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2. 간호 진단, 정의
3. 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4. 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5. 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6. 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7. 간호 평가
2. 간호 진단, 정의
3. 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4. 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5. 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6. 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7. 간호 평가
본문내용
100 5 네 20 -
05:00120 4 네 15 -
대상자는 하루에 15번의 배뇨를 하고, 그 중 9번은 요실금을 겪었다. 또한, 소변량은 평균적으로 150ml 정도이고, 요절박 정도는 대부분 3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3. 요 배양을 위해 표본을 채취하였다.
요 배양은 요로 감염의 원인균을 확인하고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이다.
*요 배양 채취 방법*
①손을 깨끗이 씻고, 항균 물질이 함유된 패드로 회음부를 닦아준다.
②첫 소변 몇 방울을 화장실에 흘려보내고, 그 다음 소변을 멸균 컵에 채취한다. 소변을 다 보기 전에 표본을 채취해야 한다.
③컵을 닫고, 라벨을 붙이고, 냉장 보관한다. 가능한 한 빨리 검사실로 보낸다.
4. 방광내압 측정의 결과를 모니터하였다.
방광내압 측정 결과:
10:00 AM 12:00 PM 2:00 PM 4:00 PM
방광내압 40 cmH2O 45 cmH2O 50 cmH2O 55 cmH2O
회음부근압 15 cmH2O 20 cmH2O 18 cmH2O 22 cmH2O
회음부근압 대비 방광내압 25 cmH2O 25 cmH2O 32 cmH2O 33 cmH2O
치료적 수행
1. 화장실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대상자가 화장실을 예정된 대로 이용하도록 교육하였다.
화장실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근처에 접근하기 쉬운 곳에 의자나 지팡이를 배치하고, 화장실에 손잡이나 지지대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대상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였다.
대상자에게 정기적인 배뇨 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맞춰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유도하였다. 화장실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해야 할 도구나 보조기구에 대해 설명하고, 소변을 완전히 비우기 위한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2. 처방대로 약물을 복용하도록 교육하였다. (긴박성 요실금 치료제)
디트로판정 5mg 1t BID
토비애즈서방정 4mg 1t BID
교육적 수행
1. 알코올과 카페인의 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하였다.
*알코올, 카페인 섭취 제한 필요성*
요실금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서는 알코올과 카페인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코올과 카페인은 신장에서 소변을 생성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고, 방광을 자극하여 소변을 보고 싶은 느낌을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알코올과 카페인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수면 중에 소변이 새거나 잠을 설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요실금이 있는 사람은 알코올과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
*알코올과 카페인의 섭취를 제한하는 방법*
입원 중에는 알코올은 금한다. 퇴원 후에는 알코올을 하루에 한 잔 이하로 마시고, 가능하면 아예 마시지 않다. 알코올은 물과 함께 섭취하거나,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알코올은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마시지 않는다.
카페인은 하루에 200mg 이하로 섭취한다. 요실금 환자는 가급적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카페인은 커피, 차, 콜라, 에너지 드링크, 초콜릿 등에 들어 있다. 카페인은 오후에 섭취하지 않도록 하며, 카페인은 무카페인이나 저카페인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2. 계획된 간격으로 배뇨하고, 배뇨시간을 점차적으로 연장시켜주는 방광 훈련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먼저, 방광 훈련 프로그램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였다. 방광 훈련 프로그램이 요실금을 줄이고, 일상생활의 편리성과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배뇨 일지에는 배뇨 시간, 배뇨량, 요실금 발생 여부, 요실금 유발 요인 등을 기록한다. 환자의 배뇨 일지를 바탕으로 계획된 간격으로 배뇨하도록 권장하고, 처음에는 환자가 요의를 느끼는 평균 간격보다 15~30분 정도 더 소변을 참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평균적으로 2시간마다 배뇨하였는데, 2시간 15분~30분마다 배뇨하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소변을 참는 동안에는 방광을 진정시키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깊게 숨 쉬기
-다리 꼬기/ 엉덩이를 꽉 쥐기 / 방광 위에 손을 올려놓기
-다른 일에 집중하기
-케겔 운동 하기
-물을 마시지 않기 / 카페인이나 알코올을 피하기
-화장실 근처에 가지 않기 / 요실금 패드를 사용하기
대상자가 하루 이틀은 배뇨 간격을 지키지 못하거나 요실금이 발생하여 비난하지 않고, 잘못된 것이 아니라 연습이 필요하다고 격려하였다. 환자의 배뇨 일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배뇨 간격이나 요실금 발생 빈도에 따라 방광 훈련 프로그램을 조정해주었다. 5일차에는 대상자가 배뇨 간격을 잘 지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칭찬하고 격려해주었다.
방광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환자의 수분 섭취량과 배뇨량을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도왔다. 하루에 1.5~2리터 정도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하고, 배뇨량이 300~400ml 정도가 되도록 한다. 너무 많이 또는 너무 적게 마시거나 배뇨하면 방광에 무리가 가거나 감염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케겔운동을 교육하였다.
케겔운동은 골반저근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요실금을 완화하고 방광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
*케겔 운동 방법*
1. 골반저근 찾기: 골반저근은 소변을 보다가 멈추는 데 사용되는 근육이다. 소변을 볼 때 한 번 멈춰보고, 그때 느끼는 근육이 골반저근이다.
2. 골반저근을 찾았다면, 편한 자세로 앉거나 누워서 운동을 시작한다. 엉덩이나 복부에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숨을 참지 말고 자연스럽게 호흡한다.
3. 골반저근에 힘을 주어서 5초 동안 조여본다. 그리고 10초 동안 힘을 빼고 휴식한다.
4. 이것을 10회 반복한다. 권장: 하루에 3~4세트
*케겔운동을 할 때, 다른 근육이나 몸의 부위를 움직이지 않고 골반저근에만 집중하도록 한다. 케겔운동은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으며, 일하면서, 책을 읽으면서, 텔레비전을 보면서 등등. 케겔운동을 습관처럼 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6개월 이내 요실금을 경험하지 않는다.-> 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배뇨일지를 작성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케켈 운동을 하루에 3~4세트를 수행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처방된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한다. -> 달성
05:00120 4 네 15 -
대상자는 하루에 15번의 배뇨를 하고, 그 중 9번은 요실금을 겪었다. 또한, 소변량은 평균적으로 150ml 정도이고, 요절박 정도는 대부분 3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3. 요 배양을 위해 표본을 채취하였다.
요 배양은 요로 감염의 원인균을 확인하고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이다.
*요 배양 채취 방법*
①손을 깨끗이 씻고, 항균 물질이 함유된 패드로 회음부를 닦아준다.
②첫 소변 몇 방울을 화장실에 흘려보내고, 그 다음 소변을 멸균 컵에 채취한다. 소변을 다 보기 전에 표본을 채취해야 한다.
③컵을 닫고, 라벨을 붙이고, 냉장 보관한다. 가능한 한 빨리 검사실로 보낸다.
4. 방광내압 측정의 결과를 모니터하였다.
방광내압 측정 결과:
10:00 AM 12:00 PM 2:00 PM 4:00 PM
방광내압 40 cmH2O 45 cmH2O 50 cmH2O 55 cmH2O
회음부근압 15 cmH2O 20 cmH2O 18 cmH2O 22 cmH2O
회음부근압 대비 방광내압 25 cmH2O 25 cmH2O 32 cmH2O 33 cmH2O
치료적 수행
1. 화장실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대상자가 화장실을 예정된 대로 이용하도록 교육하였다.
화장실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근처에 접근하기 쉬운 곳에 의자나 지팡이를 배치하고, 화장실에 손잡이나 지지대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대상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였다.
대상자에게 정기적인 배뇨 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맞춰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유도하였다. 화장실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해야 할 도구나 보조기구에 대해 설명하고, 소변을 완전히 비우기 위한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2. 처방대로 약물을 복용하도록 교육하였다. (긴박성 요실금 치료제)
디트로판정 5mg 1t BID
토비애즈서방정 4mg 1t BID
교육적 수행
1. 알코올과 카페인의 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하였다.
*알코올, 카페인 섭취 제한 필요성*
요실금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서는 알코올과 카페인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코올과 카페인은 신장에서 소변을 생성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고, 방광을 자극하여 소변을 보고 싶은 느낌을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알코올과 카페인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수면 중에 소변이 새거나 잠을 설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요실금이 있는 사람은 알코올과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
*알코올과 카페인의 섭취를 제한하는 방법*
입원 중에는 알코올은 금한다. 퇴원 후에는 알코올을 하루에 한 잔 이하로 마시고, 가능하면 아예 마시지 않다. 알코올은 물과 함께 섭취하거나,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알코올은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마시지 않는다.
카페인은 하루에 200mg 이하로 섭취한다. 요실금 환자는 가급적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카페인은 커피, 차, 콜라, 에너지 드링크, 초콜릿 등에 들어 있다. 카페인은 오후에 섭취하지 않도록 하며, 카페인은 무카페인이나 저카페인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2. 계획된 간격으로 배뇨하고, 배뇨시간을 점차적으로 연장시켜주는 방광 훈련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먼저, 방광 훈련 프로그램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였다. 방광 훈련 프로그램이 요실금을 줄이고, 일상생활의 편리성과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배뇨 일지에는 배뇨 시간, 배뇨량, 요실금 발생 여부, 요실금 유발 요인 등을 기록한다. 환자의 배뇨 일지를 바탕으로 계획된 간격으로 배뇨하도록 권장하고, 처음에는 환자가 요의를 느끼는 평균 간격보다 15~30분 정도 더 소변을 참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평균적으로 2시간마다 배뇨하였는데, 2시간 15분~30분마다 배뇨하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소변을 참는 동안에는 방광을 진정시키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깊게 숨 쉬기
-다리 꼬기/ 엉덩이를 꽉 쥐기 / 방광 위에 손을 올려놓기
-다른 일에 집중하기
-케겔 운동 하기
-물을 마시지 않기 / 카페인이나 알코올을 피하기
-화장실 근처에 가지 않기 / 요실금 패드를 사용하기
대상자가 하루 이틀은 배뇨 간격을 지키지 못하거나 요실금이 발생하여 비난하지 않고, 잘못된 것이 아니라 연습이 필요하다고 격려하였다. 환자의 배뇨 일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배뇨 간격이나 요실금 발생 빈도에 따라 방광 훈련 프로그램을 조정해주었다. 5일차에는 대상자가 배뇨 간격을 잘 지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칭찬하고 격려해주었다.
방광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환자의 수분 섭취량과 배뇨량을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도왔다. 하루에 1.5~2리터 정도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하고, 배뇨량이 300~400ml 정도가 되도록 한다. 너무 많이 또는 너무 적게 마시거나 배뇨하면 방광에 무리가 가거나 감염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케겔운동을 교육하였다.
케겔운동은 골반저근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요실금을 완화하고 방광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
*케겔 운동 방법*
1. 골반저근 찾기: 골반저근은 소변을 보다가 멈추는 데 사용되는 근육이다. 소변을 볼 때 한 번 멈춰보고, 그때 느끼는 근육이 골반저근이다.
2. 골반저근을 찾았다면, 편한 자세로 앉거나 누워서 운동을 시작한다. 엉덩이나 복부에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숨을 참지 말고 자연스럽게 호흡한다.
3. 골반저근에 힘을 주어서 5초 동안 조여본다. 그리고 10초 동안 힘을 빼고 휴식한다.
4. 이것을 10회 반복한다. 권장: 하루에 3~4세트
*케겔운동을 할 때, 다른 근육이나 몸의 부위를 움직이지 않고 골반저근에만 집중하도록 한다. 케겔운동은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으며, 일하면서, 책을 읽으면서, 텔레비전을 보면서 등등. 케겔운동을 습관처럼 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6개월 이내 요실금을 경험하지 않는다.-> 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배뇨일지를 작성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케켈 운동을 하루에 3~4세트를 수행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처방된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한다. -> 달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