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1) 진단적
2) 치료적
3) 교육적
5. 이론적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1) 진단적
2) 치료적
3) 교육적
5. 이론적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본문내용
위해 보호자 면회는 1명 이내로 제한했다.
8. 입원기간동안 대상자에게 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고 정해진 식단을 충실히 따를 것을 권장하며 단백질, 비타민, 섬유질 등 양질의 영양소를 함유한 세 끼 식사를 제공했다. 식욕 증진을 위해 선택 식이 옵션과 외부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가져와 먹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대상자는 매 식사마다 병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70~80% 이상 섭취했고, 가정에서 가져온 과일 등의 간식을 섭취하는 모습을 보여 충분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9. 대상자 간호 전, 후로 반드시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동안 6단계 ‘손바닥-손등-손깍지-손가락-엄지-손톱’ 순서로 손씻기를 시행했다.
10. 11. 병원 내 출입하는 모든 사람은 의료용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37.5℃ 이상의 발열, 기침 등 감염 증상이 있는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했다. 보호자 면회는 감염 증상이 없는 1명 이내로 제한했다.
12. 대상자에게 손씻기는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며,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올바른 손씻기를 시행하는 방법, 손을 씻어야 하는 상황에 대해 교육했다.
손씻기 방법: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동안 6단계 ‘손바닥-손등-손깍지-손가락-엄지-손톱’ 순서로 손위생을 시행한다. 손씻기 후 종이 타월을 사용하고, 수도꼭지를 잠글 때는 사용한 종이 타월을 사용하여 잠근다.
손을 씻어야 하는 상황: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요리 전, 외출 후 집에 돌아왔을 때, 문 손잡이 등 오염된 곳과 접촉 후, 쓰레기를 다룬 후, 상처 케어 전후 등.
13. 대상자에게 면역력이 떨어지는 원인과 면역력 약화 시 대처 방법 및 면역력 증진 방법을 교육했다.
면역력을 감소시키는 요인
-영양 부족: 필수 영양소, 특히 단백질과 비타민 A, C, E, 아연, 셀레늄 부족은 면역체계 약화를 초래한다.
-만성 스트레스: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면역 기능 저하와 염증 증가를 일으킨다.
-수면 부족: 불충분한 수면 상태에서 면역 체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감염에 취약해진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 알코올 과다 섭취는 면역력 저하와 감염에 대한 저항력 감소를 일으킨다.
-흡연: 담배 연기의 화학물질은 면역 체계에 해를 끼치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킨다.
-운동 부족: 규칙적인 운동 부족은 면역 체계의 강화와 염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고령: 나이가 들면서 면역 체계가 자연적으로 약화되고 면역 세포 기능이 저하된다.
-만성 질환: 당뇨병, 심장병, HIV/AIDS 등 만성 질환은 면역 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
면역력 증진, 유지를 위한 대처방법: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 매일 7~8시간의 질적인 수면,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절주, 기본 위생 습관을 지키고 특히 손 씻기를 철저히 하며 필요한 백신 접종으로 감염병을 예방한다.
14. 수포성 발진이 있는 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긁지 않도록 교육했다.
수포를 긁으면 상처가 생기고 이 열린 상처를 통해 세균이 침범하여 추가적인 피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발진 부위를 긁어 상처를 만들 경우, 치유 과정에서 피부에 흉터가 남을 수 있으므로 수포가 자연적으로 건조되고 치유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흉터 형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5일 안에 수포 부위에 화농성 삼출물, 악취, 증가된 통증과 발적, 열감, 부종 등의 국소적 감염 징후를 보이지 않음. ▶목표 달성
② 5일 안에 발열, 오한, 발한, 홍조, 심한 허약감 등의 전신 감염 징후를 보이지 않음. ▶목표 달성
③ 7일 후 혈액검사 상의 감염 지표가 모두 정상 범위에서 확인됨. ▶목표 달성
(정상치: WBC 5~10× 10/ℓ, Segment neutrophil 50~70%, ANC 1600~7000㎕, CRP 0~0.05㎎/㎗)
④ 7일 동안 대상자의 체온이 36~37.5℃ 범위에서 유지됨. ▶목표 달성
⑤ 4/1 교육 후 대상자는 “열이 많이 나는 것 같거나 상처가 덧나서 더 빨개지고 고름이 많이 나는 것 같으면 말할게요. ” ▶목표 달성
⑥ 4/1 교육 후 감염 예방 방법에 대해 질문시 대상자는 “상처 만지기 전에 손 잘 씻고, 마스크도 잘 쓰고 있어야겠어요. ” ▶목표 달성
⑦ 4/1 교육 후 대상자는 연고 바르기 전, 후로 항상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고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임. ▶목표 달성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7박 8일(4/1~4/7) 입원했으며, 4/8 퇴원했다. 퇴원 시 일부 수포에 가피(딱지)가 앉아있는 상태였으며 발진이 남아있어 추후 F/U하여 관찰이 요구됨.
▶미정/진행중
② 입원 기간동안 이차적 감염이 발생하지 않음. ▶목표 달성
♣참고자료
최신기본간호학(2020)/ 수문사/ 송경애 외
성인간호학Ⅰ(2019)/ 수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2019)/ 수문사/ 윤은자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간호과정의 실제(2019)/ 현문사/ 최순희 외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학술논문: 『대상포진의 고찰 및 최신지견 이해』(2018)/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1(2), 116-122/ 박영민
학술논문: 『Herpes zoster: A Review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2022)/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Medical College, Navi Mumbai/ Anant Patil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본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하지 않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8. 입원기간동안 대상자에게 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고 정해진 식단을 충실히 따를 것을 권장하며 단백질, 비타민, 섬유질 등 양질의 영양소를 함유한 세 끼 식사를 제공했다. 식욕 증진을 위해 선택 식이 옵션과 외부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가져와 먹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대상자는 매 식사마다 병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70~80% 이상 섭취했고, 가정에서 가져온 과일 등의 간식을 섭취하는 모습을 보여 충분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9. 대상자 간호 전, 후로 반드시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동안 6단계 ‘손바닥-손등-손깍지-손가락-엄지-손톱’ 순서로 손씻기를 시행했다.
10. 11. 병원 내 출입하는 모든 사람은 의료용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37.5℃ 이상의 발열, 기침 등 감염 증상이 있는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했다. 보호자 면회는 감염 증상이 없는 1명 이내로 제한했다.
12. 대상자에게 손씻기는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며,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올바른 손씻기를 시행하는 방법, 손을 씻어야 하는 상황에 대해 교육했다.
손씻기 방법: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동안 6단계 ‘손바닥-손등-손깍지-손가락-엄지-손톱’ 순서로 손위생을 시행한다. 손씻기 후 종이 타월을 사용하고, 수도꼭지를 잠글 때는 사용한 종이 타월을 사용하여 잠근다.
손을 씻어야 하는 상황: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요리 전, 외출 후 집에 돌아왔을 때, 문 손잡이 등 오염된 곳과 접촉 후, 쓰레기를 다룬 후, 상처 케어 전후 등.
13. 대상자에게 면역력이 떨어지는 원인과 면역력 약화 시 대처 방법 및 면역력 증진 방법을 교육했다.
면역력을 감소시키는 요인
-영양 부족: 필수 영양소, 특히 단백질과 비타민 A, C, E, 아연, 셀레늄 부족은 면역체계 약화를 초래한다.
-만성 스트레스: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면역 기능 저하와 염증 증가를 일으킨다.
-수면 부족: 불충분한 수면 상태에서 면역 체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감염에 취약해진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 알코올 과다 섭취는 면역력 저하와 감염에 대한 저항력 감소를 일으킨다.
-흡연: 담배 연기의 화학물질은 면역 체계에 해를 끼치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킨다.
-운동 부족: 규칙적인 운동 부족은 면역 체계의 강화와 염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고령: 나이가 들면서 면역 체계가 자연적으로 약화되고 면역 세포 기능이 저하된다.
-만성 질환: 당뇨병, 심장병, HIV/AIDS 등 만성 질환은 면역 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
면역력 증진, 유지를 위한 대처방법: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 매일 7~8시간의 질적인 수면,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절주, 기본 위생 습관을 지키고 특히 손 씻기를 철저히 하며 필요한 백신 접종으로 감염병을 예방한다.
14. 수포성 발진이 있는 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긁지 않도록 교육했다.
수포를 긁으면 상처가 생기고 이 열린 상처를 통해 세균이 침범하여 추가적인 피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발진 부위를 긁어 상처를 만들 경우, 치유 과정에서 피부에 흉터가 남을 수 있으므로 수포가 자연적으로 건조되고 치유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흉터 형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5일 안에 수포 부위에 화농성 삼출물, 악취, 증가된 통증과 발적, 열감, 부종 등의 국소적 감염 징후를 보이지 않음. ▶목표 달성
② 5일 안에 발열, 오한, 발한, 홍조, 심한 허약감 등의 전신 감염 징후를 보이지 않음. ▶목표 달성
③ 7일 후 혈액검사 상의 감염 지표가 모두 정상 범위에서 확인됨. ▶목표 달성
(정상치: WBC 5~10× 10/ℓ, Segment neutrophil 50~70%, ANC 1600~7000㎕, CRP 0~0.05㎎/㎗)
④ 7일 동안 대상자의 체온이 36~37.5℃ 범위에서 유지됨. ▶목표 달성
⑤ 4/1 교육 후 대상자는 “열이 많이 나는 것 같거나 상처가 덧나서 더 빨개지고 고름이 많이 나는 것 같으면 말할게요. ” ▶목표 달성
⑥ 4/1 교육 후 감염 예방 방법에 대해 질문시 대상자는 “상처 만지기 전에 손 잘 씻고, 마스크도 잘 쓰고 있어야겠어요. ” ▶목표 달성
⑦ 4/1 교육 후 대상자는 연고 바르기 전, 후로 항상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고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임. ▶목표 달성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7박 8일(4/1~4/7) 입원했으며, 4/8 퇴원했다. 퇴원 시 일부 수포에 가피(딱지)가 앉아있는 상태였으며 발진이 남아있어 추후 F/U하여 관찰이 요구됨.
▶미정/진행중
② 입원 기간동안 이차적 감염이 발생하지 않음. ▶목표 달성
♣참고자료
최신기본간호학(2020)/ 수문사/ 송경애 외
성인간호학Ⅰ(2019)/ 수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2019)/ 수문사/ 윤은자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간호과정의 실제(2019)/ 현문사/ 최순희 외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학술논문: 『대상포진의 고찰 및 최신지견 이해』(2018)/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1(2), 116-122/ 박영민
학술논문: 『Herpes zoster: A Review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2022)/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Medical College, Navi Mumbai/ Anant Patil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본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하지 않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