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특수목적 고등학교의 목표 및 형성 배경
2. 특목고 폐지 찬성 발제
3. 특목고 폐지 반대 발제
4. 특목고 폐지 찬성 반박
5. 특목고 폐지 반대 반박
6. 특목고 폐지 찬성 최종 정리
7. 특목고 폐지 반대 최종 정리
<참고자료>
2. 특목고 폐지 찬성 발제
3. 특목고 폐지 반대 발제
4. 특목고 폐지 찬성 반박
5. 특목고 폐지 반대 반박
6. 특목고 폐지 찬성 최종 정리
7. 특목고 폐지 반대 최종 정리
<참고자료>
본문내용
시장은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셋째, 특목고로 인해 학생들 간의 위화감이 조성된다. ‘입시’가 교육의 핵심이 되면서 학생들 간 무한 경쟁의식을 불러일으키며 이런 과정에서 입시의 결과인 학교에 따라 ‘서열화 구조’가 생겨난다. 이는 특목고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들은 낮은 서열의 학생으로 간주하게 되어 패배 의식과 열등의식을 갖게 한다.
특목고 폐지에 반대하는 입장은 학생들의 선택권과 학습권 보장을 위배한다고 본다. 또한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해외유학 수요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특목고가 가지고 있는 순기능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순기능 보다 역기능이 크게 작용하며 순기능에서 역차별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폐지 찬성을 주장한다.
학생의 선택권과 학습권을 보장한다는 주장은 일반 인문계·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보충과목 선택이나 전문 과목 선택에서도 충분히 보장되고 있다. 또한 일반고교의 영재들을 위한 심화 수업을 체계적으로 정립한다면 충분히 선택권과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외유학이나 사교육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학생들은 특목고 입학을 위하여 해외연수를 가거나 외국어 성적을 올리기 위해 고액의 사교육을 찾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써 부모의 소득이 학생들의 교육의 기회와 연관되어 교육으로 인한 사회 불평등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목고가 글로벌 인재양성 기능을 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 일리가 있지만 대부분의 졸업생들은 소위 말하는 SKY대학의 입학생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볼 때, 특목고의 목적은 사회를 위해 길고 넓게 보는 인재 양성 보다는 좋은 대학의 입시로 볼 수 있다.
7. 특목고 폐지 반대 최종 정리
특수목적 고등학교란 특수한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로써 각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다. 즉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학습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특목고의 폐지에 반대하는 입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목고폐지는 학생들의 학교선택권과 학습권 보장을 무시하는 처사이다.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학교를 선택할 권리는 다양성의 존재아래 성립되는 요건이다. 둘째, 특목고는 국제적인 인재 양성소이다. 특성화된 교육은 학생들이 국제무대에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셋째, 특목고는 해외유학의 수요를 일정부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특목고가 없었다면 수많은 인재는 외국으로 빠져나갔을 가능성이 많다. 하지만 특목고의 설치로 인해 수월성 교육에 목말라 하던 학생, 학부모들은 더 이상 그들이 원하는 교육을 찾아 해외로 나갈 필요 없이 국내에서 충분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목고 폐지는 주장하는 사람들은 특목고 자체가 명문대에 가기위한 관문으로써 작용할 뿐 본래의 설립취지를 상실하고 있으며 사교육 시장의 폭발적인 증가와 학생들 간의 서열화, 위화감을 조성하여 교육의 양극화를 가져온다고 한다. 특목고라는 요소 하나가 교육의 악순환의 고리역할을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하지만 특목고는 그 자체가 명문대 입시를 위한 디딤돌이라고 볼 수 없다. 특목고의 존재는 국내 다른 고등학교에 글로벌 인재에 대한 안목을 길러주고 교육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또 사교육 시장의 과열을 단지 특목고만의 탓으로 돌리는데 무리가 있다. 사교육은 우리나라의 교육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의해 활성화된 것이지 특목고가 자체가 사교육을 조장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이다. 마지막으로 특목고는 학생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장소이다. 특수한 목적으로 학생들을 교육하는 특목고는 엄연히 일반계 고등학교와는 설립 취지가 다르다. 따라서 특목고로 인해 학생들 간의 위화감이 조성된다는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다.
어떤 일을 진행함에 있어서 장점과 단점은 반드시 존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단점이 있다고 반드시 폐지를 해야 한다는 것은 그릇된 생각이다. 단점을 개선하고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교육을 위한 국가를 위한 길이 아닐까 생각한다.
cf. 해결방법
사례. ‘교육과정 거점학교’제도
서울지역 일반고교 학생이 인근 외국어고등학교, 과학고 등에서 원하는 수업을 받을 수 있는 제도. 외국어, 과학, 예체능에 소질 있는 학생을 모아 관련과목을 집중 이수
▶ 특목고 목적 유지, 지나친 입시위주 극복
<참고자료>
외국어 안 가르치는 외고…입시학원 변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237797
분당 지역 일반고 특성화된 교육과정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6&aid=0002076186
글로벌전형 노크하는 특목고 학생들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290417
서울 8개 특목고 졸업생 절반이상 \'\'SKY\'\' 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239015
특목고 학생 전유물이 된 입학사정관제 전형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173915
국제중·특목고 입학 겨냥…조기유학 바람 다시 분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2&aid=0002034429
국제중 특목고 노리는 3세대 조기유학 뜬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1961155
영상) \"캐나다에서 한국 특목고 준비\" 편법 조기 유학 기승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214&aid=0000027795
특목고 폐지에 반대하는 입장은 학생들의 선택권과 학습권 보장을 위배한다고 본다. 또한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해외유학 수요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특목고가 가지고 있는 순기능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순기능 보다 역기능이 크게 작용하며 순기능에서 역차별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폐지 찬성을 주장한다.
학생의 선택권과 학습권을 보장한다는 주장은 일반 인문계·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보충과목 선택이나 전문 과목 선택에서도 충분히 보장되고 있다. 또한 일반고교의 영재들을 위한 심화 수업을 체계적으로 정립한다면 충분히 선택권과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외유학이나 사교육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학생들은 특목고 입학을 위하여 해외연수를 가거나 외국어 성적을 올리기 위해 고액의 사교육을 찾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써 부모의 소득이 학생들의 교육의 기회와 연관되어 교육으로 인한 사회 불평등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목고가 글로벌 인재양성 기능을 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 일리가 있지만 대부분의 졸업생들은 소위 말하는 SKY대학의 입학생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볼 때, 특목고의 목적은 사회를 위해 길고 넓게 보는 인재 양성 보다는 좋은 대학의 입시로 볼 수 있다.
7. 특목고 폐지 반대 최종 정리
특수목적 고등학교란 특수한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로써 각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다. 즉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학습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특목고의 폐지에 반대하는 입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목고폐지는 학생들의 학교선택권과 학습권 보장을 무시하는 처사이다.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학교를 선택할 권리는 다양성의 존재아래 성립되는 요건이다. 둘째, 특목고는 국제적인 인재 양성소이다. 특성화된 교육은 학생들이 국제무대에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셋째, 특목고는 해외유학의 수요를 일정부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특목고가 없었다면 수많은 인재는 외국으로 빠져나갔을 가능성이 많다. 하지만 특목고의 설치로 인해 수월성 교육에 목말라 하던 학생, 학부모들은 더 이상 그들이 원하는 교육을 찾아 해외로 나갈 필요 없이 국내에서 충분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목고 폐지는 주장하는 사람들은 특목고 자체가 명문대에 가기위한 관문으로써 작용할 뿐 본래의 설립취지를 상실하고 있으며 사교육 시장의 폭발적인 증가와 학생들 간의 서열화, 위화감을 조성하여 교육의 양극화를 가져온다고 한다. 특목고라는 요소 하나가 교육의 악순환의 고리역할을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하지만 특목고는 그 자체가 명문대 입시를 위한 디딤돌이라고 볼 수 없다. 특목고의 존재는 국내 다른 고등학교에 글로벌 인재에 대한 안목을 길러주고 교육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또 사교육 시장의 과열을 단지 특목고만의 탓으로 돌리는데 무리가 있다. 사교육은 우리나라의 교육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의해 활성화된 것이지 특목고가 자체가 사교육을 조장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이다. 마지막으로 특목고는 학생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장소이다. 특수한 목적으로 학생들을 교육하는 특목고는 엄연히 일반계 고등학교와는 설립 취지가 다르다. 따라서 특목고로 인해 학생들 간의 위화감이 조성된다는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다.
어떤 일을 진행함에 있어서 장점과 단점은 반드시 존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단점이 있다고 반드시 폐지를 해야 한다는 것은 그릇된 생각이다. 단점을 개선하고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교육을 위한 국가를 위한 길이 아닐까 생각한다.
cf. 해결방법
사례. ‘교육과정 거점학교’제도
서울지역 일반고교 학생이 인근 외국어고등학교, 과학고 등에서 원하는 수업을 받을 수 있는 제도. 외국어, 과학, 예체능에 소질 있는 학생을 모아 관련과목을 집중 이수
▶ 특목고 목적 유지, 지나친 입시위주 극복
<참고자료>
외국어 안 가르치는 외고…입시학원 변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237797
분당 지역 일반고 특성화된 교육과정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6&aid=0002076186
글로벌전형 노크하는 특목고 학생들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290417
서울 8개 특목고 졸업생 절반이상 \'\'SKY\'\' 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239015
특목고 학생 전유물이 된 입학사정관제 전형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173915
국제중·특목고 입학 겨냥…조기유학 바람 다시 분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2&aid=0002034429
국제중 특목고 노리는 3세대 조기유학 뜬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1961155
영상) \"캐나다에서 한국 특목고 준비\" 편법 조기 유학 기승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214&aid=000002779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