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다산 정약용)
1. 다산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 다산의 교육 이념
3. 다산의 교육 목적
4. 다산의 교육방법
5. 다산의 교육사상
6. 다산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
-참고문헌-
1. 다산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 다산의 교육 이념
3. 다산의 교육 목적
4. 다산의 교육방법
5. 다산의 교육사상
6. 다산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두루 섭렵하고 있으며 사회의 개혁을 위해서 필요한 부분들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제시하였던 것이다. 또한 그의 실용주의 정신은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능력, 흥미를 최대한으로 고려한 수업과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해 주어야 함을 가르쳐 주고 있다.
④ 경서
다산은 당시 교육이 사서삼경(四書三經)만을 존중하고 십삼경(十三經)을 인식하지 못하는 교육풍토를 비난하면서 십삼경(十三經) 중 십경(十經)을 주요 교과목으로 가르칠 것을 주장하였다. 다산의 십경은 육경사서를 말하는 것으로 그의 일표이서와 함께 다산학의 기둥을 이루고 있다. 이는 다산이 유교의 경전을 다시금 재정비한 것으로서 주자의 사서삼경을 육경사서로 확충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산은 점점 복잡해지는 사회에서 칠서(七書)만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십경(十經)을 교과목으로 제시하였다.
⑤ 국학
조선시대의 교육은 주로 중국의 전적에 의존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경학뿐만 아니라 당시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 사서, 주자학 등 모든 학문에 깊이 관여했던 관계로 국학, 국사가 바로 서지 못했던 것이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이에 국학에 조예가 깊었던 다산은 국사, 국문학, 지리 등 모든 분야의 교육 내용에 국학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다산은 국학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려사, 반계수혹, 서애집, 문헌비고, 국조보감, 성호사설 등 우리나라의 고유한 사상이 그대로 담겨진 서적들을 읽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산은 우리의 역사 뿐만 아니라 중국의 사서에서도 우리나라와 관계된 사실을 발췌하고 요약 · 정리해야 완전한 교육을 이룰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당시에 젊은이들의 학문수준을 비판하면서 다시한번 우리 것을 알지 못한 채, 타민족의 역사와 학문과 문화만을 쫓던 젊은 학자들에게 일침을 가했고, 자식들에게 이를 표본삼아 국사에 대한 공부를 게을리 하지 말고, 꾸준히 할 것을 당부하면서 다시한번 국학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또한 다산은 나라의 관리를 등용하는 과거시험의 폐단을 지적하였는데 여기서 다산은 관리를 등용하는 과거시험에 모순이 있음을 지적하고, 과거시험 과목에 국사를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국사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여 이해하려 했다. 이렇듯 다산은 중국의 사상과 학문에 젖어 우리나라의 현실을 바로 직시하지 못했던 당시의 시대상과 그 시대에 편승하여 중국의 학문을 발판으로 출세지향주의에 빠진 선비들의 태도를 강하게 질책하면서 국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6. 다산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
다산의 눈에 비친 18세기 후반의 조선 사회는 정치적인 면이나 경제적, 사회적으로 혼란했던 시기였으므로, 일대 전환이 요청되었다. 그리고 국내적으로는 당쟁과 민생의 문제를 해결해야 했고, 대외적으로는 서양의 과학 기술이 도입되어 정치와 경제, 교육분야에 있어서도 교육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지배 권력층은 이러한 모순과 병리의 사회현상을 제거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해결하려는 의욕조차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은 실천을 위한 경세학보다는 사변적이고 관념적인 논리의 공방에만 몰두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실학자들은 현실을 바로잡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각종 개혁안을 제시했다.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도 현실을 바로잡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여 유학의 정신을 재천명하고 유학의 본질과 목적에 따라 인간 문제에 새로운 관심을 가지는 한편, 조선 사회의 정치, 경제, 교육 및 사회 제도의 구조적 개혁과 이에 수반되는 모순을 지적하고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다산의 교육사상은 조선조 후기의 사회적 병폐를 시정하는데서 출발하여 전통적인 유학사상을 견지하려는 입장을 보였다. 사실 다산의 학문적인 노력이 그 당시 결실을 맺지는 못 하였지만 그는 인간, 사회,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토대로 그의 독자적인 교육사상을 전개하였다.
-참고문헌-
1. 성태용, 다산 정약용의 철학사상, 철학과 현실사, 1999
2. 이문원, 한국의 교육사상가, 문음사, 2002
3. 최관경 외, 교육사상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3
4. 김상근, 다산 정약용의 교육관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석사학위논문, 2001
5. 백승윤, 다산의 교육사상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5
6. 송혜영,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7
④ 경서
다산은 당시 교육이 사서삼경(四書三經)만을 존중하고 십삼경(十三經)을 인식하지 못하는 교육풍토를 비난하면서 십삼경(十三經) 중 십경(十經)을 주요 교과목으로 가르칠 것을 주장하였다. 다산의 십경은 육경사서를 말하는 것으로 그의 일표이서와 함께 다산학의 기둥을 이루고 있다. 이는 다산이 유교의 경전을 다시금 재정비한 것으로서 주자의 사서삼경을 육경사서로 확충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산은 점점 복잡해지는 사회에서 칠서(七書)만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십경(十經)을 교과목으로 제시하였다.
⑤ 국학
조선시대의 교육은 주로 중국의 전적에 의존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경학뿐만 아니라 당시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 사서, 주자학 등 모든 학문에 깊이 관여했던 관계로 국학, 국사가 바로 서지 못했던 것이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이에 국학에 조예가 깊었던 다산은 국사, 국문학, 지리 등 모든 분야의 교육 내용에 국학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다산은 국학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려사, 반계수혹, 서애집, 문헌비고, 국조보감, 성호사설 등 우리나라의 고유한 사상이 그대로 담겨진 서적들을 읽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산은 우리의 역사 뿐만 아니라 중국의 사서에서도 우리나라와 관계된 사실을 발췌하고 요약 · 정리해야 완전한 교육을 이룰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당시에 젊은이들의 학문수준을 비판하면서 다시한번 우리 것을 알지 못한 채, 타민족의 역사와 학문과 문화만을 쫓던 젊은 학자들에게 일침을 가했고, 자식들에게 이를 표본삼아 국사에 대한 공부를 게을리 하지 말고, 꾸준히 할 것을 당부하면서 다시한번 국학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또한 다산은 나라의 관리를 등용하는 과거시험의 폐단을 지적하였는데 여기서 다산은 관리를 등용하는 과거시험에 모순이 있음을 지적하고, 과거시험 과목에 국사를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국사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여 이해하려 했다. 이렇듯 다산은 중국의 사상과 학문에 젖어 우리나라의 현실을 바로 직시하지 못했던 당시의 시대상과 그 시대에 편승하여 중국의 학문을 발판으로 출세지향주의에 빠진 선비들의 태도를 강하게 질책하면서 국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6. 다산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
다산의 눈에 비친 18세기 후반의 조선 사회는 정치적인 면이나 경제적, 사회적으로 혼란했던 시기였으므로, 일대 전환이 요청되었다. 그리고 국내적으로는 당쟁과 민생의 문제를 해결해야 했고, 대외적으로는 서양의 과학 기술이 도입되어 정치와 경제, 교육분야에 있어서도 교육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지배 권력층은 이러한 모순과 병리의 사회현상을 제거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해결하려는 의욕조차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은 실천을 위한 경세학보다는 사변적이고 관념적인 논리의 공방에만 몰두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실학자들은 현실을 바로잡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각종 개혁안을 제시했다.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도 현실을 바로잡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여 유학의 정신을 재천명하고 유학의 본질과 목적에 따라 인간 문제에 새로운 관심을 가지는 한편, 조선 사회의 정치, 경제, 교육 및 사회 제도의 구조적 개혁과 이에 수반되는 모순을 지적하고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다산의 교육사상은 조선조 후기의 사회적 병폐를 시정하는데서 출발하여 전통적인 유학사상을 견지하려는 입장을 보였다. 사실 다산의 학문적인 노력이 그 당시 결실을 맺지는 못 하였지만 그는 인간, 사회,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토대로 그의 독자적인 교육사상을 전개하였다.
-참고문헌-
1. 성태용, 다산 정약용의 철학사상, 철학과 현실사, 1999
2. 이문원, 한국의 교육사상가, 문음사, 2002
3. 최관경 외, 교육사상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3
4. 김상근, 다산 정약용의 교육관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석사학위논문, 2001
5. 백승윤, 다산의 교육사상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5
6. 송혜영,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7
추천자료
정약용의 생애와 교육사상
퇴계 이황과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교육사상과 현대적 의의
교육사 - 다산 정약용 (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 정약용 생애, 정약용 교육사상의 현대적 시사점 분석 - 다산 정약용 ...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인 정약용의 생애와 교...
교육사 )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
(교육사 4학년)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