단의 구성이나 별도의 석재로 탑신괴임을 둔 점 등으로 미루어 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짐작된다. 1997년 4월 대웅전 앞에서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해체하여 복원하였는데, 이 때 위층 기단 안에서 나무 궤짝이 발견되었다. 그 안에는 곱돌로 만든 소형탑 25기와 청동제 불대좌조각 2점, 철조각 6점, 문서를 기록한 종이 1매 등이 들어있었다.
<삼척의 공양왕릉>
7. 삼척의 능, 묘역들
7-1. (전)공양왕릉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추천(秋川, 갈내) 고돌재(古突峙)에 있는 고분(古墳) 3기, 삼척에서 남으로 약 40리 가면 동막리(東幕里)를 지나 \"사래재\"라는 나즈막한 고개를 넘어가면서 바다쪽을 건너다 보면 큰 소나무가 외로이 서 있고, 그 곳에 석축굽을 돌린 큰 무덤과 그 옆과 앞에 작은 무덤이 2기가 보인다. 이 고분들은 고려(高麗)의 마지막 임금인 공양왕(恭讓王) 3부자의 능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삼척 恭讓王陵(공양왕릉)은 고려왕조의 마지막 임금인 공양왕(제34대, 재위기간 1389-1392)의 능묘이다. 공양왕은 왕조의 몰락과 함께 폐위되어 왕자 (석)奭, (우)瑀와 함께 원주와 간성을 거쳐 삼척에서 조선조 태조 3년(1394)에 교살되었다고 전한다.
왕릉은 오랜 세월이 흐르는 사이 현종 3년(1837) 정유년 가을에 삼척 부사 이규현(李圭憲)이 개축하였으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 많은 사연을 가슴에 품은 채 그저 천추의 한을 품고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 묘소는 1942년 면장 김기덕(金基德)과 이 지방인사들이 다시 개축하고 1977년6월 면장 최문갑(崔文甲)이 봉축하였다.
<고양의 공양왕릉>
현재 우리 나라에는 공양왕릉이 두 군데 있는데 이 곳 宮村里와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에 남아있다. 경기도에 있는 공양왕릉은 문헌에 기록되어 있으나 이 곳 삼척의 공양왕릉은 민간에 오랫동안 구전되어 왔다.
현재 강원도 기념물로 지정된 공양왕릉은 가장 규모가 크고 그 옆은 왕자 나머지는 시녀 또는 왕이 타던 말무덤이라고 전한다. 이 곳 왕릉은 조선조 헌종 3년(1837)에 三陟府使 李奎憲이 개축을 했으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보수를 하였다. <태조실록>과 <양촌집> 등에는 조선조 태조 4년(1395)에 고려 왕조의 왕씨를 위해 삼척, 강화, 거제에서 水陸祭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이 곳의 지명 유래에 따르면 궁촌은 임금이 유배된 속이라 하고 마을 뒷길 고돌산에 공양왕이 살해되었다는 살해재가 있다. 또한 공양왕의 맏아들 왕석이 살았다는 궁터, 말을 매던 마리방이라는 지명도 전한다. 궁촌리에서는 3년마다 해신제를 지내기 전에 반드시 왕릉에 와서 제사를 추모하고 있다.
7-2. 준경묘와 영경묘
조선시대에 조성된 묘역.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5대조인 양무장군의 묘(준경묘)와 양무장군의 부인 이씨의 묘(영경묘)이다.
고종 광무 3년(1899)년에 묘소를 고쳐 짓고 제각(제사를 지내기 전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해 머무는 공간 또는 제사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관하는 공간)과 제실(제사를 모시는 집), 비각(비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건물) 등을 세웠다. 이 일대는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가장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되기도 했을 만큼 울창한 소나무 숲이 잘 보존되어 있다.
“조선 개국을 예언한 명당, 영경묘”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의 고조부인 목조 이안사가 전주를 떠나 삼척으로 왔을 때였다. 삼척에 온지 얼마 되지 않아 아버지 양무장군이 세상을 떠났다. 묘 자리를 찾고 있던 중 산 속에서 한 도승이 동자승에게 하는 얘기를 우연히 엿듣게 된다. “이곳에서 장사를 지내면 5대 안에 한 나라를 개국하는 그런 인물이 태어날 것이다. 그럴려면 반드시 개토제(開土祭) 때 100마리 소를 제물로 바쳐야 하고, 금으로 만든 관을 사용해야한다” 이에 목조는 궁리 끝에 100마리의 소(百牛)는 흰 소(白牛)로 대신하고, 금으로 만든 관(金棺)은 황금빛이 나는 귀릿짚으로 대체했다. 그렇게 해서 예언대로 이성계가 태어나게 됐다고 한다. 이때 백우(百牛)를 백우(白牛)로 대신하여 천년 갈 조선이 5백년만 유지됐다고도 하고, 준경묘 사방 5봉의 산 수명이 각각 1백년이라 조선왕조의 수명이
<준경묘>
500년이었다고도 한다.
준경묘는 조선 태조의 5대조인 양무장군(陽茂將軍)의 묘이고, 영경묘는 양무장군의 부인 이씨의 묘이다. 준경묘는 활기리에 있고, 영경묘는 약 4㎞ 떨어진 하사전리에 있다. 1899년에 왕명으로 묘소를 짓고, 재각(齋閣:제사를 지내기 전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해 머무는 공간 또는 제사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관하는 공간)·제실(祭室)·비각(碑閣) 등을 세웠다. 준경묘 앞에는 앞면 3칸·옆면 2칸짜리 제각이 있는데, 지붕선이 옆에서 보았을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의 단순한 맞배지붕이다. 이 제각은 왕릉에 세워지는 정(丁)자형이 아니라 단순한 일(一)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 일대는 울창한 소나무 숲으로 되어 있어 원시림의 경관을 구경할 수 있는 경치가 좋은 곳이며, 이곳의 소나무들은 경복궁 중수 때 자재로 쓰였다고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4.02.24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1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