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특수목적고등학교의 성격 및 종류
(1) 정의
(2) 종류
2.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성격 및 종류
(1) 정의
(2) 종류
3. 자사고나 특목고의 자유로운 설립을 찬성하는 입장
4. 자사고나 특목고의 자유로운 설립을 반대하는 입장
5. 특목고 설립에 대한 나의 입장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7명이 특목고 출신이었다. 대입에서부터 빛을 발하고 있는 특목고 학생들의 경쟁력은 고교 때부터 일상화된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다져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학에 진학한 특목고 출신 학생들은 보통 1학기 때부터 두각을 나타낸다. 이공계의 경우 특목고와 일반고의 학력차가 커지는 추세이다. ‘2009대입 특목고생 불이익 거의 없을 듯’ http://blog.daum.net/chia630/3473776
김은희 대표, <고3부모를 위한 정시수능정보>
이처럼 특목고는 다양한 동질적 배경을 대상으로 ‘질 높은 교육’을 할 수 있고, 그러한 수월성 교육을 통해서 상호간의 선의의 경쟁을 배우고, 이것은 곧 21세기 국가 경쟁력의 원천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5. 특목고 설립에 대한 나의 입장
특목고 설립에 대한 개인적인 소견은, 고교 평준화 경험을 한 세대로서 지금의 과학고, 외국어고, 예술고와 같은 다양하고 차별화된 교육을 실천하는데 찬성한다. 타고난 재능과 관심분야가 제각각인 아이들이, 한 교실에서 실시되는 획일적인 교육으로 인해 그 재능과 적성이 묻혀버린다면, 최근 핫이슈로 떠오른 우주인 이소연씨 같은 ‘한국 우주인 최초 탄생’ 이라는 타이틀은 얻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그녀는 과학고, 카이스트를 거치면서 차별화된 교육으로 과학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길렀다. 어릴 때부터 각기 다른 분야의 재능을 가진 아이들을, 그에 맞는 수준 높고 체계화된 교육의 인재로 키운다면 앞으로 훨씬 더 밝고 투명한 미래가 보장 될 것이다. 또한, 사교육 조장이라는 현실에서 사교육을 받지 않아도 될 만큼의 알차고 내실 있는 공교육이 뒷받침된다면, 자율성 있는 맞춤형 교육의 강국으로 우뚝 설 것이다.
Ⅲ. 결 론
지금까지의 내용을 토대로 특목고의 장단점을 다시 한번 요약해 보기로 하겠다. 장점으로는, 학습자의 다양한 소질과 적성 및 성장 욕구에 맞게 개별화 수업 등 특성화다양화 교육이 가능하고, 그러한 교육을 통해서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면 미래의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고교 평준화의 틀이 무너지고, 우수한 동일집단을 선발하여 입시위주 교육으로 변질되며, ‘귀족학교’가 출현하여 계층간의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지나친 사교육 열풍으로 인한 학부모들의 과다한 교육비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평준화고교 정책은 21세기에는 맞지 않는 교육 정책으로, 경쟁 없이는 국가가 발전 할 수 없고 개개인이 가진 능력의 차가 크므로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교육은 피하여야 한다.
특목고 설립에 따른 찬반양론의 뜨거운 논쟁을 펼치고 있는 교육계 및 여러 기관들은, 과연 그러한 논쟁들이 순수하게 아이들을 위하는 길인지, 아니면 각각의 입장에서의 이익추구만을 위한 이기적인 측면을 내세우는 건 아닌지 깊이 성찰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학벌만연주의, 입시지옥’ 이라는 숨 막히는 현실에서 아이들이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더욱 참신하고 혁신적인 교육개발을 위한 연구와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요한,「교육의 수월성과 평등」,학민사, 1989, p.28-31.
강영혜 외,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실태분석, 정책 효과의 검증 및 개선방안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2005
남경희, “자립형 사립고 확대해야”(일간포럼), 한국교육생산성연구소 교육연구사,
학교경영 제19권 제5호, 2006.5.1발행
윤종혁, “特殊目的 高等學校에 대한 評價”, 한국교육생산성연구소 교육연구사,
학교경영 제19권 제1-4호, 2006.1.1~4.1발행
임연기, “사립 특수목적고등학교의 재정운영 현황과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0권 제2호,2001.12
정진에듀포럼, “자율형 사립고와 특목고는 어떤 차이인가?”3월호 http://blog.naver.com/kanghj67/140048404601
홍윤녀, “고등학교 교육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12
김민희 기자, '이젠 정책부터 따져보자',「서울신문」2008.4.3:6 http://www.kinds.or.kr
김상기 기자, '이원희 교총 회장 유초중등교육 지방 이양 반대',「국민일보」쿠키뉴스 2008.1.7
http://www.kinds.or.kr
김상기 기자, '여의도 초대석/시도교육감協 초대회장 공정택 서울시교육감-하향평준화 교육 안된다',
「국민일보」쿠키뉴스, 2008.3.9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835946&cp=nv
김진각 기자, ‘자립형 사립고 어디로...’,「한국일보」, 2006.2.16:8 http://www.kinds.or.kr
박종식 기자, ‘새정부 교육정책 우려하는 윤숙자 참교육학부모회장’,「한겨레신문」, 2008.2.5:24
http://www.kinds.or.kr
최민영 기자, ‘신보수 시대-쟁점과 과제’(4)교육2-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경향신문」,2007.12.24:8
http://www.kinds.or.kr
최민영.김다슬 기자, '전직 교육부 수장들이 본 이명박 교육정책 -대학자율 끄덕 2不폐지 갸웃‘,
「경향신문」2008.1.4:8 http://www.kinds.or.kr
한상우 기자, '李 당선인 신년회견',「서울신문」2008.1.15:4 http://www.kinds.or.kr
한상우 기자, ‘李 당선인 신년회견’,「서울신문」2008.1.15:4 http://www.kinds.or.kr
http://www.studymania.com/school/SchoolAbout.asp
http://www.studymania.com/school/SchoolAbout.asp?stype=3
http://blog.naver.com/choihyungrae/90029005801
http://blog.naver.com/bbabbo0098/90029502550
http://blog.naver.com/banguri5848/50016273576
http://blog.daum.net/chia630/3473776
  • 가격2,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6.11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