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성인간호학 Case study_척추 전방전위증 (간호과정 6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성인간호학 Case study_척추 전방전위증 (간호과정 6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0. 질병고찰
1. 척추의 구조와 기능
1) 경추 2) 흉추
3) 요추
4) 천추, 미추
5) 척추의 구조적 특징 및 기능
2. 척추 전위전방증
1) 정의
2) 원인
3) 척추 전위전방증의 종류
4) 증상 및 진단
5) 치료
6) 수술 전후 간호

2. 본론
I. 간호사례
II. 일반 혈액/혈청검사
III. 일반 화학검사
VI. 투약약물
V. 간호과정 1.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고찰
2. 간호진단 목록표
3. 간호과정의 적용

본문내용

: 37.9(→38도)
고체온은 곧 정상체온으로 유지하였음
2. Seg-neutrophils 89▲, CRP 4.47▼, ESR 27▲, WBC count 14.75▲ Lympocytes 6.4▼
POD 3일차 헤모박 배액 양성 > CFS noti
3. Flumarin inj (항생제) 500mg, Cytotec tab (항염증제/Misoprostol) ,Solondo tab 5mg (광범위 염증 및 자가면역제/Prednisolone) 7.5mg 1.5T
4. 침습부위 Dressing을 무균적으로 진행하였음
간호평가
상기 환자는 외과적 수술로 인해 면역성이 감소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침습적 처치가 이뤄지면서 감염 증상이 발현되었고, 이에 항생제 및 항염증제, 자가면역제의 투여를 통해 간호중재가 시행되고 있다. 감염으로 인한 고체온과 어지러움증은 해결되었으나, 혈액배양검사 결과 감염지표가 확인되기에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간호진단6
약물부작용으로 인한 위장관장애(오심, 갈증)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영양부족)의 위험성
간호문제
Subjective data
(주관적 자료)
“이 주사 맞은 뒤로 속이 너무 메스꺼워요.”
“신물이 너무 쎄게 올라와요”
“배도 안고프고 아무것도 안들어가서.. 저는 그냥 두유 하나면 돼요.”
“신물이 나서 물밖에 못먹겠어요. 물은 괜찮아요.”
“입이 너무 말라요. 물을 계속먹는데도 입이 바짝바짝 말라요.”
O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
- NRS 4점 이상 시, IV PCA를 적용. 그러나 이후 오심의 강도가 극대화되는 양상을 보였고 이는 식사량의 감소로 이어짐.- Cytotec tab 200mcg (싸이토텍 정/Misoprostate) PO 투약 중
- Bonaling A tab 50mg (보나링에이 정/Dimenhylrinate) PO 투약 중
- Dicamax D (Calcium Carbonate, Cholecalciferol) 복용 중
간호사는 밥이 먹기 싫다면, 요거트나 견과류 등 먹을 수 있는 간식을 그때 그때 다 먹어도 되니 최대한 영양분을 섭취할 것을 교육하였으나 이를 힘들어하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약물복용 중에도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 식판을 1/2이상 비우거나 포만감에 대해 언어적. 비언어적 수단으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정해진 때에 준비된 식사를 최대한 섭취할 것을 격려하고, 그 때 그 때의 식사량과 I/O를 기록한다.
▶ 불충분한 영양공급으로 인한 영양불균형은 수술부위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기에 최대한의 영양 섭취를 격려해야한다. 규칙적인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준비된 식사를 정해진 시간에 최대한 섭취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매 식사량을 기록하여 부족한 영양에 대처해야한다. 섭취량과 배출되는 양의 균형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8시간마다 I/O cheak를 진행하도록 한다.
2) 부족한 영양을 채우기 위해 먹을 수 있는 간식, 음식이 생기면 적극 활용하고 식간에 부드러운 고열량의 선식을 섭취하여 영양 섭취량을 최대한 충족시키도록 한다.
▶ 오심이 있는 대상자에게 무리하게 식사를 요구한다면 오히려 구토, 구역반사, 위장관 불편감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에 매 식사로 충족시키지 못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식간동안 간식, 먹고 싶은 음식이 생길 때마다 최대한 찾아먹기, 고열량의 부드러운 선식 섭취 등을 적극 활용해야한다.
3) 식사 중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소를 사정하고 최대한 식사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식사 중에 무리하게 V/S check, 회진 등을 시행한다면 원활한 식사를 방해할 수 있기에 식사 전 후로 수행하도록 한다. 통증으로 인해 식사가 어렵다면 최대한 편한 체위를 취하도록 안내한다.
4) 환자의 상태에 따라 처방된 식이의 진행을 따른다.
▶ 환자의 상태에 따라 목마름, 갈증 시 수분섭취를 증가시켜야 한다. 환자의 상태가 허용된다면 비타민 보충제를 제공한다.
간호수행
보호자(간병인)에게 매 식사 때마다 식사량을 정확히 기록해야하고 소변량 및 대변의 횟수를 기록을 교육하였다.
2. 오심억제를 위해 보나링에이 정 등의 약물을 투약하였으나, 지속적으로 심화되는 갈증, 입마름 호소에 다른 약으로 바꿔보기로 하였다. 고열량의 선식을 식간에 먹을 것을 격려하였고 요거트, 견과류, 떡 등 먹고 싶은 음식이나 간식이 생기면 먹을 수 있을 때 먹을 것을 격려하였다.
3. 반좌위 시 허리 통증이 악화되어 식사가 불편하다고 호소하였기에 서서먹어도 괜찮으니 최대한 먹을 수 있는 만큼 식사할 것을 격려하였다. 식사 중에는 V/S. 회진, 외래 및 재활 일정 전달. 경구약 제공 등을 시행하지 않고 급하지 않다면 최대한 식사 전후에 이뤄질 수 있게 하는 간호사의 노력을 확인하였다.
4. 갈증과 목마름이 심해 그 때마다 물을 제한없이 먹어도 된다고 설명하였고, 칼슘 및 비타민(Dicamax D)를 제공하고 있디.
간호평가
원래는 두유와 같은 유동식 이외에는 전혀 섭취하지 못하였으나, 현재 일반식을 1/2 정도 섭취하고 있으며, 식간 영양보충을 위한 선식을 가능한 범위 내 섭취하고 입맛이 없는 중에도 먹고 싶은 간식이 생기면 최대한 찾아 먹어 섭취량을 늘리고자하는 노력이 관찰되었다. 다만, 섭취를 방해하는 갈증 및 입마름증의 해결을 위해 수시로 물을 섭취 중이나 불편감이 계속되어 주치의 처방에 따라 비슷한 효과의 다른 약물로 바꿔 경과를 지켜보기로 하였다.
II. 참고문헌
1. 척추전방전위증 https://www.koa.or.kr/info/index_4_6.php
2. 척추의 구조와 기능 http://sasang.tv/?mir_code=408
3. 척추 유합술 https://mdtoday.co.kr/news/view/179521878901743
4. 금속 고정술 http://www.barunjoint.com/spine/waist/stenosis.php
5.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 01. 성인간호편
6. 성인간호학(하) 제8판(현문사)
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4.04.15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7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