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종양내과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2개/심근의 손상과 관련된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 혈액 응고수치 저하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종양내과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2개/심근의 손상과 관련된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 혈액 응고수치 저하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모르는 용어, 검사, 약물 파악
2. 사례요약
3.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 이상지질혈증, 고빌리루빈혈증, 염증 반응, 종양, 간질환, 심장질환, 최근의 외상, 수술, 감염, 임신, 고령, 혼탁된 검체
구분
CK
CK-MB
Troponin-I
ER 당시(chest pain 2hr후)
57
9.8▲
3.1▲
8시간 후
70
14.2▲
4.1▲
현재(14hr 후)
32
4.5
2.1▲
CK-MB 정상수치 : 5ng/mL 미만 / 상승 시 심근경색
Troponin-I 정상수치 : 0.04ug/L 이하 / 상승 시 심장근육 손상
CK 정상수치 : 0~169U/L
3.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1 심근의 손상과 관련된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
자료수집
<객관적 자료>
검사내용
검사결과
PT(sec)
35▲
PT(%)
45.3▼
PT(INR)
1.57▲
D-dimer
2.1▲
LDH
380▲
Troponin-I
2.1▲
total cholesterol
290▲
구분
CK-MB
Troponin-I
ER 당시(chest pain 2hr후)
9.8▲
3.1▲
8시간 후
14.2▲
4.1▲
현재(14hr 후)
4.5
2.1▲
- 흉통이 1시간 이상 지속되어 응급실 통해 방문
- STEMI(ST분절 상승 심근경색) 진단
- PCI(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Echocardiogram : grossly concentric LVH/valves: slightly thickened AV
식욕부진, 메스꺼움, 두통 호소함
DM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CK-MB, Troponin-I 수치를 정상으로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4일 이내에 정상적은 ECG 리듬을 보일 것이다.
2. 대상자는 4일 이내에 CK-MB, Troponin-I 수치가 감소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대상자의 v/s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대상자의 ECG를 관찰한다.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통증이 있으면 맥박수, 혈압, 호흡수가 증가한다.
심근이 허혈, 손상, 경색 되면 심전도의 변화를 가져온다.
혈청 Troponin-I, 혈청 심장효소인 CK-MB는 심근경색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치료적 계획
4.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약물의 합병증과 부작용을 관찰한다.
5. 처방된 산소를 공급한다.
4. 통증을 완화시키면 심근의 산소공급이 증가되고 산소요구도가 감소된다. 통증완화를 위해 NTG, Aspirin등을 투여하며, 허혈증상을 위해서는 헤파린이 투여될 수 있다.
5. 산소공급은 심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교육적 계획
6. 대상자에게 심장조직 관류 저하의 증상을 교육하고, 증상이 보일 시 의료진을 부르도록 교육한다.
6. 대상자가 증상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빠른 처치의 도움이 될 수 있다.
간호진단
#2 혈액 응고수치 저하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자료수집
<객관적 자료>
검사내용
검사결과
PT(sec)
35▲
PT(%)
45.3▼
PT(INR)
1.57▲
피부 사정 시 반상출혈 관찰 됨
DM
PCI 시행
Ticlopidine 복용 중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출혈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PCI 삽입 부위에서 출혈을 보이지 않는다.
2. 대상자는 4일 이내에 혈액검사 상 PT 수치가 정상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V/S을 확인한다.
2. 혈액검사 상 PT수치를 확인한다.
1. V/S은 대상자 상태를 확인하는데 기초가 된다. 출혈의 증상은 심박출량이 낮아져 저혈압과 빈맥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지속적으로 검사결과를 사정하여 심각한 출혈이 나타나기 전 중재를 할 수 있다. PT의 증가는 출혈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치료적 계획
3. 시술 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적용한다.
4. 매일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5. 출혈의 위험성을 높이는 약물을 사정한다.
3. 확실하게 지혈을 하기 위해서 압박붕대를 하거나 2~4kg의 모래주머니를 올려놓는다.
4. 대상자의 피부를 확인함으로써 멍 등과 같은 출혈의 위험을 사정할 수 있다.
5. 항혈전제는 혈액 중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지혈을 더디게 하며 출혈 위험성을 높인다.
교육적 계획
6. 매일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멍이 들거나 출혈을 보이는 부위가 있으면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7. 시술 부위를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접촉하여 손상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6. 대상자가 증상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빠른 처치의 도움이 될 수 있다.
7. 검사 후에 삽입 부위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팔이나 다리를 구부리지 않고 편 채로 침상안정을 취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4.03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6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