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미술관을 가다 견학, 답사자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김홍도를 알아가다.
1. 김홍도의 불교화.

2. 김홍도의 그림 속 서양화법
- 서양화법의 전례
- 서양화법이란?
- 김홍도의 그림 속 서양화법

3. 조선적인 너무나도 조선적인 김홍도의 그림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영 처리로 인하여 호랑이 몸통의 괴 량감과 입체감을 성공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부드러우면서 도 탄력 있어 보이는 꼬리의 모습도 잘 포착하였다. 특히 작은 얼굴 크기에 비해 다소 과장된 듯 강조된 두 눈의 빛나는 안구가 보여 주는 입체감은 전체적인 사실감을 증 폭시킨다.
<그밖에...>
김홍도, <총석정도>, 1795. 김홍도, <구룡연>,『금강사군첩』, 1788.
Ⅲ.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 김홍도 그림
지금까지 그의 불교화와 서양화법이 돋보이는 그림들을 살폈다. 그렇다면 이런 그림들에서 조선의 모습을 어떻게 갖출 수 있었을까?
김홍도는 어떻게 불화에서 조선의 모습을 갖출 수 있었을까? 그것은 그가 정조 시대에 살았던 데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조선의 지식층은 중국을 통한 서양문물을 접한 후 새로운 사조를 받아들이는 한편 실학이 가져다 준 자아의식을 바탕으로 자국 문화에 긍지를 느끼고 있었고 그러한 문화적 자신감 혹은 자주성을 예술 작품에 마음껏 표현했다. 외국적인 소재라도 조선적인 것으로 바꾸어 놓아야 직성이 풀렸을 것이다. 외국에서 수입된 그림 양식이나 주제는 살리되 그 외의 것은 자신들의 고유화법에서 좀더 진실한 자기표현을 찾았던 것이다. 조선에서는 당연히 조선적인 모습으로 그려져야 했던 것이다. 이런 식의 전환은 다른 화가들에게서 보다 김홍도의 그림에서 잘 보인다. 그래서 그를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 화가라고 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
이성미, 《조선시대 그림 속의 서양화법》, 대원사, 2000.
최준식,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효형출판, 2000.
레포트 자료^^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2.0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