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A+자료) Cholecystitis(담낭염) 사례보고서 입니다. 매우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A+자료) Cholecystitis(담낭염) 사례보고서 입니다. 매우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과 실무연계

Ⅲ. 간호사례
1. 성인간호사정도구
2. 간호과정

Ⅳ. 결 론

본문내용

n, total ↓ 등
불균형한 영양상태를 확인하였다.
4. 대상자에게 살코기, 고등어, 저지방 우유, 두부, 야채, 계란 등 지방 소화에 무리를 주지 않는 식사를 제공하였다.
5. 소량씩 자주 먹은 뒤 환자가 소화불량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 줄어들었다.
6. 식사 시마다 환기를 시켜 주어서
대상자가 식욕부진을 덜 호소하고
입맛이 돌아온다고 얘기하였다.
7. 대상자의 오심이 줄어들어 편하게
식사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8. 대상자가 자신의 병력(HTN,HL) 및
기름진 음식 섭취가 담낭결석을
유발할 수 있어 저지방식이가
필요함을 이야기하였다.
9. 대상자가 지방의 소화를 돕는 담즙이
불충분하여 지방 소화가 어려움을
이야기하였다.
1. 매일 아침 몸무게를 측정한다.
2. 불균형한 영양상태의
육안적 상태를 사정한다.
3. 임상 검사를 시행해
불균형한 영양 지표를 확인한다.
치료적 계획
4. 담백하고 신선한 저지방식이를 제공한다.
5. 식사 시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6. 주변에 악취나는 것이 없도록
환기를 시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준다.
7. 처방대로 진토제를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8. 대상자에게 저지방식이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9. 대상자에게 지방의 소화가 어려운 이유를 교육한다.
평가 : 성과목표 달성여부 확인
<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하루 세 번 모두 2/3 이상 식사를 한 것이
관찰되었다. (목표 달성)
< 행동성과 목표> 대상자는 하루 뒤에 식욕부진을 호소하지 않았다. 목표 달성)
간호계획, 수행, 평가
간호진단 순위 1번
수술 후 침습적 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Risk for Infectio)
간호목표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지표(WBC, Neutrophil,
Lymphocyte, CRP)가 정상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행동성과목표
대상자는 이틀 뒤 복강경이 침습한 부위에 부종, 발적, 진물, 발열, 통증 등 감염의 증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및 환자반응
진단적 계획
1. V/S check를 통해 대상자의
감염 증상 및 징후를 모니터링하였다.
2. 대상자의 WBC가 상승 여부를 확인하여 염증반응 및 감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 침습적 수술부위의 부종, 발적, 진물,
발열, 통증 등 감염 증상을 사정하였다.
4. 분비물의 색깔, 양, 냄새를 사정하였다.
5. 수술부위와 그 주변 피부에 미생물이
침범하지 않도록 상처간호를 수행하였다.
6. 손씻기를 시행함으로 세균의 전파를
최대한 피하도록 하였다.
7. 드레싱을 새로 갈거나 만질 때 무균술을 시행하여 감염의 위험을 차단하였다.
8.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함을
대상자에게 설명하고 투여하였다.
9. 대상자와 보호자가 올바르게 손씻는
모습을 간호사에게 시범보였다.
10. 대상자와 보호자가 간호사에게 감염의 증상으로 발열, 부종, 통증, 발적을
설명하였다.
1. 대상자의 V/S을 모니터한다.
2. 대상자의 WBC 수치를 확인한다.
3. 수술부위의 감염 증상을 사정한다.
4. 수술부위로부터 나온 분비물의 양상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5. duty마다 수술부위의 드레싱을 실시한다.
6. 대상자 간호 전후에 손씻기를 실시한다.
7.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처치를 시행할 때 반드시 무균술을 유지한다.
8.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올바른 손씻기
기술을 교육한다.
10.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평가 : 성과목표 달성여부 확인
< 일반적 목표> 퇴원 시 대상자의 감염지표(WBC, Neutrophil, Lymphocyte, CRP)가
정상 범위 내로 유지되었다. (목표 달성)
< 행동성과 목표> 이틀 뒤 대상자의 침습부위에서 소량의 진물, 부종이 관찰되었으며
발적, 발열, 통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목표 부분달성)
Ⅳ. 결 론
이번에 담낭염을 케이스로 선정하여 깊게 고찰해보고 간호과정도 세워 보면서, 일상생활에서 예방을 실천할 수 있는 부분이 굉장히 많아 가족들에게도 잘 알려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담낭염에 대해서 내가 간호사로서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지식을 많이 얻은 것 같아서 뿌듯했다. 사실 요새 따라 나도 배가 쑤실 때가 많고 뭔가를 먹을 때마다 더부룩한 느낌이 들어서, 소화기계 증상이 얼마나 겪기 싫고 일상생활에 해가
되는지 최근들어 잘 알게 되었다. 그래서 다음에는 담낭염을 제외한 소화기계 질환 중에서
케이스를 작성해보고 싶다. 이렇게 성인간호학 실습은 언제 생각해도 참 유용한 실습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는 환자들이 나에게 간호받는 것이 참 행운인 일이 될 수 있는 간호사가
목표이다. 아직 부족하지만 이렇게 반복해서 케이스 연습을 하여서 환자에게 최고의 간호를 제공해줄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사가 되어야 겠다.
Ⅴ. 참고문헌 (APA)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담석증”.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631&cid=51004&categoryId=51004. (22.11.27)
김은정, 이영미, 이민준. (2008). 담석 형성에 영향을 주는 식생활 관련 요인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3(2), 288~297.
두산백과. “담낭염”.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0119&cid=40942&categoryId=32774. (22.11.28)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담낭염”.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75&cid=51007&categoryId=51007. (22.11.28)
질병관리청. “담낭염”.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20. (22.11.29).
황옥남 외 8명.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8). 484-486.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4.03.19
  • 저작시기202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4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