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췌장의 악성 신생물
간호사정
사정 도구 측정
진단적 검사 (임상병리/진단검사)
약물 요법
간호진단
간호진단 우선순위 설정
간호진단 적용
참고문헌
간호사정
사정 도구 측정
진단적 검사 (임상병리/진단검사)
약물 요법
간호진단
간호진단 우선순위 설정
간호진단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비강출혈
-비강출혈로 인한 불안감
S(Sign/Symptom)
사정단계에서 나타난 징후와 증상
“입맛이 없어요”
“숨이 차서 밥을 못먹겠어요”
“어지러워요”
피검사 상 Hb, PLT수치 감소
PRC, PC 주사맞음
HR 상승
“코피가 나서 패킹했는데도 안멈춰요”
“약을 끊으니 불안해요”
“코피가 자주 나고 어지러워요”
“코피가 나니 마음이 불안해요”
“조금만 부딪혀도 멍이 들어요”
결론
(6) 간호진단 우선순위 설정
Maslow
욕구 이론
(1-5)
대상자의
요구도
실재적 문제(1)
잠재적 문제(0)
긴박성 및 심각성 (0-2)
총점
우선순위
출혈
1
2
1
2
6
1
호흡곤란
1
2
1
2
6
1
식욕부진
1
1
1
1
4
3
수면 부족
1
1
0
1
3
4
불안
1
2
1
1
5
2
우선순위 설정
의미 있는 자료
간호진단
Maslow의 욕구이론에 따른 영역 표기
진단
실재적
잠재적
우선순위 1
<주관적 자료>
“코피가 자주 나고 어지러워요”
“코피가 나니 마음이 불안해요”
“조금만 부딪혀도 멍이 들어요”
코피
<객관적 자료>
바강출혈이 보임
v/s 혈압:113/76mmHg,
맥박:97회/분,호흡수 22회/분,체온:36.5도 Spo2:80%
CBC결과 Hb:7.8 Hct:25.4%PLT:153000
해당 진단의 정의
어지러움증으로 나타나는 비출혈과 관련된 혈액 검사상 헤모글로빈 저하
우선순위 2
<주관적 자료>
“숨이 차요”
<객관적 자료>
해당 진단의 정의
우선순위 3
<주관적 자료>
항암치료 이후 입맛이 없어요”
“기운도 없고 밥 먹기 싫어요”
항암치료 이후 나타나는 오심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객관적 자료>
항암이후로 몸무게가 3KG 빠졌다
환자분의 알부민과 프로테인 수치의 감소가 나타났다
해당 진단의 정의
(7) 간호진단 적용
간호진단
혈구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간호진단의 정의
어지러움증으로 나타나는 비출혈과 관련된 혈액 검사상 헤모글로빈 저하
수집된
자료
주관적 자료
“코피가 자주 나고 어지러워요”
“코피가 나니 마음이 불안해요”
“조금만 부딪혀도 멍이 들어요”
객관적 자료
바강출혈이 보임
v/s 혈압:113/76mmHg,
맥박:97회/분,호흡수 22회/분,체온:36.5도 Spo2:80%
CBC결과 Hb:7.8 Hct:25.4%PLT:153000
간호목표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시간 이냐 출혈 증상 없이 안정된다.
장기 목표
환자분이 퇴원시 출혈 예방법 3가지를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①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② 혈액검사 수치를 모니터한다.
③ 대소변의 출혈유무와 점상출혈 증상을 사정한다.
④ I&O을 사정한다.
[진단적]
① 순환혈량 감소시 혈압이 떨어지고 보상 기전으로 심박동수가 빨라져 빈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사정한다.
② 혈액검사의 수치 변화는 출혈의 징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수혈의 필요성과 효과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③ 혈소판 저하시 대소변이나 피부에 출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④ 신체 내 체액 균형을 파악하고 수액 보충을 위한 근거가 된다.
[치료적]
① 정맥 수액을 투여한다.
②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하고 출혈 위험 외부요인을 제거한다.
③ 처방에 따라 혈소판 농축액을 수혈한다.
④ 필요시 처방에 따라 대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치료적]
① 순환혈액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②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자극으로 인한 출혈을 예방한다.
③ 혈소판제제는 지혈 및 출혈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④ 배변 시 힘을 주면 복강내압이 증가해 내출혈을 일으킨다.
[교육적]
① 출혈예방을 위한 수칙을 교육한다.
② 금지약물에 대해 교육한다.
③ 식이요법을 교육한다.
[교육적]
① 잇몸 점막의 손상을 막고 출혈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한다.
② 아스피린, NSAIDs 약물은 지혈을 방해한다.
③ 철분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은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2시간 내 잇몸과 비강에 출혈은 보이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함 → 목표달성
대상자는 퇴원하는 날 칫솔사용법, 전기면도기 사용, 세게 코풀지 않기에 대해 설명함 → 목표달성
수행
간호수행
<진단적>
4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날짜 및 시간
<치료적>
정맥 수액을 투여하고 출혈유무를 관찰한다.
-(24/3/6 16:53)왼쪽 전반에 22g을 사용해 N/S250를 투여하고 부종,출혈유무를 사정하였음
-(24/3/6 )바늘 제거시 멸균솜을대고 5-10분간 지혈이 될 때까지 눌러 주었음
자세변경과 안전한 병실을 제공하였다.
-(24/3/6 16:53)머리를 심장보다높게 반좌의를 취해 주었음 갑자기 머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병실에 있는 위험한 물건을 제거하고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지 사정함
처방에 따라 혈소판 농축액을 수혈하였다
-(24/3/6 16: )혈소판 농축액을 1unit IV 투여하고 15분간 부작용을 관찰함
변비 증상을 보여 처방에 따라 대변 완화제인 둘코락스를 투여하였다
-(24/3/)
<교육적>
대상자에게 피부 및 점막출혈 예방을 위한 수칙을 교육하였다.
-(24/3/)다음과 같이 교육함
a. 칫솔은 부드러운 것을 사용하여 가볍게 닦고 이쑤시개나 치실은 사용하지 않는다.
b.면도시 면도날 대신 전기면도기를 사용하여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c.외상을 일으킬 수 있는 활동(예: 세게 코풀기, 과일 깎기,가위사용 등)은 파하도록 한다.
d.좌약,직장체온계,관장 등을 피한다.
대상자에게 금지약물에 대한 교육하였다
-(24/3/)아스피린이나 NSAIDs 약물 등 병원 약 외에 임으로 복용하지 않도록 교육함
대상자에게 식이요법에 다해 교육하였다.
9(24/3/)철분 보충제 복용,붉은 율류,앍고기,쇠고기,간,콩 아몬드,달걀등은 도움이 되지만 커피나 녹차,홍차는 방해하므로 피하도록 교육함
- 참고문헌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921~939, 2019
박영만 외 6인, 「석유화학공장 근로자에서 발생한 재생불량성 빈혈 1례」, 대한상업의학회
지 제11권 제2호, 1999, 287~292
한국임상양학회 약물 치료학 제3개정
보건복지부 국가건강정보포털 킴스온라인 학술센터
-비강출혈로 인한 불안감
S(Sign/Symptom)
사정단계에서 나타난 징후와 증상
“입맛이 없어요”
“숨이 차서 밥을 못먹겠어요”
“어지러워요”
피검사 상 Hb, PLT수치 감소
PRC, PC 주사맞음
HR 상승
“코피가 나서 패킹했는데도 안멈춰요”
“약을 끊으니 불안해요”
“코피가 자주 나고 어지러워요”
“코피가 나니 마음이 불안해요”
“조금만 부딪혀도 멍이 들어요”
결론
(6) 간호진단 우선순위 설정
Maslow
욕구 이론
(1-5)
대상자의
요구도
실재적 문제(1)
잠재적 문제(0)
긴박성 및 심각성 (0-2)
총점
우선순위
출혈
1
2
1
2
6
1
호흡곤란
1
2
1
2
6
1
식욕부진
1
1
1
1
4
3
수면 부족
1
1
0
1
3
4
불안
1
2
1
1
5
2
우선순위 설정
의미 있는 자료
간호진단
Maslow의 욕구이론에 따른 영역 표기
진단
실재적
잠재적
우선순위 1
<주관적 자료>
“코피가 자주 나고 어지러워요”
“코피가 나니 마음이 불안해요”
“조금만 부딪혀도 멍이 들어요”
코피
<객관적 자료>
바강출혈이 보임
v/s 혈압:113/76mmHg,
맥박:97회/분,호흡수 22회/분,체온:36.5도 Spo2:80%
CBC결과 Hb:7.8 Hct:25.4%PLT:153000
해당 진단의 정의
어지러움증으로 나타나는 비출혈과 관련된 혈액 검사상 헤모글로빈 저하
우선순위 2
<주관적 자료>
“숨이 차요”
<객관적 자료>
해당 진단의 정의
우선순위 3
<주관적 자료>
항암치료 이후 입맛이 없어요”
“기운도 없고 밥 먹기 싫어요”
항암치료 이후 나타나는 오심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객관적 자료>
항암이후로 몸무게가 3KG 빠졌다
환자분의 알부민과 프로테인 수치의 감소가 나타났다
해당 진단의 정의
(7) 간호진단 적용
간호진단
혈구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간호진단의 정의
어지러움증으로 나타나는 비출혈과 관련된 혈액 검사상 헤모글로빈 저하
수집된
자료
주관적 자료
“코피가 자주 나고 어지러워요”
“코피가 나니 마음이 불안해요”
“조금만 부딪혀도 멍이 들어요”
객관적 자료
바강출혈이 보임
v/s 혈압:113/76mmHg,
맥박:97회/분,호흡수 22회/분,체온:36.5도 Spo2:80%
CBC결과 Hb:7.8 Hct:25.4%PLT:153000
간호목표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시간 이냐 출혈 증상 없이 안정된다.
장기 목표
환자분이 퇴원시 출혈 예방법 3가지를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①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② 혈액검사 수치를 모니터한다.
③ 대소변의 출혈유무와 점상출혈 증상을 사정한다.
④ I&O을 사정한다.
[진단적]
① 순환혈량 감소시 혈압이 떨어지고 보상 기전으로 심박동수가 빨라져 빈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사정한다.
② 혈액검사의 수치 변화는 출혈의 징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수혈의 필요성과 효과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③ 혈소판 저하시 대소변이나 피부에 출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④ 신체 내 체액 균형을 파악하고 수액 보충을 위한 근거가 된다.
[치료적]
① 정맥 수액을 투여한다.
②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하고 출혈 위험 외부요인을 제거한다.
③ 처방에 따라 혈소판 농축액을 수혈한다.
④ 필요시 처방에 따라 대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치료적]
① 순환혈액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②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자극으로 인한 출혈을 예방한다.
③ 혈소판제제는 지혈 및 출혈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④ 배변 시 힘을 주면 복강내압이 증가해 내출혈을 일으킨다.
[교육적]
① 출혈예방을 위한 수칙을 교육한다.
② 금지약물에 대해 교육한다.
③ 식이요법을 교육한다.
[교육적]
① 잇몸 점막의 손상을 막고 출혈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한다.
② 아스피린, NSAIDs 약물은 지혈을 방해한다.
③ 철분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은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2시간 내 잇몸과 비강에 출혈은 보이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함 → 목표달성
대상자는 퇴원하는 날 칫솔사용법, 전기면도기 사용, 세게 코풀지 않기에 대해 설명함 → 목표달성
수행
간호수행
<진단적>
4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날짜 및 시간
<치료적>
정맥 수액을 투여하고 출혈유무를 관찰한다.
-(24/3/6 16:53)왼쪽 전반에 22g을 사용해 N/S250를 투여하고 부종,출혈유무를 사정하였음
-(24/3/6 )바늘 제거시 멸균솜을대고 5-10분간 지혈이 될 때까지 눌러 주었음
자세변경과 안전한 병실을 제공하였다.
-(24/3/6 16:53)머리를 심장보다높게 반좌의를 취해 주었음 갑자기 머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병실에 있는 위험한 물건을 제거하고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지 사정함
처방에 따라 혈소판 농축액을 수혈하였다
-(24/3/6 16: )혈소판 농축액을 1unit IV 투여하고 15분간 부작용을 관찰함
변비 증상을 보여 처방에 따라 대변 완화제인 둘코락스를 투여하였다
-(24/3/)
<교육적>
대상자에게 피부 및 점막출혈 예방을 위한 수칙을 교육하였다.
-(24/3/)다음과 같이 교육함
a. 칫솔은 부드러운 것을 사용하여 가볍게 닦고 이쑤시개나 치실은 사용하지 않는다.
b.면도시 면도날 대신 전기면도기를 사용하여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c.외상을 일으킬 수 있는 활동(예: 세게 코풀기, 과일 깎기,가위사용 등)은 파하도록 한다.
d.좌약,직장체온계,관장 등을 피한다.
대상자에게 금지약물에 대한 교육하였다
-(24/3/)아스피린이나 NSAIDs 약물 등 병원 약 외에 임으로 복용하지 않도록 교육함
대상자에게 식이요법에 다해 교육하였다.
9(24/3/)철분 보충제 복용,붉은 율류,앍고기,쇠고기,간,콩 아몬드,달걀등은 도움이 되지만 커피나 녹차,홍차는 방해하므로 피하도록 교육함
- 참고문헌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921~939, 2019
박영만 외 6인, 「석유화학공장 근로자에서 발생한 재생불량성 빈혈 1례」, 대한상업의학회
지 제11권 제2호, 1999, 287~292
한국임상양학회 약물 치료학 제3개정
보건복지부 국가건강정보포털 킴스온라인 학술센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