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영화사
2.
7인의 사무라이
1) 배경
2) 줄거리
3.
논평
1) 영화의 배경
2) 사상
3) 영상미
4.
참고문헌
일본영화사
2.
7인의 사무라이
1) 배경
2) 줄거리
3.
논평
1) 영화의 배경
2) 사상
3) 영상미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덤과 한창 모내기를 하는 농민들의 신나는 모습, 남아있는 사무라이, 카츠시로를 사랑했던 시노가 그를 외면하고 농사일에 참여해서 노래를 부르는 모습 등 일반적인 전통적 교훈보다는 허무주의, 집단의 이기주의 등이 부각 되는 부분이 특이하였다. 영화의 마지막 대사가 노부사와의 전쟁 끝에서 승리를 한 사람들은 사무라이 자신들이 아닌 농민들이라고 하는 부분에서 감독이 담고자 했던 메시지를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해당 영화에서 보여주는 7인의 사무라이들은 당시 앞으로 일본의 정치가들이 지행해야 할 목표이다. 간략하게 예를 들면, 지도력이 있고, 현명한 전략가인 간베이, 누구보다 능력이 있는 사무라이지만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 간조, 하층민을 잘 이해하고 있는 기쿠찌요 등은 전 후 일본의 지도자뿐만 아닌 현대의 정치 지도자들이 가져야 하는 덕목이라고 본다.
3) 영상미
<그림1> 젊은 사무라이와 꽃의 조화가 너무나 잘 이루어진 영상미가 뛰어난 장면
위의 사진을 보고, 충성심이나 명예에 목숨을 거는 사무라이 정신 대신에 마치 조선의 양반들 또는 선비들이 가졌던, 백성에 대한 애정과 지도자로서의 강직함 등이 강조되며, 부족한 상징성을 농촌의 모습을 담은 영상미로 채우면서 영화가 풍부하다고 느꼈다. 비록 흑백이지만, 흑백으로 담은 산, 강, 꽃들을 보고 있으니, 마음이 잔잔해짐을 느꼈다.
영화 자체만을 보면, 요즘처럼 CG나 사무라이들이 화려하고 간결한 액션씬이 아닌 조금은 허름하고, 오히려 실제로 저렇게 싸웠겠다라는 생각이 들 만큼 사실적이어서 몰입감이 더욱 상승되었다.
애니메이션 또는 최근의 영화에서 봤던 일본의 멋진 검술이 아닌 적을 향해서 휘두르거나 클로즈업이 되지 않은 채 검을 베자 노부시들이 말에서 떨어지는 모습을 보면, 새롭기도 하였고, 조금은 어색하기도 했다. 그러나 말을 타고 마을에서 전추를 벌이는 장면을 보면, 위험하고 어려운 장면을 비가 오는 상황에서 어떻게 했을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7인의 사무라이 중에서 4명이 너무 허무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총에 맞아 죽을 때 유언을 남기거나, 시간을 끌지 않았다. 이는 한국 영화 서사와 다르게 슬픔의 감정을 간결하게 전달을 하고,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하는 일본 영화의 특징이 보였다. 이와 같은 모습이 전투 상황의 긴박함을 방해하기 않으며, 지속하여 느낄 수 있게 해준 것 같다.
<그림2> 4명의 사무라이의 죽음과 허탈하게 농민들을 바라보는 남은 3인의 사무라이들
66년이나 지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재미있게 감상을 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감동의 연출과 영상미이기도 하지만, 본인은 이전에 전국시대 일본의 상황, 추신쿠라 등의 내용을 이번 과제를 통해 조사를 하고, 학습을 하였기에 더욱 이해하고, 몰입하는 것에 더욱 도움이 되었다.
처음에는 흑백이고, 시간도 길어서 감상하는 것에 망설이기도 했지만, 고전 명작이라는 타이틀에 알맞은 좋은 영화이기에 보기 잘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4. 참고문헌
- 7인의 사무라이, 2004, 04, 16
따라서 해당 영화에서 보여주는 7인의 사무라이들은 당시 앞으로 일본의 정치가들이 지행해야 할 목표이다. 간략하게 예를 들면, 지도력이 있고, 현명한 전략가인 간베이, 누구보다 능력이 있는 사무라이지만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 간조, 하층민을 잘 이해하고 있는 기쿠찌요 등은 전 후 일본의 지도자뿐만 아닌 현대의 정치 지도자들이 가져야 하는 덕목이라고 본다.
3) 영상미
<그림1> 젊은 사무라이와 꽃의 조화가 너무나 잘 이루어진 영상미가 뛰어난 장면
위의 사진을 보고, 충성심이나 명예에 목숨을 거는 사무라이 정신 대신에 마치 조선의 양반들 또는 선비들이 가졌던, 백성에 대한 애정과 지도자로서의 강직함 등이 강조되며, 부족한 상징성을 농촌의 모습을 담은 영상미로 채우면서 영화가 풍부하다고 느꼈다. 비록 흑백이지만, 흑백으로 담은 산, 강, 꽃들을 보고 있으니, 마음이 잔잔해짐을 느꼈다.
영화 자체만을 보면, 요즘처럼 CG나 사무라이들이 화려하고 간결한 액션씬이 아닌 조금은 허름하고, 오히려 실제로 저렇게 싸웠겠다라는 생각이 들 만큼 사실적이어서 몰입감이 더욱 상승되었다.
애니메이션 또는 최근의 영화에서 봤던 일본의 멋진 검술이 아닌 적을 향해서 휘두르거나 클로즈업이 되지 않은 채 검을 베자 노부시들이 말에서 떨어지는 모습을 보면, 새롭기도 하였고, 조금은 어색하기도 했다. 그러나 말을 타고 마을에서 전추를 벌이는 장면을 보면, 위험하고 어려운 장면을 비가 오는 상황에서 어떻게 했을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7인의 사무라이 중에서 4명이 너무 허무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총에 맞아 죽을 때 유언을 남기거나, 시간을 끌지 않았다. 이는 한국 영화 서사와 다르게 슬픔의 감정을 간결하게 전달을 하고,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하는 일본 영화의 특징이 보였다. 이와 같은 모습이 전투 상황의 긴박함을 방해하기 않으며, 지속하여 느낄 수 있게 해준 것 같다.
<그림2> 4명의 사무라이의 죽음과 허탈하게 농민들을 바라보는 남은 3인의 사무라이들
66년이나 지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재미있게 감상을 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감동의 연출과 영상미이기도 하지만, 본인은 이전에 전국시대 일본의 상황, 추신쿠라 등의 내용을 이번 과제를 통해 조사를 하고, 학습을 하였기에 더욱 이해하고, 몰입하는 것에 더욱 도움이 되었다.
처음에는 흑백이고, 시간도 길어서 감상하는 것에 망설이기도 했지만, 고전 명작이라는 타이틀에 알맞은 좋은 영화이기에 보기 잘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4. 참고문헌
- 7인의 사무라이, 2004, 04, 16
추천자료
(일본영화 감상문) 간장선생과 사무라이픽션을 보고/일본과 한국의 도자기의 비교
(일본문화개론) 일본의 애니메이션 ‘아니메(ANIME)`
라쇼몽羅生門 : 곤자쿠 모노가타리에서 구로자와 아키라까지
애니메이션 < 이누야샤 >가 미치는 일본문화 인지효과에 대한 사례 분석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원령공주 (모노노케히메) 영화감상문
[멀티미디어]멀티미디어의 개념, 멀티미디어의 특징, 멀티미디어의 유형, 멀티미디어의 종류...
부산국제 영화제와 부산 지역개발 및 경제개발, 경영 전략, 마케팅, 변화, 특징, 현황, 사례,...
애니메이션 ≪이누야샤 (犬夜叉/Inuyasha)≫가 미치는 일본문화 인지효과에 대한 사례 분석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로 살펴보는 일본 근대사의 흐름과 오리엔탈리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