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1.서론
2.실험과정
3.결과 및 해석
4.고찰 및 결론
5.인용문헌
1.서론
2.실험과정
3.결과 및 해석
4.고찰 및 결론
5.인용문헌
본문내용
. 이때 HCl은 퍼센트 농도로 주어져 있으므로 희석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36% HCl은 퍼센트 농도로 주어져 있는 것이다. 퍼센트 농도는 용질의 질량을 용액의 질량으로 나눈 것이다. 또한 몰농도는 용질의 몰수를 용액의 부피로 나눈 것이다. 이 용액의 질량을 100g이라고 잡으면 36g이 들어있는 것이고 36g을 분자량으로 나누고 100g을 밀도로 나누면 몰농도가 나온다. 계산 후 MV=M’V’ 공식을 이용하면 퍼센트농도로 주어진 HCl를 원하는 몰농도로 바꿀 수 있다. 36%HCl 9mL를 50mL의 부피플라스크에 넣은 후 눈금선까지 증류수를 채워주어 희석시킨다. 그 후 centrum을 넣고 후드안에서 가열해주면 된다.
② 가열한 다음 찬물에 넣어서 식힌 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알맞은 크기의 filter paper를 뷰흐너 깔때기의 여과면에 밀착시킨 후 여과면 중앙에 최대한 가깝게 부워준다. 거르는 과정을 2번에서 3번 정도 반복해준다.
③ 여과된 용액을 100mL의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눈금선까지 증류수를 채워 희석시킨다.
④ ③번에서 만든 용액을 10mL를 추출해 새로운 100mL의 부피플라스크에 옮긴 후 희석시킨다.
⑤ 뷰렛에 citrate 용액을 채운 뒤 ④번의 용액 10mL를 추출해 비커에 옮긴 후 pH가 3.5가 될 때까지의 들어간 citrate의 방울 수를 측정한다.(우리 조는 50방울이 들어갔다.)
⑥ ④번의 용액 10mL를 새로운 100mL 부피플라스크에 옮긴 후 ⑤번에서 측정한 양 만큼의 citrate 용액 방울 수를 넣어주고(50방울), 2mL의 hydroquinone 용액과 3mL의 o-phenanthroline 용액을 넣고 증류수는 눈금선까지 넣어주어 희석시킨다.
※ UV-visible spectrum
① UV-visible spectrum의 전원을 켠 다음 10분 동안 예열해준다.
② Blank를 400~600nm을 범위로 측정한다.
③ 농도가 묽은 standard Fe solution부터 ②번에서 조사한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④ vitamin tablet solution을 2번에서 조사한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⑤ calibration curve를 이용해 vitamin tablet속 Fe의 함량을 분석한다.
※UV-visible spectrum 저장 방법
① USB를 컴퓨터에 연결 후 측정된 그래프에서 겹쳐있지 않은 부분을 더블 클릭하면 자세한 값들이 나온 창이 나오게 된다.
② 그 후 File→Print to File→Selected window를 클릭한다.
③ 저장경로를 USB로 설정 한 후 txt파일로 저장한다.
④ Txt파일에서 구하고자 하는 값을 excel에 작성 후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한다.
3. 결과 및 해석
1) Standard Fe solution
Standard Fe 용액 속 Fe의 몰 수
2. Standard Fe 용액 몰 농도
3. 묽힌 Fe 용액의 몰 농도
첨가해준 표준 Fe용액의 부피(mL)
0
1
2
5
10
몰농도(M)
0
7.17E-06
1.43E-05
3.59E-05
7.17E-05
3) 몰 흡광계수 구하기
묽힌 Fe 용액 5개와 tablet 용액에 대한 몰 흡광계수를 구할 수 있다.
첨가한 표준 Fe 용액의 부피(mL)
흡광도
몰농도
몰흡광계수
1
6.36315E-2
7.17E-06
8874.686
2
0.125975
1.43E-05
8809.441
5
0.325078
3.59E-05
9055.097
10
0.656348
7.17E-05
9154.086
centrum
0.305559
7.80E-05
3917.423
몰 흡광계수의 평균 7962.147
4. 고찰 및 결론
이번 실험에서 tablet solution에서 centrum에 HCl를 넣은 것은 강산이고 이를 끓이는 작업을 할 때에는 후드 안에서 진행하여야 한다. 또한 beaker와 filter를 여러번 세척하는 과정은 오차율을 낮추기 위해 거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실험은 centrum속에 들어있는 철의 함량을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이때 빛을 사용하여 화학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인 분광광도법을 사용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오차율이 발생한 이유는 비타민 용액을 끓인 후 거르는 과정에서 용액이 제대로 걸러지지 않았거나 여러 부피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옮기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였다. 또한 비타민 용액을 끓일 때 너무 기포가 많이 올라오지 않도록 끓여야만 했다. 또한 묽히는 과정에서 잘 저어주어 용액이 잘 섞이도록 해주어야 했다. 큐벳에 지문이나 기포가 생겨서 발생하는 굴절률의 오차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실험을 진행하여야 했다. 비타민에 들어있는 철을 산에 녹여 히드로퀴논에 의해 2가 철을 환원하여 o-페난트롤린을 넣어 착물을 얻고 용액을 제조한뒤 100mL로 모두 희석시켜 그 용액을 분광 광도법을 사용해 투광도를 구하고 흡광도로 몰 흡광계수를 구했다. 용액을 묽혀서 사용하는 이유는 beer의 법칙에 의해 흡광도는 농도에 비례하기 때문인데 흡광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농도가 진할수록 용질 분자들이 몰려 때문에 서로 영향을 미쳐 성질을 변화시켜 beer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묽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5. 인용문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58278&cid=40942&categoryId=32254
https://ko.wikipedia.org/wiki/%EB%88%88%EA%B8%88%EC%8B%A4%EB%A6%B0%EB%8D%9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47287&cid=40942&categoryId=32251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D%9D%90%EB%84%88_%EA%B9%94%EB%95%8C%EA%B8%B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1629&cid=50313&categoryId=50313
https://blog.naver.com/jiwon5127/222383541588
② 가열한 다음 찬물에 넣어서 식힌 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알맞은 크기의 filter paper를 뷰흐너 깔때기의 여과면에 밀착시킨 후 여과면 중앙에 최대한 가깝게 부워준다. 거르는 과정을 2번에서 3번 정도 반복해준다.
③ 여과된 용액을 100mL의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눈금선까지 증류수를 채워 희석시킨다.
④ ③번에서 만든 용액을 10mL를 추출해 새로운 100mL의 부피플라스크에 옮긴 후 희석시킨다.
⑤ 뷰렛에 citrate 용액을 채운 뒤 ④번의 용액 10mL를 추출해 비커에 옮긴 후 pH가 3.5가 될 때까지의 들어간 citrate의 방울 수를 측정한다.(우리 조는 50방울이 들어갔다.)
⑥ ④번의 용액 10mL를 새로운 100mL 부피플라스크에 옮긴 후 ⑤번에서 측정한 양 만큼의 citrate 용액 방울 수를 넣어주고(50방울), 2mL의 hydroquinone 용액과 3mL의 o-phenanthroline 용액을 넣고 증류수는 눈금선까지 넣어주어 희석시킨다.
※ UV-visible spectrum
① UV-visible spectrum의 전원을 켠 다음 10분 동안 예열해준다.
② Blank를 400~600nm을 범위로 측정한다.
③ 농도가 묽은 standard Fe solution부터 ②번에서 조사한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④ vitamin tablet solution을 2번에서 조사한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⑤ calibration curve를 이용해 vitamin tablet속 Fe의 함량을 분석한다.
※UV-visible spectrum 저장 방법
① USB를 컴퓨터에 연결 후 측정된 그래프에서 겹쳐있지 않은 부분을 더블 클릭하면 자세한 값들이 나온 창이 나오게 된다.
② 그 후 File→Print to File→Selected window를 클릭한다.
③ 저장경로를 USB로 설정 한 후 txt파일로 저장한다.
④ Txt파일에서 구하고자 하는 값을 excel에 작성 후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한다.
3. 결과 및 해석
1) Standard Fe solution
Standard Fe 용액 속 Fe의 몰 수
2. Standard Fe 용액 몰 농도
3. 묽힌 Fe 용액의 몰 농도
첨가해준 표준 Fe용액의 부피(mL)
0
1
2
5
10
몰농도(M)
0
7.17E-06
1.43E-05
3.59E-05
7.17E-05
3) 몰 흡광계수 구하기
묽힌 Fe 용액 5개와 tablet 용액에 대한 몰 흡광계수를 구할 수 있다.
첨가한 표준 Fe 용액의 부피(mL)
흡광도
몰농도
몰흡광계수
1
6.36315E-2
7.17E-06
8874.686
2
0.125975
1.43E-05
8809.441
5
0.325078
3.59E-05
9055.097
10
0.656348
7.17E-05
9154.086
centrum
0.305559
7.80E-05
3917.423
몰 흡광계수의 평균 7962.147
4. 고찰 및 결론
이번 실험에서 tablet solution에서 centrum에 HCl를 넣은 것은 강산이고 이를 끓이는 작업을 할 때에는 후드 안에서 진행하여야 한다. 또한 beaker와 filter를 여러번 세척하는 과정은 오차율을 낮추기 위해 거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실험은 centrum속에 들어있는 철의 함량을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이때 빛을 사용하여 화학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인 분광광도법을 사용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오차율이 발생한 이유는 비타민 용액을 끓인 후 거르는 과정에서 용액이 제대로 걸러지지 않았거나 여러 부피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옮기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였다. 또한 비타민 용액을 끓일 때 너무 기포가 많이 올라오지 않도록 끓여야만 했다. 또한 묽히는 과정에서 잘 저어주어 용액이 잘 섞이도록 해주어야 했다. 큐벳에 지문이나 기포가 생겨서 발생하는 굴절률의 오차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실험을 진행하여야 했다. 비타민에 들어있는 철을 산에 녹여 히드로퀴논에 의해 2가 철을 환원하여 o-페난트롤린을 넣어 착물을 얻고 용액을 제조한뒤 100mL로 모두 희석시켜 그 용액을 분광 광도법을 사용해 투광도를 구하고 흡광도로 몰 흡광계수를 구했다. 용액을 묽혀서 사용하는 이유는 beer의 법칙에 의해 흡광도는 농도에 비례하기 때문인데 흡광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농도가 진할수록 용질 분자들이 몰려 때문에 서로 영향을 미쳐 성질을 변화시켜 beer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묽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5. 인용문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58278&cid=40942&categoryId=32254
https://ko.wikipedia.org/wiki/%EB%88%88%EA%B8%88%EC%8B%A4%EB%A6%B0%EB%8D%9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47287&cid=40942&categoryId=32251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D%9D%90%EB%84%88_%EA%B9%94%EB%95%8C%EA%B8%B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1629&cid=50313&categoryId=50313
https://blog.naver.com/jiwon5127/222383541588
추천자료
GC/MS를 이용하여 Urine 및 음료속의 카페인 분석
HPLC를 이용한 Urine 및 음료속의 카페인 분석
DNA 구조 및 결합길이 조사
[분석화학실험]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Calcium as CaC2O4H2O 결과레포트
[분석화학실험]The Determination of Chloride by Titration with an Abosorption Indicator
분석화학실험 -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calcium as CaC2O4 ( 미시시료, 옥살산 이온, ...
화학공학 실험 -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Calcium as CaC2O4·H2O(칼슘의 무게분석)
[물리화학 실험] 아스피린 분석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commercial Aspirin
분석화학실험_유리기구 검정(Calibration of Volumetric Glassware)
분석화학 기기분석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트 시리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